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형태의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051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형태는 대상의 자극이 저장된 신경생물학적 패턴 또는 저장된 자극이 없는 신경생물학적 패턴에 언어적 지각이 투영되어 재구성되는 그 순간의 인식작용에 의한 것이다. 인식은 불확실한 것이다. 인식론적 불확실성에 관한 베이스 정리가 형태의 불확실성을 추정하는 방법이 될 수도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하고자 함이 목적이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형태는 지각과 위상차원의 관점에서 논의된다. 논의를 바탕으로 형태를 저장된 자극에 의한 경우와 저장된 자극이 없는 경우로 구분한다. 전자는 경험적 형태이고 후자는 선험적 형태이다. 각각의 형태는 주체와 수용자에 의해 긍정 또는 부정으로 판단된다. 주체에 의해 판단된 긍정과 부정의 확률이 사전 확률이며 수용자에 의해 판단된 긍정과 부정의 확률이 조건 확률이다. 사전확률과 조건 확률을 베이스 정리에 대입하여 형태의 불확실성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구성한다.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형태의 불확실성을 추정하는 수학공식이 베이스 정리이다. 베이스 정리를 통해 대상과의 개연성이 높은 특수한 형태와 개연성이 낮은 보편적 형태를 확률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전략적 판단이 가능하다. 디자인 형태는 문화적·기술적 맥락 속에서 보편적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특수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형태는 신경생물학적 패턴에 투영된 언어적 지각에 의해 구현되며 지각된 언어적 의미는 문화적·기술적 맥락 속에서 파악된다. 언어적 의미는 수용자의 요구이다. 수용자의 요구는 보편적일 수도 있고 특수할 수도 있지만 지각의 매개인 신경생물학적 패턴이 보편적이기 때문에 디자인 형태는 보편성을 지향해야한다. 베이스 정리는 특수와 보편의 정도를 스스로 검증하는 수학적 방법이다. 형태의 불확실성에 관한 본 연구는 형태의 보편성을 전략적으로 판단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형태는 대상의 자극이 저장된 신경생물학적 패턴 또는 저장된 자극이 없는 신경생물학적 패턴에 언어적 지각이 투영되어 재구성되는 그 순간의 인식작용에 의한 것이다. 인식은 불확실한 ...

      형태는 대상의 자극이 저장된 신경생물학적 패턴 또는 저장된 자극이 없는 신경생물학적 패턴에 언어적 지각이 투영되어 재구성되는 그 순간의 인식작용에 의한 것이다. 인식은 불확실한 것이다. 인식론적 불확실성에 관한 베이스 정리가 형태의 불확실성을 추정하는 방법이 될 수도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하고자 함이 목적이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형태는 지각과 위상차원의 관점에서 논의된다. 논의를 바탕으로 형태를 저장된 자극에 의한 경우와 저장된 자극이 없는 경우로 구분한다. 전자는 경험적 형태이고 후자는 선험적 형태이다. 각각의 형태는 주체와 수용자에 의해 긍정 또는 부정으로 판단된다. 주체에 의해 판단된 긍정과 부정의 확률이 사전 확률이며 수용자에 의해 판단된 긍정과 부정의 확률이 조건 확률이다. 사전확률과 조건 확률을 베이스 정리에 대입하여 형태의 불확실성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구성한다.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형태의 불확실성을 추정하는 수학공식이 베이스 정리이다. 베이스 정리를 통해 대상과의 개연성이 높은 특수한 형태와 개연성이 낮은 보편적 형태를 확률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전략적 판단이 가능하다. 디자인 형태는 문화적·기술적 맥락 속에서 보편적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특수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형태는 신경생물학적 패턴에 투영된 언어적 지각에 의해 구현되며 지각된 언어적 의미는 문화적·기술적 맥락 속에서 파악된다. 언어적 의미는 수용자의 요구이다. 수용자의 요구는 보편적일 수도 있고 특수할 수도 있지만 지각의 매개인 신경생물학적 패턴이 보편적이기 때문에 디자인 형태는 보편성을 지향해야한다. 베이스 정리는 특수와 보편의 정도를 스스로 검증하는 수학적 방법이다. 형태의 불확실성에 관한 본 연구는 형태의 보편성을 전략적으로 판단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form is attributed to cognition at the very moment that the stimulus of an object is restructured as linguistic cognition is projected on either the neurobiological pattern in which the stimulus of an object is stored or the neurobiological pattern without any stored stimulus. Cognition is something uncer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Bayes’ Theorem about epistemic uncertainty can be a way to estimate the uncertainty of a form, and the study method employed for it is as follows. The form i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perceptive and topological dimensions. Based on the discussion, forms are divided into those attributed to stored stimuli and those without stored stimuli. The former is the empirical form, and the latter is the transcendental form. Each of the forms gets to be judged as either affirmation or negation by the agent and the receiver. The probability of affirmation and negation judged by the agent is prior probability while the probability of affirmation and negation judged by the receiver corresponds to conditional probability. This study adopts the method to estimate the uncertainty of a form by substituting prior probability and conditional probability to Bayes’ Theorem. And the study has drawn the followings. The mathematical formula estimating the uncertainty of a form based on data is Bayes’ Theorem. With Bayes’ Theorem, we can judge probabilistically either a specific form with high plausibility about the object or a universal form with low plausibility. In other words, we can practice strategic judgment with it. A design form can be realized as either a particular form or a universal form within cultural·technological context. A form is realized by linguistic cognition projected onto the neurobiological pattern, and linguistic meaning perceived is understood within cultural·technological context. Linguistic meaning is what is demanded by the receiver. The receiver’s demand can be either universal or specific; however, because the neurobiological pattern which is the medium of cognition is universal, the design form should pursue universality. Bayes’ Theorem is a mathematical method that verifies the degrees of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on its own. This study that deals with the uncertainty of a form is expected to be used as a way to judge the universality of a form strategically afterwards.
      번역하기

