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산업노동자의 형성과 생활세계 연구"의 2차년도작업은 노동세계에서 전개되는 생활사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노동자 생활사에는 일상적인 노동의 내용만이 아니라 이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4201
-
200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산업노동자의 형성과 생활세계 연구"의 2차년도작업은 노동세계에서 전개되는 생활사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노동자 생활사에는 일상적인 노동의 내용만이 아니라 이를...
"한국 산업노동자의 형성과 생활세계 연구"의 2차년도작업은 노동세계에서 전개되는 생활사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노동자 생활사에는 일상적인 노동의 내용만이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작업장에서 형성되는 사회관계와 문화도 포함된다. 즉, 이러한 생활사의 주요 내용은 노동과정과 작업조직, 경영과 문화, 노동과 문화라는 주제로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노동과정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기술과 기능의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경영 문화에는 가업이 경영목표 달성과 조직통합을 위해 강조하는 가치관과 행동양식이 포함된다. 노동 문화라는 주제는 노동자의 문화적 자율성과 계급문화를 다루고 있다. 즉, 여기에서는 생활사의 관점에서 작업장의 실체를 통합?옜웝으랜#? 이해하려는 작업이 시도되었다.
이 책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서문, 이종구
1장, 1960-1970년대 의류봉제업 작업장의 성격과 여성노동자의 실천, 김귀옥
2장, 1960-1970년대 한국 철도노동자들의 노동현장과 노동조합, 김영수
3장, 1970년대 현대조선 노동자들의 삶과 의식, 김준
4장, 70년대 자동차 기업의 작업장 저항에 대한 연구, 정승국
5장, 과학적 관리의 도입과 작업장 생활, 신원철
6장, 1960, 70년대 한국 전력산업 노동자의 노동세계, 김삼수
7장, 개발연대 노동자들의 공장생활과 대응방식, 정영태
8장, 1970년대 마산수출자유지역 노동자의 노동생활, 심상완
9장, 전자공장의 자동화와 노동운동, 허상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