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 사회에서의 정체성과 구비문학 = Identity and Folklore Studies in a Multicultural Socie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 들어 한국 사회가 다문화사회가 되어가는 추세다. 이 연구는 최근 영미권에서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와 세계화(globalization) 등을 다루는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한국의 미래지향적인 다문화사회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사회에서의 구비문학의 역할을 알아보는 데에 목표를 삼았다. 먼저 구비문학・민속학 연구자와 인접 분야 연구자들이 20세기 말까지 다문화주의의 문제에 대해서 고민한 것을 보았는데 여기서 정체성의 중요성을 알 수가 있었다. 특히 민속의 연행은 어떤 정체성을 공유하는 사람들끼리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정체성을 공유하는 사람들끼리도 이루어진다는 지적이 있었다. 그러나 90년대들어 문화적 정체성을 다루는 다문화주의가 비판의 대상이 되었고 민속학 연구자들 사이에도 그 단어가 금기시되는 듯했다. 이는 미국에서 선포된 ‘문화전쟁(culture war)’과도 관련이 없지 않았다.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을 요약하자면 다양성을 존중하는 의도에서 출발했으나 사상과 그 사상을 구체화하는 정책이 왜곡되어 결국 다양성을 강요하게 되며 오히려 사람과 집단의 분열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소수자가 자신의 정체성을 스스로 형성할 자유가 없고 지배적 문화에서 기대하고 있는 ‘소수 문화’의 정체성을 택하지 않은 한 인정을 받지 못하는 폐단이 따르는 것이다. 90년대에 이어 21세기에 들어 다문화주의나 세계화와 같은 개념을 버리고 새로운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 다양성을 강요하며 분열을 초래하는 폐쇄적인 다문화주의 대신에 문화상호주의(interculturalism)가 거론되었고, 권력층이 동질성을 요구하는 하향식 세계화 대신에 오래 전부터 통용되어왔던 세계시민주의(cosmopolitanism)가 다시 논의되기 시작됐다. 문화상호주의는 사람과 집단을 분리하지 않고 서로 대화할 수 있도록 통합・결합・자유를 지향하는 개방성을 추구한다. 세계시민주의는 차이를 강요하지 않고 서로의 차이를 통해 배우고 보다 풍부한 사회를 만드는 것을 추구하는 것이다. 여기서 애매모호한 보편적인 가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사람과 사람이 소통하는 관계가 핵심이 된다. 특히 ‘뿌리내린 세계시민주의(rooted cosmopolitanism)’라는 개념이 한국의 다문화사회에서 구비문학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최근 미국 사회의 추세를 살펴보았고 그런 맥락에서 한국 다문화사회의 발전방향과 구비문학 연구의 방향을 제시했다.
      번역하기

      21세기 들어 한국 사회가 다문화사회가 되어가는 추세다. 이 연구는 최근 영미권에서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와 세계화(globalization) 등을 다루는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한국의 미래지향적인 ...

