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전문학 : 20세기 초 활자본 가집 『가곡선』의 편찬 특징과 육당의 시조 인식 = Printed Collection Gagoksun`s Compilation Characteristics and Yuk-dang`s Recognition for the Sijo in the Early 20th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109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the Gagoksun(歌曲選) and Choi Nam-sun`s recognition for the Sijo. Gagoksun was compiled by Choi Nam-sun at the early 20th century. This collection is similar with the series of GaGokWonRyu(歌曲源流). So indications of Gagok were collected in Gagoksun same as other written collections. On the other hand Gagoksun was reflected Sijo that was changed into not only as a music but as literature also in the early 20th century. Yuk-dang thought that Sijo was the National literature and he tried to enjoy Sijo in the everyday. He established Josungwangmunhoi(朝鮮光文會) and Shinmungwan (新文館). And then he supplied collections reflected his thinking through these groups. Yuk-dang expressed characteristics of the Sijo that had musical personality and literary personality through Gagoksun. After all, Yuk-dang published collections of Gagok with ideas to preserve classical literature and also he tried to reflect the two sides-as music and literature- of Sijo and Sijo as National literature in Gagoksu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the Gagoksun(歌曲選) and Choi Nam-sun`s recognition for the Sijo. Gagoksun was compiled by Choi Nam-sun at the early 20th century. This collection is similar with the series of GaGokWonR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the Gagoksun(歌曲選) and Choi Nam-sun`s recognition for the Sijo. Gagoksun was compiled by Choi Nam-sun at the early 20th century. This collection is similar with the series of GaGokWonRyu(歌曲源流). So indications of Gagok were collected in Gagoksun same as other written collections. On the other hand Gagoksun was reflected Sijo that was changed into not only as a music but as literature also in the early 20th century. Yuk-dang thought that Sijo was the National literature and he tried to enjoy Sijo in the everyday. He established Josungwangmunhoi(朝鮮光文會) and Shinmungwan (新文館). And then he supplied collections reflected his thinking through these groups. Yuk-dang expressed characteristics of the Sijo that had musical personality and literary personality through Gagoksun. After all, Yuk-dang published collections of Gagok with ideas to preserve classical literature and also he tried to reflect the two sides-as music and literature- of Sijo and Sijo as National literature in Gagoksu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진형, "흥부전의 傳承 樣相 - 出版文化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205-228, 2006

      2 "현토주해 여자보감"

      3 "청구영언" 진본

      4 "정선조선가곡"

      5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육당전집편찬연구회, "육당최남선전집" 현암사 1973

      6 이중한, "우리 출판 100년" 현암사 47-, 2001

      7 심재완, "역대시조전서" 세종문화사 1972

      8 "신교 수호지" 신문관본 1913

      9 성무경, "보급용 가집 『남훈태평가』의 印刊과 시조 향유에의 영향(1)" 한국시가학회 18 : 373-374, 2005

      10 "대동풍아" 우문관본 1908

      1 최진형, "흥부전의 傳承 樣相 - 出版文化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205-228, 2006

      2 "현토주해 여자보감"

      3 "청구영언" 진본

      4 "정선조선가곡"

      5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육당전집편찬연구회, "육당최남선전집" 현암사 1973

      6 이중한, "우리 출판 100년" 현암사 47-, 2001

      7 심재완, "역대시조전서" 세종문화사 1972

      8 "신교 수호지" 신문관본 1913

      9 성무경, "보급용 가집 『남훈태평가』의 印刊과 시조 향유에의 영향(1)" 한국시가학회 18 : 373-374, 2005

      10 "대동풍아" 우문관본 1908

      11 "고본 춘향전" 신문관본 1913

      12 윤덕진, "고금가곡" 보고사 2007

      13 "가곡원류" 국악원본

      14 "가곡원류" 육당본

      15 "가곡원류" 불란서

      16 "가곡원류" 동양문고

      17 "가곡선" 고려대학교

      18 오영섭, "朝鮮光文會 硏究" 한국사학사학회 (3) : 79-140, 2001

      19 김동환, "時調排擊小議" 68 : 4-, 1927

      20 "『동아일보』 1935년 1월 1일자. 1936년 1월 6일자"

      21 "『독립신문』 (상해판) 1920년 1월 1일자"

      22 고은지, "20세기 초 시가의 새로운 소통 매체 출현과 그 의미" 민족어문학회 (55) : 31-61, 2007

      23 윤설희, "20세기 초 가집 『精選朝鮮歌曲』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8

      24 고은지, "20세기 놀이문화인 시조놀이의 등장과 그 시조사적 의미" 한국시가학회 24 : 385-414, 2008

      25 신경숙, "19세기 서울 우대의 가곡집, 『가곡원류』" 한국고전문학회 2009

      26 성무경, "19세기 국문시가의 구도와 해석의 지평 in:고전문학연구의 쟁점적 과제와 전망" 월인 2003

      27 김학성, "18?19세기 예술사의 구도와 시가의 미학적 전환 韓國詩歌硏究 第11輯 18?19세기 예술사의 구도와 시가의 미학적 전환 ― 여항-시정문화와의 관련양상을 중심으로 ―" 한국시가학회 11 : 1-,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2 1.76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