      A form is attributed to cognition at the very moment that the stimulus of an object is restructured as linguistic cognition is projected on either the neurobiological pattern in which the stimulus of an object is stored or the neurobiological pattern ...

      A form is attributed to cognition at the very moment that the stimulus of an object is restructured as linguistic cognition is projected on either the neurobiological pattern in which the stimulus of an object is stored or the neurobiological pattern without any stored stimulus. Cognition is something uncer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Bayes’ Theorem about epistemic uncertainty can be a way to estimate the uncertainty of a form, and the study method employed for it is as follows. The form i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perceptive and topological dimensions. Based on the discussion, forms are divided into those attributed to stored stimuli and those without stored stimuli. The former is the empirical form, and the latter is the transcendental form. Each of the forms gets to be judged as either affirmation or negation by the agent and the receiver. The probability of affirmation and negation judged by the agent is prior probability while the probability of affirmation and negation judged by the receiver corresponds to conditional probability. This study adopts the method to estimate the uncertainty of a form by substituting prior probability and conditional probability to Bayes’ Theorem. And the study has drawn the followings. The mathematical formula estimating the uncertainty of a form based on data is Bayes’ Theorem. With Bayes’ Theorem, we can judge probabilistically either a specific form with high plausibility about the object or a universal form with low plausibility. In other words, we can practice strategic judgment with it. A design form can be realized as either a particular form or a universal form within cultural·technological context. A form is realized by linguistic cognition projected onto the neurobiological pattern, and linguistic meaning perceived is understood within cultural·technological context. Linguistic meaning is what is demanded by the receiver. The receiver’s demand can be either universal or specific; however, because the neurobiological pattern which is the medium of cognition is universal, the design form should pursue universality. Bayes’ Theorem is a mathematical method that verifies the degrees of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on its own. This study that deals with the uncertainty of a form is expected to be used as a way to judge the universality of a form strategically afterwar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형태의 지각
      • Ⅲ. 지각과 위상차원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형태의 지각
      • Ⅲ. 지각과 위상차원
      • Ⅳ. 형태의 불확실성
      • Ⅴ. 베이스 정리
      • Ⅵ. 적용 및 분석
      • Ⅶ. 결론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재성, "형태의 표현 형식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45-53, 2014

      2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헤겔자연철학Ⅰ" 나남 2008

      3 김용운, "프랙탈과 카오스의 세계" 도서출판 우성 1998

      4 김성제, "체계이론과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5 백종현, "존재와 진리[전정판]" 철학과현실사 2008

      6 존 로버트 앤더슨, "인지심리학과 그 응용"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2

      7 Stephen K. Reed, "인지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6

      8 에른스트 페터 피셔, "인간" 들녘 2010

      9 네이트 실버, "신호와 소음" 도서출판 길벗 2014

      10 소광섭, "물리학과 대승기신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1 고재성, "형태의 표현 형식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45-53, 2014

      2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헤겔자연철학Ⅰ" 나남 2008

      3 김용운, "프랙탈과 카오스의 세계" 도서출판 우성 1998

      4 김성제, "체계이론과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5 백종현, "존재와 진리[전정판]" 철학과현실사 2008

      6 존 로버트 앤더슨, "인지심리학과 그 응용"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2

      7 Stephen K. Reed, "인지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6

      8 에른스트 페터 피셔, "인간" 들녘 2010

      9 네이트 실버, "신호와 소음" 도서출판 길벗 2014

      10 소광섭, "물리학과 대승기신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11 빌라야누르 라마찬드라, "두뇌실험실" 바다출판사 2009

      12 김용운, "도형에서 공간으로" 도서출판 우성 2002

      13 김용운, "도형 이야기" 도서출판 우성 2005

      14 뉴턴하이라이트, "뇌와 마음의 구조" 뉴턴코리아 2007

      15 박문호, "뇌 생각의 출현" 휴머니스트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CI등재
      2019-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70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