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공단지역에 우점하고 있는 덩굴식물류의 식생변화 = Vegatation of Liana Dominating in the Vicinity of Onsan Industrial Comple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67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n liana dominating at the vicinity of Onsan Industrial Complex declining P. thunbergii foersts. It was surveyed 16 species, 30 species and 50 species at upper, middle and understory, respectively. It was dominant P. thunbergii at upperstory, and P. densiflora, P. thunbergii, Quercus dentata and Q. serrata at middlestory, and Smilax china, Paederia scandens, Symplocos chinensis var. sinuata, Styrax japonica, Lonicera japonica and Q. serrata etc. at understory. It was the highest importance value(13.2) of S. china among all liana, and in order of L. japonica (11.7), P. scandens (11.5) and Cocculus trilobus (7.7). Number of species, Species diversity, Maximum species diversity, Evenness and Dominance of woody plants
      at upperstory and middlestory by each survey site were higher in forest areas than industrial complex, but those
      of understory highly showed at industrial complex, and ratio of liana at understory was high . It showed total 50 species at herbaceous plants, and was high I.V. of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Spodiopogon cotulifer, Commerelina commuris, Phytolacca americana, Rubus parvifolius, Miscanthussinensis var. purpurascens and Calamagrostis arundinacea, etc.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n liana dominating at the vicinity of Onsan Industrial Complex declining P. thunbergii foersts. It was surveyed 16 species, 30 species and 50 species at upper, middle and understory, respectively. It was dominant P. thu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n liana dominating at the vicinity of Onsan Industrial Complex declining P. thunbergii foersts. It was surveyed 16 species, 30 species and 50 species at upper, middle and understory, respectively. It was dominant P. thunbergii at upperstory, and P. densiflora, P. thunbergii, Quercus dentata and Q. serrata at middlestory, and Smilax china, Paederia scandens, Symplocos chinensis var. sinuata, Styrax japonica, Lonicera japonica and Q. serrata etc. at understory. It was the highest importance value(13.2) of S. china among all liana, and in order of L. japonica (11.7), P. scandens (11.5) and Cocculus trilobus (7.7). Number of species, Species diversity, Maximum species diversity, Evenness and Dominance of woody plants
      at upperstory and middlestory by each survey site were higher in forest areas than industrial complex, but those
      of understory highly showed at industrial complex, and ratio of liana at understory was high . It showed total 50 species at herbaceous plants, and was high I.V. of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Spodiopogon cotulifer, Commerelina commuris, Phytolacca americana, Rubus parvifolius, Miscanthussinensis var. purpurascens and Calamagrostis arundinacea, et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공업단지 중 화학비료를 생산하고 있는 온산공단주변의 해송림이 쇠퇴된 이후 그곳에 덩굴 식물류의 우점현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하층식생에 덩굴식물류의 중요치는 청미래덩굴(Smilax china)이 13.2로 가장 높았으며, 인동(Lonicera japonica)이 11.7, 계요등(Paederia scandens) 11.5, 댕댕
      이덩굴(Cocclus trilobus)이 7.7의 순으로 높아 대기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훼손지역의 1차 식생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각 조사지별 목본류의 종수와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 우점도를 층위별로 나타낸 결과 상층, 중층 식생에서는 종수,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 우점도가 산림지역이 공단지역보다 높게 나타나 공단 주변 식생의 단순함을 보였으며, 하층 식생에서는 공단지역이 산림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덩굴식물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높은 것이 원인인 것 같다. 초본류 조사에서는 총 59종이 출현하였으며,
      고사리, 기름새, 닭의장풀, 미국자리공, 멍석딸기, 억새, 실새풀 등에서 중요치가 높아 대기오염지역의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종수,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 우점도에서는 지역간의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공단지역이 산림지역보다는 덩굴식물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인접한 경기화학의 영향으로 상층식생의 쇠퇴에 따른 광조건에 의하여 열대성 식물인 덩굴식물이 우점종으로 나타나 생태계의 교란으로 인한 사막화 현상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우리나라 공업단지 중 화학비료를 생산하고 있는 온산공단주변의 해송림이 쇠퇴된 이후 그곳에 덩굴 식물류의 우점현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하층식생에 덩굴식물류...