      21세기 들어 한국 사회가 다문화사회가 되어가는 추세다. 이 연구는 최근 영미권에서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와 세계화(globalization) 등을 다루는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한국의 미래지향적인 다문화사회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사회에서의 구비문학의 역할을 알아보는 데에 목표를 삼았다. 먼저 구비문학・민속학 연구자와 인접 분야 연구자들이 20세기 말까지 다문화주의의 문제에 대해서 고민한 것을 보았는데 여기서 정체성의 중요성을 알 수가 있었다. 특히 민속의 연행은 어떤 정체성을 공유하는 사람들끼리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정체성을 공유하는 사람들끼리도 이루어진다는 지적이 있었다. 그러나 90년대들어 문화적 정체성을 다루는 다문화주의가 비판의 대상이 되었고 민속학 연구자들 사이에도 그 단어가 금기시되는 듯했다. 이는 미국에서 선포된 ‘문화전쟁(culture war)’과도 관련이 없지 않았다.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을 요약하자면 다양성을 존중하는 의도에서 출발했으나 사상과 그 사상을 구체화하는 정책이 왜곡되어 결국 다양성을 강요하게 되며 오히려 사람과 집단의 분열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소수자가 자신의 정체성을 스스로 형성할 자유가 없고 지배적 문화에서 기대하고 있는 ‘소수 문화’의 정체성을 택하지 않은 한 인정을 받지 못하는 폐단이 따르는 것이다. 90년대에 이어 21세기에 들어 다문화주의나 세계화와 같은 개념을 버리고 새로운 개념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 다양성을 강요하며 분열을 초래하는 폐쇄적인 다문화주의 대신에 문화상호주의(interculturalism)가 거론되었고, 권력층이 동질성을 요구하는 하향식 세계화 대신에 오래 전부터 통용되어왔던 세계시민주의(cosmopolitanism)가 다시 논의되기 시작됐다. 문화상호주의는 사람과 집단을 분리하지 않고 서로 대화할 수 있도록 통합・결합・자유를 지향하는 개방성을 추구한다. 세계시민주의는 차이를 강요하지 않고 서로의 차이를 통해 배우고 보다 풍부한 사회를 만드는 것을 추구하는 것이다. 여기서 애매모호한 보편적인 가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사람과 사람이 소통하는 관계가 핵심이 된다. 특히 ‘뿌리내린 세계시민주의(rooted cosmopolitanism)’라는 개념이 한국의 다문화사회에서 구비문학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최근 미국 사회의 추세를 살펴보았고 그런 맥락에서 한국 다문화사회의 발전방향과 구비문학 연구의 방향을 제시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21st century,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Korea is becoming more and more multicultural. This paper looks at English-language research in the West on multiculturalism, globalism, and other important concepts in order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the future in Korea, and to inquire into what role Korean folklore might play in such a society. Identity has long been a central tenet of folklore studies in the West, although it wasn t until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that it was first explicitly mentioned, and the concept did not gain prominence until the 90s. Since then, though, it has been an important topic, and folklorists have attempted to tease out the implications of identity formation in increasingly multicultural societies. As multiculturalism began to fall out of favor toward the end of the 20th century, mainly because it was perceived as forcing diversity on its subjects, folkorists as well considered how well-meaning attempts to respect difference might actually trap people from minority cultures in the authentic representations of those cultures that have come to be expected of them. With the cultural theory of multiculturalism and the political and economic practice of globalization coming under fire, scholars searched for new concepts that could open the way to a brighter future. Interculturalism was proposed as a substitute for the former, while the age-old idea of cosmopolitanism was revisited to find a way forward from globalization. Unlike multiculturalism, interculturalism was seen as a more open approach that allowed for dialogue between peoples and strove to achieve unity among and grant freedom to individuals. And while globalization imposed homogeneity on the world from above, cosmopolitanism sought not only to respect difference but to build a more variegated society through those differences. It rejected vague, universal values in favor of concret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The concept of rooted cosmopolitans in particular shows promise as a way to inform Korean folklore studies in the future. Finally, this paper takes a look at recent social trends in the United States to see what might be learned and applied to the Korean situation. Lessons taken from recent developments and the above survey of the literature may offer possibilities for the development of a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and for the study of Korean folklore within such a society.
      번역하기

      In the 21st century,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Korea is becoming more and more multicultural. This paper looks at English-language research in the West on multiculturalism, globalism, and other important concepts in order to lay the groundwork for...

