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일 주거소유권법의 규약과 의사결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787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독일 주거소유권법(WEG)의 입법적 목적은 집합건물의 효율적인 관리와 주거 생활의 안정이며, 그 주요 내용은 주거소유권의 체계적 · 통일적인 관리와 이용에 관한 것이다. 독일 주거소유권법(WEG)의 ‘규약’은 주거소유권자들의 약정과 조직체의 결정에 관한 규범적 요약이다. 이러한 규약의 법적 성질은 단순한 자치규범을 넘는 특별한 효력, 즉 채권계약 이상의 객관적 효력이 부여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규약이란 ‘구분소유자 단체의 최고의 자치규범’이라고 볼 수 있다. 독일 주거소유권법에서의 규약(Gemeinschaftsordnung)은 계약(Vertrag)으로서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규약의 설정과 변경에는 새로운 계약으로서의 주거소유권자 ‘전원의 합의’가 필요하다. 독일 주거소유권법은 공동체의 규율에 대하여, 전원합의에 의한 규약과 단순 과반수에 의한 결의를 상정한 후, 전원합의에 의한 규약을 원칙으로 하고 단순 과반수에 의한 결의를 예외적으로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원칙이 문제점을 표출하자, 규약에 관한 다수결의 원칙의 도입을 취지로 하는 주거소유권법 개정론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주거소유권법 개정론을 무마시킨 해결 방안 중 하나는 독일 민법(BGB) 제242조의 신의칙에 의한 규약의 변경 청구와 이에 따른 동의 의무의 발생이고, 다른 하나는 규약으로만 규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까지 집회의 결의 권한을 확대할 수 있는 특별결의조항(Öffnungsklausel)의 설정에 의한 규약의 변경이다. 독일법에서는 주거소유권자가 어떤 사항을 전원합의에 의한 규약에 의해 결정할 필요가 있는가, 그렇지 않으면 다수결에 의해 결정할 수 있는가는 당해 사항에 관하여 주거소유권자가 ‘결의 권한’을 가지고 있는가의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
      번역하기

      독일 주거소유권법(WEG)의 입법적 목적은 집합건물의 효율적인 관리와 주거 생활의 안정이며, 그 주요 내용은 주거소유권의 체계적 · 통일적인 관리와 이용에 관한 것이다. 독일 주거소유권�...

      독일 주거소유권법(WEG)의 입법적 목적은 집합건물의 효율적인 관리와 주거 생활의 안정이며, 그 주요 내용은 주거소유권의 체계적 · 통일적인 관리와 이용에 관한 것이다. 독일 주거소유권법(WEG)의 ‘규약’은 주거소유권자들의 약정과 조직체의 결정에 관한 규범적 요약이다. 이러한 규약의 법적 성질은 단순한 자치규범을 넘는 특별한 효력, 즉 채권계약 이상의 객관적 효력이 부여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규약이란 ‘구분소유자 단체의 최고의 자치규범’이라고 볼 수 있다. 독일 주거소유권법에서의 규약(Gemeinschaftsordnung)은 계약(Vertrag)으로서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규약의 설정과 변경에는 새로운 계약으로서의 주거소유권자 ‘전원의 합의’가 필요하다. 독일 주거소유권법은 공동체의 규율에 대하여, 전원합의에 의한 규약과 단순 과반수에 의한 결의를 상정한 후, 전원합의에 의한 규약을 원칙으로 하고 단순 과반수에 의한 결의를 예외적으로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원칙이 문제점을 표출하자, 규약에 관한 다수결의 원칙의 도입을 취지로 하는 주거소유권법 개정론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주거소유권법 개정론을 무마시킨 해결 방안 중 하나는 독일 민법(BGB) 제242조의 신의칙에 의한 규약의 변경 청구와 이에 따른 동의 의무의 발생이고, 다른 하나는 규약으로만 규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까지 집회의 결의 권한을 확대할 수 있는 특별결의조항(Öffnungsklausel)의 설정에 의한 규약의 변경이다. 독일법에서는 주거소유권자가 어떤 사항을 전원합의에 의한 규약에 의해 결정할 필요가 있는가, 그렇지 않으면 다수결에 의해 결정할 수 있는가는 당해 사항에 관하여 주거소유권자가 ‘결의 권한’을 가지고 있는가의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Condominium is very popular in modern society. Individually owned units are independent in structure and utilization, but they are parts of a condominium with other individually owned units in shape. So, a resident is closely connected with other residents. As a result, the legal relation, that is to say, many problems about rights and obligations of residents are frequently encountered. It is the reason to need a collective building management rule. The collective building management rule is a means of decision-making. Management association makes it independently. It is a rule and a basic order of an organization to form a community. It is made by 'contracts' and 'resolutions' of partitioned owners. It has a special legal effect to transcend a contract that generates a credit. In other words, It is a supreme autonomic norms of partitioned owners-community. German residence-ownership act have an effect on the Korean and Japan act of it. But, they are different an another, and have a distinct characteristic. In the German residence-ownership act, It is created, revised and abolished by the agreement of all divided owners. It contains important items to have to do with a ownership. It has brought about some problems. One of the solution is the request for a revision of it by the good faith doctrine(BGB §242). The other is the revision of it by the enactment of special resolution clauses. It is natural that the study on it is very meaningful, because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daily life. I think the Collective Building Management Rule of Korea has to be improved. I hope that this paper help it.
      번역하기

      A Condominium is very popular in modern society. Individually owned units are independent in structure and utilization, but they are parts of a condominium with other individually owned units in shape. So, a resident is closely connected with other re...

