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과 팔괘문양은 우리의 전통적인 문양 가운데서도 상징성이 가장 강한 것으로서 오늘날까지 우리생활 속에 그 의미만큼이나 강렬한 이미지로 존재하고 있는 이유는 그기에 우리민족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31844
2015
-
630
KCI등재
학술저널
69-91(23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태극과 팔괘문양은 우리의 전통적인 문양 가운데서도 상징성이 가장 강한 것으로서 오늘날까지 우리생활 속에 그 의미만큼이나 강렬한 이미지로 존재하고 있는 이유는 그기에 우리민족의 ...
태극과 팔괘문양은 우리의 전통적인 문양 가운데서도 상징성이 가장 강한 것으로서 오늘날까지 우리생활 속에 그 의미만큼이나 강렬한 이미지로 존재하고 있는 이유는 그기에 우리민족의 근본사상과 문화적 정서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현대는 상품의 고부가가치 제고수단으로 국가의 고유문화를 담아낼 수 있는 디자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이를 활용함에 있어서도
우리 고유의 전통문양은 매우 중요한 가치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한경쟁의 세계시장에서 차별화된 우리 민족 고유의 정서와 사상이 담긴 태극과 팔괘문양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이를 우산디자인을 위한 텍스타일디자인을 개발하고 시제품으로 제작해 봄으로써 전통문양의 현대적 디자인 활용 가능성을 모색해 본 것이다.
태극이 갖고 있는 대칭적 균형의 조형미와 사상적 원리, 빨강과 청색, 또는 노랑의 기본 색상은 다소 진부한 느낌으로 인식될 수 있지만, 이를 현대적인 디자인 트렌드로 순화시키는 디자인 시도이다. 또한 팔괘의 간결하고 절제된 선과 면은 태극과의 효과적인 조화, 또는 단독으로 적용하여 강렬한 이미지의 패턴으로 구사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태극과 팔괘의 조형
적인 요소를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은 현대적 감각의 디자인으로 재해석하는 새로운 디자인 모티브로 한국을 상징하는 브랜드 이미지로 활용하는데 큰 의미를 둘 수 있다.
디자인 시제품 제작과정을 통해서는 소재, 패턴의 크기, 색상 조절 등 상품화 활용의 다양한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어, 태극과 팔괘문양의 상징적 의미와 더불어 가장 한국적인 디자인아이덴티티를 확립하는데 매우 유리한 소재라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다변화되는 국제 경쟁력 속에서 더 많은 한국 전통적 이미지의 소재발굴과 한국문양의 현대적 응용을 모색하는 창의적인 디자인 연구개발로 국가 상징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를 형성되어지길 바란다. 또한 이를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여 국민들에게 보다 친근한 이미지를 구축하고 대한민국 브랜드 가치를 높인 디자인상품의 개발
연구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attern of Taegeuk, known as the Great Ultimate, and that of Palgwae, known as the eight trigrams of divination, have been most tenacious amo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nd they can have existed until this day as exquisite meaning and image in...
The pattern of Taegeuk, known as the Great Ultimate, and that of Palgwae, known as the eight trigrams of divination, have been most tenacious amo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nd they can have existed until this day as exquisite meaning and image in our lives since they bear fundamental ideas and culture of our people.
As, modernly, the importance of the design which can embody the native culture of the nation is emphasized as the method giving high added value to the product, our own traditional pattern has more important value.
In this study, we first contemplate academically historical backgrounds and meanings of Taegeuk and Palgwae patterns that contain native sentiment and spirit of our people which is differentiated in the world market of limitless competition. On the basis of this consideration, we seek an applicability of the traditional pattern for modern design by developing textile design for umbrella and producing prototype using the design.
This is an attempt to apply Taegeuk to modern design by refining to the contemporary design trend, although an aesthetic value with symmetrical balance, an ideological principle, and primary colors-centric basic colors, red, blue, and yellow, which Taegeuk contains, can be recognized as a somewhat hackneyed sense. Also
simple and understated lines and faces of Palgwae are employed as an intensive image pattern by reconciling them with Taegeuk neoterically or using independantly.
I ascertained that these textile designs utilizing the formative constituents of Taegeuk and Palgwae are appropriate to use as the brand images symbolizing Korea as new design motives through reinterpreting from a modern viewpoint of design.
And, through the making process of prototype, I found that the diverse possibilities of the utilization for commercialization including adjustment of materials, size of pattern and colors are secured, so these patterns can be very favorable material to establish the most ‘Korean’ identity of design with symbolical meaning of Taegeuk and Palgwae patterns.
By this study, I wish the new image of nation’s symbol to be formed by excavating more motives of Korean traditional image and developing creative design for modern application of Korean pattern, in the diverse situations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lso, I hope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esign products which construct more intimate image to the public and enhance the value of Korean brand through utilizing this new image with various way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상수, "한국전통문양집" 도서출판 안그라픽스 1989
2 최충식, "한국전통문양의 이해와 응용" 창지사 2006
3 임영주, "한국전통문양 제1권 기하학적 문양과 추상문양" 예원 1998
4 李銀淑, "태극의 순환성을 바탕으로한 생명이미지 표현 :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5 송지은, "태극기를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6 남상민, "코리아브랜드 개발의 방향성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4
7 정복상, "전통문양의 응용과 전개" 1995
8 안창호, "전통문양에 나타난 음양태극과 상태극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10) : 61-74, 2004
9 백문섭, "올바른 태극기 해설" 한국윤리위원회 1991
10 이주영, "동양사상으로부터의 조형해석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주역의 상수학적 관점으로 본 조형해석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5
1 안상수, "한국전통문양집" 도서출판 안그라픽스 1989
2 최충식, "한국전통문양의 이해와 응용" 창지사 2006
3 임영주, "한국전통문양 제1권 기하학적 문양과 추상문양" 예원 1998
4 李銀淑, "태극의 순환성을 바탕으로한 생명이미지 표현 :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5 송지은, "태극기를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6 남상민, "코리아브랜드 개발의 방향성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4
7 정복상, "전통문양의 응용과 전개" 1995
8 안창호, "전통문양에 나타난 음양태극과 상태극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10) : 61-74, 2004
9 백문섭, "올바른 태극기 해설" 한국윤리위원회 1991
10 이주영, "동양사상으로부터의 조형해석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주역의 상수학적 관점으로 본 조형해석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5
11 김언배, "국가 상징물을 응용한 텍스타일디자인 연구" 울산대학교 조형대학 2 (2): 1999
12 房英柱, "朝鮮朝 太極 紋樣 硏究"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1986
금속의 탄성을 이용한 유기적 연결구조의 장신구 조형 연구
크리스토-쟌느 클로드의 포장기법을 이용한 장신구 표현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4-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 The Korea Association of Art&Design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3-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공예논총 -> 조형디자인연구외국어명 : The Korea Society of Craft ->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 |
2009-06-15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공예학회 -> 한국조형디자인학회영문명 : Korea Society Of Craft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1 | 0.31 | 0.586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