      In the 21st century,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Korea is becoming more and more multicultural. This paper looks at English-language research in the West on multiculturalism, globalism, and other important concepts in order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the future in Korea, and to inquire into what role Korean folklore might play in such a society. Identity has long been a central tenet of folklore studies in the West, although it wasn t until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that it was first explicitly mentioned, and the concept did not gain prominence until the 90s. Since then, though, it has been an important topic, and folklorists have attempted to tease out the implications of identity formation in increasingly multicultural societies. As multiculturalism began to fall out of favor toward the end of the 20th century, mainly because it was perceived as forcing diversity on its subjects, folkorists as well considered how well-meaning attempts to respect difference might actually trap people from minority cultures in the authentic representations of those cultures that have come to be expected of them. With the cultural theory of multiculturalism and the political and economic practice of globalization coming under fire, scholars searched for new concepts that could open the way to a brighter future. Interculturalism was proposed as a substitute for the former, while the age-old idea of cosmopolitanism was revisited to find a way forward from globalization. Unlike multiculturalism, interculturalism was seen as a more open approach that allowed for dialogue between peoples and strove to achieve unity among and grant freedom to individuals. And while globalization imposed homogeneity on the world from above, cosmopolitanism sought not only to respect difference but to build a more variegated society through those differences. It rejected vague, universal values in favor of concret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The concept of rooted cosmopolitans in particular shows promise as a way to inform Korean folklore studies in the future. Finally, this paper takes a look at recent social trends in the United States to see what might be learned and applied to the Korean situation. Lessons taken from recent developments and the above survey of the literature may offer possibilities for the development of a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and for the study of Korean folklore within such a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면서
      • 2. 다문화주의와 정체성
      • 3. 문화전쟁과 다문화주의의 실패
      • 4. 다문화주의에서 문화상호주의로, 세계화에서 세계시민주의로
      • : 새로운 방향에 대한 모색
      • 1. 들어가면서
      • 2. 다문화주의와 정체성
      • 3. 문화전쟁과 다문화주의의 실패
      • 4. 다문화주의에서 문화상호주의로, 세계화에서 세계시민주의로
      • : 새로운 방향에 대한 모색
      • 5. 미국의 현재와 한국의 미래를 생각하며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진태, "한민족과 세계, 그리고 구비문학 ― 21세기적 상황을 중심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27) : 89-112, 2008

      2 오정미,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설화의 활용 ― 설화 <선녀와 나무꾼>과 설화 <우렁각시>를 중심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27) : 177-210, 2008

      3 나수호, "외국인이 보는 한국 구비문학" 한국구비문학회 (27) : 147-175, 2008

      4 애피아, "세계시민주의 - 이방인들의 세계를 위한 윤리학" 바이북스 2008

      5 신동흔, "새로운 한국어문학으로서 이주민 설화 구술의 성격과 의의-다문화 문식성의 질적 심화와 확장을 위하여-" 국어국문학회 (180) : 281-323, 2017

      6 석창훈, "동아시아 신화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다문화이해교육 연구"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0) : 195-213, 2011

      7 강정원, "다문화시대의 구비문학 연구" 한국구비문학회 (26) : 157-184, 2008

      8 양민정, "다문화교육 관점의 여성설화의 서사적 전통 연구" 외국문학연구소 (57) : 247-272, 2015

      9 박재인, "다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배우자에게 나타나는 편집증적 문제와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방안"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4 : 101-134, 2010

      10 "https://nypost.com/2018/04/05/trump-dredges-up-mexican-rapists-com ment-in-latest-rant/"

      1 박진태, "한민족과 세계, 그리고 구비문학 ― 21세기적 상황을 중심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27) : 89-112, 2008

      2 오정미,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설화의 활용 ― 설화 <선녀와 나무꾼>과 설화 <우렁각시>를 중심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27) : 177-210, 2008

      3 나수호, "외국인이 보는 한국 구비문학" 한국구비문학회 (27) : 147-175, 2008

      4 애피아, "세계시민주의 - 이방인들의 세계를 위한 윤리학" 바이북스 2008

      5 신동흔, "새로운 한국어문학으로서 이주민 설화 구술의 성격과 의의-다문화 문식성의 질적 심화와 확장을 위하여-" 국어국문학회 (180) : 281-323, 2017

      6 석창훈, "동아시아 신화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다문화이해교육 연구"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0) : 195-213, 2011

      7 강정원, "다문화시대의 구비문학 연구" 한국구비문학회 (26) : 157-184, 2008

      8 양민정, "다문화교육 관점의 여성설화의 서사적 전통 연구" 외국문학연구소 (57) : 247-272, 2015

      9 박재인, "다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배우자에게 나타나는 편집증적 문제와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방안"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4 : 101-134, 2010