      A Condominium is very popular in modern society. Individually owned units are independent in structure and utilization, but they are parts of a condominium with other individually owned units in shape. So, a resident is closely connected with other residents. As a result, the legal relation, that is to say, many problems about rights and obligations of residents are frequently encountered. It is the reason to need a collective building management rule. The collective building management rule is a means of decision-making. Management association makes it independently. It is a rule and a basic order of an organization to form a community. It is made by 'contracts' and 'resolutions' of partitioned owners. It has a special legal effect to transcend a contract that generates a credit. In other words, It is a supreme autonomic norms of partitioned owners-community. German residence-ownership act have an effect on the Korean and Japan act of it. But, they are different an another, and have a distinct characteristic. In the German residence-ownership act, It is created, revised and abolished by the agreement of all divided owners. It contains important items to have to do with a ownership. It has brought about some problems. One of the solution is the request for a revision of it by the good faith doctrine(BGB §242). The other is the revision of it by the enactment of special resolution clauses. It is natural that the study on it is very meaningful, because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daily life. I think the Collective Building Management Rule of Korea has to be improved. I hope that this paper help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독일 주거소유권법의 규약
      • Ⅲ. 규약에 관한 의사결정
      • Ⅳ. 결론
      • 요약
      • Ⅰ. 서론
      • Ⅱ. 독일 주거소유권법의 규약
      • Ⅲ. 규약에 관한 의사결정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봉근, "집합건물의 관리규약에 관한 논고" 법학연구소 30 (30): 152-173, 2014

      2 장병일, "집합건물의 공용부분 발생에 관한 규약의 성격" 법학연구소 (48) : 457-483, 2010

      3 박경량, "집합건물법상 관리단과 그 규약의 해당여부 판단기준" 한국법학원 30 (30): 1997

      4 이영준, "물권법" 박영사 2009

      5 박경량, "독일주거소유권법상의 집합건물 관리" 4 : 1997

      6 신봉근, "독일의 주거소유권의 성립" 동북아법연구소 9 (9): 329-351, 2015

      7 양형우, "독일법상 주거소유권과 세습지상권" 한국재산법학회 30 (30): 33-62, 2013

      8 김선이, "독일 주거소유권법에 있어서의 단체적 구속의 근거와 한계" 한국집합건물법학회 1 : 2008

      9 한삼인, "구분소유자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소고"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15 (15): 334-, 2009

      10 문흥안, "구분소유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4 : 1987

      1 신봉근, "집합건물의 관리규약에 관한 논고" 법학연구소 30 (30): 152-173, 2014

      2 장병일, "집합건물의 공용부분 발생에 관한 규약의 성격" 법학연구소 (48) : 457-483, 2010

      3 박경량, "집합건물법상 관리단과 그 규약의 해당여부 판단기준" 한국법학원 30 (30): 1997

      4 이영준, "물권법" 박영사 2009

      5 박경량, "독일주거소유권법상의 집합건물 관리" 4 : 1997

      6 신봉근, "독일의 주거소유권의 성립" 동북아법연구소 9 (9): 329-351, 2015

      7 양형우, "독일법상 주거소유권과 세습지상권" 한국재산법학회 30 (30): 33-62, 2013

      8 김선이, "독일 주거소유권법에 있어서의 단체적 구속의 근거와 한계" 한국집합건물법학회 1 : 2008

      9 한삼인, "구분소유자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소고"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15 (15): 334-, 2009

      10 문흥안, "구분소유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4 : 1987

      11 丸山英氣, "西ドイシにおける住居所有權法の諸問題" 53 (53): 1981

      12 鎌野邦樹, "著作權法と民法の現代的課題" 法學書院 2003

      13 濱崎恭生, "建物區分所有法の改訂"

      14 鎌野邦樹, "區分所有建物における規約⋅使用細則⋅集會決議の關係について" 19 (19): 2004

      15 Baur, "§29 B II Rdnr"

      16 Diester, "Zwanzig Jahre Wohnungseigentum" NJW 1971

      17 Weitnauner, "Zur Novellierung des Wohnungseigentumsgesetz"

      18 Bärmann, "Wohnungseigenumsgesetz" 2009

      19 Bärmann⋅Pick⋅Merle, "Wohnungseigentumsgesetz" 2003

      20 "Wohnungseigentumsanlagen" 2000

      21 Bärmann, "WEG § 10, 10.Auflage, Rdnr.83"

      22 Röll, "Vereinbarungen über Änderungen der Gemeinschaftsordnung durch Mehrheitsbeschluss" 1982

      23 Riecke, Schmidt, "Kompaktkommentar zum WEG, §3 Rdnr" Luchthand 2006

      24 Haublein, "Gestaltungsprobleme im Zusammenhang mit der abschnittsweisen Errichtung von Wohnungseigentumsanlagen" 2000

      25 Ulmer, "Festgabe für Herman Weitnauer zum 70 Geburtstag" 1980

      26 Reinelt, "Ermächtigung des Verkäufers zur einseitigen Ausgestaltung der Teilungserklärung" NJW 1986

      27 Armbrüter, "Die Treupflicht der Wohnungseigentümer"

      28 Junker, "Die Gesellschaft nach dem Wohnungseigentumsgesetz"

      29 Munzig, "Die Gemeinschaftsordnung im Wohnungseigentum"

      30 Schmack, "Der einstimmige Beschluß als Regelungsinstrument im Wohnungseigentimsrecht"

      31 Weitnauner, "Das Wohnungseigentumsgesetzt"

      32 Becker, "Beschlusskompetenz kraft Vereinbarung - sog. Öffnungsklausel"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1 0.41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