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요석의 형성에 있어서 요중 Sodium의 영향 = Influence of Urinary sodium on Urolithia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1182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나트륨(Sodium)은 직접적인 요석의 성분은 아니나 요석형성의 촉진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대조군 연구를 통한 요석환자에서 요중 나트륨과 결정 ...

      연구목적: 나트륨(Sodium)은 직접적인 요석의 성분은 아니나 요석형성의 촉진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대조군 연구를 통한 요석환자에서 요중 나트륨과 결정 형성물질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그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요석 환자 746명(남자 503명, 여자 243명)과 요석의 과거력이 없는 정상 지원자 101명(남자 50명, 여자 5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4시간 소변을 채취하여 요량, 나트륨, 인, 칼슘, 마그네슘, 수산 및 구연산을 측정하였다. 각 군에서 나트륨의 평균 배설량을 비교하였고 또한 다른 요석형성 물질 몇 임상적 특징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요석형성에 있어서 요중 나트륨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결과: 고나트륨뇨증은 환자군에 46.6%, 대조군에서 42.6%로 높게 관찰되었으나 두 군 사이에 평균 배설량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요중 나트륨의 배설은 칼슘의 배설 및 요산도의 증가와 의미있는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나트륨이 100 mEq 증가할 때마다 칼슘은 53.2 mg씩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전의 보고들과는 달리 구연산의 배설 역시 나트륨의 배설에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임상적 특징들과의 비교에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의미 있게 나트륨의 배설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요중 나트륨의 배설 증가 그 자체만으로는 요석의 위험인자로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나트륨의 요중 칼슘 배설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상당하며 따라서 요석의 재발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 특히 고칼슘뇨증을 동반하는 환자에서는 저염식의 권장이 가장 먼저 시행할 수 있는 조치라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High dietary sodium from salt abuse has been a well recognized environmental or nutritional risk factor for kidney stone formation and may promote a variety of metabolic changes that may detrimental to stone formers. This study was to determi...

      Purpose: High dietary sodium from salt abuse has been a well recognized environmental or nutritional risk factor for kidney stone formation and may promote a variety of metabolic changes that may detrimental to stone formers.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urinary sodium on urolithiasis as a risk factor through the patients-control study.
      Materials and Methods: The 24-hour urine specimens of 746 stone formers (503 men and 243 women) and 101 normal volunteer (50 men and 51 women) who had no history of kidney stones were analyzed for sodium, phosphorus, calcium, magnesium, oxalate, pH and citrate. The roles of urinary sodium wer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mean excretion of sodium in each group and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with other lithogenic factor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Results: Although the incidence of hypernatriuria was as much high as 46.6% of stone formers and 42.6% of normal contro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mean excretion of sodium in each group. The urinary sodium excretion was directly proprotional to that of calcium and pH. An 100 mEq increase of urinary sodium resulted in 53.2mg rise in urinary calcium excretion. Unexpectedly, direct proportion was also observed between urinary excretion of sodium and citrate. Sodium excretion was slightly decreased with age.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increased sodium excretion itself was not a risk factor for urolithiasis but its calciuric action was largely significant. Thus, the dietary restriction of sodium should be considered as a first line approach for the prevention of recurrent urolithiasis, especially in hypercalciurlc stone form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 대상 및 방법
      • 결 과
      • 고 찰
      • 서 론
      • 대상 및 방법
      • 결 과
      • 고 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