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의 품질인증을 위해서는 평가 항목 및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용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문서화 체계 및 지침을 구축하고 시험보고...
소프트웨어의 품질인증을 위해서는 평가 항목 및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용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문서화 체계 및 지침을 구축하고 시험보고서 및 인증보고서의 양식을 작성하며 의료용 소프트웨어의 샘플을 선정하여 평가사례를 구축하여 그 결과를 적절한 기준에 따라 판정하고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개선 방안을 확립하고자 한다.
① 의료용 소프트웨어의 샘플을 선정하여 구체적인 평가 사례 구축
- 의료용 소프트웨어의 샘플을 선정하여 평가 메트릭을 의료용 소프트웨어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사례를 구축하여 향후 품질평가에 적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연구
② 의료용 소프트웨어의 문서화 체계 구축
- 의료용 소프트웨어의 요구명세서와 개발계획서에 관한 문서화 지침의 구축
- 의료용 소프트웨어의 시험계획서에 대한 문서화 지침의 구축
- 소프트웨어의 제품설명서에 대한 문서화 지침의 구축
- 의료용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문서에 대한 문서화 지침의 구축
- 의료용 소프트웨어의 개발 소프트웨어와 데이터에 대한 문서화 지침의 구축
- 문서와 평가 메트릭의 관련성 및 대응 관계 확립
③ 시험보고서, 인증보고서 양식 및 작성방법과 절차의 구축
- 시험보고서와 인증보고서에 수록될 사항을 명세
- 관련 양식 설정 및 작성방법과 절차의 구축
④ 의료용 소프트웨어의 평가 결과에 대한 해석 및 개선 방안의 확립
- 의료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평가 결과를 이해하고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기법 연구
- 발견된 문제점에 대한 사례 조사와 그에 따른 문제점 해결 방안의 설정○ 연구목표 : 현재 국내 의료용 소프트웨어 제품은 다수의 업체들이 참여하고 경쟁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양적인 발전과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인 발전에 질적인 향상이 병행할 수 있는 연구가 그동안 미흡했던 것이 사실이다. 의료용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의료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품질 요구사항을 확립하고 품질 시험을 위한 메트릭을 개발/구축함으로써 품질시험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경쟁력 있는 의료용 소프트웨어 제품을 개발하고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의료용 소프트웨어의 유형별로 품질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의료용 소프트웨어 품질평가 항목을 연구하며 의료용 소프트웨어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표준 평가 기준을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수행될 평가에 대해 평가 결과의 명세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연구하고 평가자가 평가 메트릭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측정 사례를 구축하며 평가 결과에 대한 판정 기준을 설정하여 평가 결과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연구내용 : 본 연구에서는 의료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실질적인 품질시험을 위해 의료용 소프트웨어의 문서화 체계를 구축하고 이들 문서와 품질시험 모듈의 메트릭 간에 대응관계를 정리하였다. 또한, 시험 및 인증보고서의 양식을 구축하고 작성 방법과 절차를 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의료용 소프트웨어의 샘플을 선정하여 구체적인 품질시험 사례를 구축할예정이며, 시험 사례를 분석하여 의료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시험 결과를 이해하고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를 수행할 것이며 발견된 문제점에 대한 사례 조사와 그에 따른 문제점 해결 방안을 연구할 계획이다.
○ 연구성과(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 연구의 결과는 실질적인 의료용 소프트웨어의 품질평가 및 품질향상 업무에 활용할 수있으며 의료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종합적인 품질평가 및 관리를 통해 고품질 소프트웨어 개발에 기여할 수 있고 의료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품질평가 툴킷 개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의료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잠재적인 문제점을 발견하여 개선함으로써 의료용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의료용 소프트웨어를 도입하고자 하는 의료 시설의 선택 능력을 제고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적용하여 의료용 소프트웨어 평가를 수행한 후, 개발업체에 평가결과를 피드백함으로써 소프트웨어 품질향상에 기여하고 객관적 능력평가 및 인증을 가능하게 할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의료용 소프트웨어의 평가를 희망하는 관련 기관에 기술이전함으로써 국내 소프트웨어 품질평가 기술 수준의 향상을 도모하고 의료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품질측정 및 평가 기법과 메트릭의 측정 기술을 이전함으로써 국내 의료용 소프트웨어 산업의 기술향상 및 대외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내 의료용 소프트웨어 기술의 대외 의존도를 감소시키고 국제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