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유아 체력측정모형의 검증 및 평가 = The Validity and Evaluation of Children`s Physical Fitness Measur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262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nd evaluate the children`s physical fitness model. The measurement of physical fitness was composed of health-related fitness and performance-related fitness factors that involve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joint flexibility, balance, agility, speed, power. In balance and joint flexibility, girls are higher than boys, and in muscular strength, agility, speed and power, boys are higher than girls.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Physical fitness composed of health-related fitness and performance-related fitness was validated by approval levels. The result of MANOVA analysis, 6years are higher than 5years on both health-related fitness and performance-related fitness, and boys are higher than girls on both health-related fitness and performance-related fitness. Children`s Fitness measurement model could make use of evaluate the children`s health and performa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nd evaluate the children`s physical fitness model. The measurement of physical fitness was composed of health-related fitness and performance-related fitness factors that involve muscular strength, muscular 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nd evaluate the children`s physical fitness model. The measurement of physical fitness was composed of health-related fitness and performance-related fitness factors that involve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joint flexibility, balance, agility, speed, power. In balance and joint flexibility, girls are higher than boys, and in muscular strength, agility, speed and power, boys are higher than girls.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Physical fitness composed of health-related fitness and performance-related fitness was validated by approval levels. The result of MANOVA analysis, 6years are higher than 5years on both health-related fitness and performance-related fitness, and boys are higher than girls on both health-related fitness and performance-related fitness. Children`s Fitness measurement model could make use of evaluate the children`s health and performa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학생의 체력 실태 와 체육교육의 방향" 21 : 82-85, 2000

      2 "태권도 훈련이 신체조성및 기초체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24 : 373-380, 2005

      3 "취학 전 아동의 체격 및 체력 육성을 위한 체육놀이 프로그램 개발" 문화체육부 1995

      4 "초등학생의 체력 요소간 상관연구" 21 (21): 52-61, 2003

      5 "유연성 검사의 준거지향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3

      6 "유아체육의 이론과 실제" 1993

      7 "유아체육교육학원론" 유아존중 2001

      8 "유아체육교육이 5세 아동의 기초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1999

      9 "유아의 체육프로그램 참여가 체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0

      10 "유아의 체력 요인별 검사항목 분석" 12 (12): 77-86, 2004

      1 "한국학생의 체력 실태 와 체육교육의 방향" 21 : 82-85, 2000

      2 "태권도 훈련이 신체조성및 기초체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24 : 373-380, 2005

      3 "취학 전 아동의 체격 및 체력 육성을 위한 체육놀이 프로그램 개발" 문화체육부 1995

      4 "초등학생의 체력 요소간 상관연구" 21 (21): 52-61, 2003

      5 "유연성 검사의 준거지향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3

      6 "유아체육의 이론과 실제" 1993

      7 "유아체육교육학원론" 유아존중 2001

      8 "유아체육교육이 5세 아동의 기초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1999

      9 "유아의 체육프로그램 참여가 체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0

      10 "유아의 체력 요인별 검사항목 분석" 12 (12): 77-86, 2004

      11 "유아들의 성별에 따른 기초 체력 특성에 관한 분석 연구" 2 (2): 80-87, 1997

      12 "유아기 신체발육발달의 특성에 관한 연구" 127-138, 1993

      13 "부모의 체력관련 요인과 자녀에 대한 관심도가 유아의 체격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36 (36): 256-264, 1996

      14 "발달적으로 적절한 유아체육 프로그램과 교수전문성에 대한 소고" 2 (2): 2001

      15 "남녀 유아의 체력과 체력과의 상관" 4 (4): 19-32, 2003

      16 "국민학생의 체력인자구조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3

      17 "간편 유아체력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2

      18 "President's Challenge: Physical activity and fitness award program(2001-2002)." PCPFS 2005

      19 "Physical best" Human Kinetic 1999

      20 "Modern Concept of physical Fitness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1980

      21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Health and Recreation Education" Mosby 1951

      22 "Fetus into man Physical growth from conception to maturity" Fletcher & Son Ltd 1978

      23 "FITNESSGRAM. Retrieved February 10, 2003, from http://www.cooperinst.org /ftginofo.asp." CIAR 2003

      24 "Encyclopedia of physical education" Brighton Publishing 443-470, 1980

      25 "Effects of fitness test type and gender on exercise intrinsic motivation and physical self-worth Journal of school health" 11-16, 1991

      26 "Developmental Physical Education for All Children" Human Kinetics 2003

      27 "Concepts of physical fitness" Brown Publishers 1988

      28 "American for Health"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발육발달 -> 한국발육발달학회지 KCI등재후보
      2006-05-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 of Physical Growth and Motor Developm ->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9 0.95 0.83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