      10 "https://nypost.com/2018/04/05/trump-dredges-up-mexican-rapists-com ment-in-latest-rant/"

      11 "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urn:cts:greekLit:tlg0004.tl g001.perseus-eng1:6.2"

      12 Fredericks, Bob, "Trump dredges up ‘Mexican rapists’ comment in latest rant"

      13 Dresser, Norine, "The ‘M’ Word. The 1994 Archer Taylor Memorial Lecture" Western States Folklore Society 55 (55): 95-111, 1996

      14 Sen, Amartya, "The Uses and Abuses of Multiculturalism: Chili and Liberty" 234 (234): 25-30, 2006

      15 Taylor, Charles, "The Politics of Recognition,” Multiculturalism and “The Politics of Recogni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73, 1992

      16 Harris, Hugh, "The Greek Origins of the Idea of Cosmopolitanis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8 (38): 1-10, 1927

      17 Oring, Elliot, "The Arts, Artifact, and Artifices of Identity" American Folklore Society 107 (107): 211-233, 1994

      18 Bronner, Simon, "The American Concept of Tradition: Folklore in the Discourse of Traditional Values" Western States Folklore Society 59 (59): 143-170, 2000

      19 Lau, Kimberly, "Serial Logic: Folklore and Difference in the Age of Feel-Good Multiculturalism" American Folklore Society 113 (113): 70-82, 2000

      20 Stanton, Domna C., "Presidential Address 2005: On Rooted Cosmopolitanism" Modern Language Association 121 (121): 627-640, 2006

      21 Barucha, Rustom, "Politics of Culturalisms in an Age of Globalisation:Discrimination, Discontent, and Dialogue" 34 (34): 477-489, 1999

      22 Lie, John, "Multiethnic Korea? Multiculturalism, Migration, and Peoplehood Diversity in Contemporary South Korea"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14

      23 Kymlicka, Will, "Multiculturalism: Success, Failure, and the Future" Migration Policy Institute

      24 Žižek Slavoj., "Multiculturalism, Or, the Cultural Logic of Multinational Capitalism" 225 : 28-51, 1997

      25 Diogenes Laertius, "Lives of Eminent Philosopher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2

      26 Cantle, Ted, "Interculturalism: The New Era of Cohesion and Diversity" Palgrave Macmillan 2012

      27 Meer, Nasar, "How does Interculturalism Contrast with Multiculturalism?" Taylor & Francis 33 (33): 175-196, 2012

      28 Bronner, Simon, "Following Tradition" Utah State University Press 9-72, 1998

      29 Garlough, Christine, "Folklore and the Potential of Acknowledgment:Representing ‘India’ at the Minnesota Festival of Nations" Western States Folklore Society 70 (70): 69-98, 2011

      30 Greenhill, Pauline, "Folk and Academic Racism: Concepts from Morris and Folklore" American Folklore Society 115 (115): 226-246, 2002

      31 Bauman, Richard, "Differential Identity and the Social Base of Folklore" American Folklore Society 84 (84): 31-41, 1971

      32 Appiah, Kwame Anthony, "Cosmopolitanism: Ethics in a World of Strangers" W. W. Norton & Company 2006

      33 Calhoun, Craig, "Cosmopolitanism in the Modern Social Imaginary" The MIT Press 137 (137): 105-114, 2008

      34 Mignolo, Walter, "Cosmopolitanism" Duke University Press 157-187, 2002

      35 Pollock, Sheldon, "Cosmopolitanism" Duke University Press 1-14, 2002

      36 Appiah, Kwame Anthony, "Cosmopolitan Patriot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3 (23): 617-639, 1997

      37 La Shure, Charles, "An ‘Existential Bridge’ between Korean and the World" The Korea Foundation 26 (26): 70-73, 2012

      38 Saito, Hiro, "An Actor-Network Theory of Cosmopolitanism"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29 (29): 124-149, 2011

      39 Buchanan, Patrick J., "1992 Republic National Convention Speech" Patrick J. Buchanan Official Websit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4 1.57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