      우리나라 공업단지 중 화학비료를 생산하고 있는 온산공단주변의 해송림이 쇠퇴된 이후 그곳에 덩굴 식물류의 우점현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하층식생에 덩굴식물류의 중요치는 청미래덩굴(Smilax china)이 13.2로 가장 높았으며, 인동(Lonicera japonica)이 11.7, 계요등(Paederia scandens) 11.5, 댕댕
      이덩굴(Cocclus trilobus)이 7.7의 순으로 높아 대기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훼손지역의 1차 식생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각 조사지별 목본류의 종수와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 우점도를 층위별로 나타낸 결과 상층, 중층 식생에서는 종수,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 우점도가 산림지역이 공단지역보다 높게 나타나 공단 주변 식생의 단순함을 보였으며, 하층 식생에서는 공단지역이 산림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덩굴식물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높은 것이 원인인 것 같다. 초본류 조사에서는 총 59종이 출현하였으며,
      고사리, 기름새, 닭의장풀, 미국자리공, 멍석딸기, 억새, 실새풀 등에서 중요치가 높아 대기오염지역의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종수,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 우점도에서는 지역간의 구분이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공단지역이 산림지역보다는 덩굴식물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인접한 경기화학의 영향으로 상층식생의 쇠퇴에 따른 광조건에 의하여 열대성 식물인 덩굴식물이 우점종으로 나타나 생태계의 교란으로 인한 사막화 현상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욱, "환경오염에 의한 울산지역의 산림생태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60-69,

      2 "환경녹화용 만경식물의 이용성 개발에 관한 기초적 연구 서울대학교 농학연구" 63-79, 1978

      3 "입면녹화용 덩굴식물의 분포 특성" 11 (11): 270-276, 1997

      4 "온산공단 주변의 해송림의 초본식생에 관한 조사" 247-255, 1992

      5 "오염지역 생태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 -여천 공단 주변지역의 식생을 중심으로- 국립환경연구원보 10" 89-110, 1988

      6 "사상공단주변의 대기오염이 산림식생에 미치는영향" 74 p 1994

      7 "사대공단 주변의 식생에 대한 연구" 8-13 1982

      8 "덩굴성 식물의 광합성 특성에 관한 연구" 44-50, 1985

      9 "대기오염지역의 산림식생구조와 엽내오염물질 함량에 관한 연구" 360-371, 1989

      10 "대기오염에 의한 식물군집의 피해평가 및유지방안에 관한 연구 -온산공단 주변지역의 식생을중심으로- 국립환경연구원보 11" 1989185-206

      1 김태욱, "환경오염에 의한 울산지역의 산림생태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60-69,

      2 "환경녹화용 만경식물의 이용성 개발에 관한 기초적 연구 서울대학교 농학연구" 63-79, 1978

      3 "입면녹화용 덩굴식물의 분포 특성" 11 (11): 270-276, 1997

      4 "온산공단 주변의 해송림의 초본식생에 관한 조사" 247-255, 1992

      5 "오염지역 생태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 -여천 공단 주변지역의 식생을 중심으로- 국립환경연구원보 10" 89-110, 1988

      6 "사상공단주변의 대기오염이 산림식생에 미치는영향" 74 p 1994

      7 "사대공단 주변의 식생에 대한 연구" 8-13 1982

      8 "덩굴성 식물의 광합성 특성에 관한 연구" 44-50, 1985

      9 "대기오염지역의 산림식생구조와 엽내오염물질 함량에 관한 연구" 360-371, 1989

      10 "대기오염에 의한 식물군집의 피해평가 및유지방안에 관한 연구 -온산공단 주변지역의 식생을중심으로- 국립환경연구원보 11" 1989185-206

      11 "대기오염물질이 여천공단주변 해송의 양료동태와군락구조에 미치는 영향" 1-101, 1992

      12 "공업 도시화에 따른 울산 온산지구의 환경과 식생의 변화에 관한 연구" 101-, 1986

      13 "The study of plantcommunities Translated by G" Mcgraw-Hill Book Compnay Inc 377-, 19321965

      14 "Lianas Biomass and Leaf Area of a Forest in the Rio Negro Basin" 1983185-189

      15 "Homage to Evelyn Hutchinson or why is therean upper limit to diversity" 211-35, 1972

      16 "Ecology of plants" 422-, 1975

      17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communities" 250-147 259, 1965

      18 "Cadmium concentrations incress shoots in relation to cadmium enhanced ozone phytotoxicity" 67-76,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11-01 평가 SCOPUS 등재 (등재유지) KCI등재
      2013-04-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생태학회지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외국어명 :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3-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8 0.08 0.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7 0.298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