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저수용량을 고려한 가뭄지수 산정과 가뭄관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dex of Drought and Drought Management Considering Reservoir Stor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732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생활용수나 공업용수의 수급 체계에 있어서 가뭄에 의한 용수공급 부족시 가뭄관리 및 가뭄 심도에 따른 비상 급수대책 수립에 필요한 가뭄 예경보지수의 산정법...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생활용수나 공업용수의 수급 체계에 있어서 가뭄에 의한 용수공급 부족시 가뭄관리 및 가뭄 심도에 따른 비상 급수대책 수립에 필요한 가뭄 예경보지수의 산정법을 개발하였다. 울산지역의 주요 생활용수 공급원인 사연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980년부터 1996년까지의 저수량, 유입량, 공급량, 방류량 등의 실측된 수문자료를 이용하였다. 가뭄지수의 산정은 월 강우량의 초과확률에 근거를 두고 있는 기존의 Phillips 가뭄지수법을 이용하였다. 도시지역의 급수체계나 댐이나 저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월 강우량을 기본자료로 사용하는 Phillips 가뭄지수 산정법은 가뭄현상을 적절히 설명할 수 없으므로 가뭄관리의 주요변수인 유입량, 저수량, 방류량 및 공급량 등을 포함한 가뭄지수 계산법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용수공급 능력을 고려한 Phillips 가뭄지수 산정법은 실제 가뭄현상에 대한 적용성이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develop a means to determine indices of drought warning and emergency necessary to manage drought and establish water supply contingency plan for the municipal and industrial water supply system in urban areas. ...

      The goal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develop a means to determine indices of drought warning and emergency necessary to manage drought and establish water supply contingency plan for the municipal and industrial water supply system in urban areas. To do this, we worked on the Sayun catchment which is the main water source of Ulsan and used the measured hydrologic data (storage, inflow, supply, outflow)from 1980 to 1996. The indices of drought calculated by the method of Phillips drought index based only on monthly precipitation do not pertinently represent drought phenomena in case water supply is from dam or reservoir in an urban area. Therefore, we developed the drought index technique including inflow, storage, outflow and supply which are the chief factors of drought management. The result showed that the method of Phillips drought index considering the capacity of water supply was excellent when applied to practical drought phenomen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