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대일로 전략하에서 중국 미식 다큐멘터리의 전파 - <혀끝으로 보는 중국>과 <풍미 인간>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93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대일로는 실크로드 연선에 있는 국가의 공동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하나의 방책으로, 문화의 전파와 발전은 일대일로 전략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다큐멘터리는 세계 각국이 교류하...

      일대일로는 실크로드 연선에 있는 국가의 공동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하나의 방책으로, 문화의 전파와 발전은 일대일로 전략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다큐멘터리는 세계 각국이 교류하고 소통하는 방식으로 민족과 국가의 문화적 가치를 잘 담아 민족문화를 전파하는 이상적인 전파 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혀끝으로 보는 중국>과 <풍미 인간>은 최근 몇 년간 중국의 대표적인 인기 미식 다큐멘터리이다.
      이 다큐멘터리들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가까운 음식과 인문 감정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이들은 중국에서뿐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며 중국 음식과 중국 문화를 알리는 데 성공했다. 이 다큐멘터리들이 중화 문화의 전파만을 위해서 제작한 작품은 아니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들은 중국에서뿐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며 중국 음식과 중국 문화를 알리는 데에 성공했다.
      이 논문은 <혀끝으로 보는 중국>과 <풍미 인간>의 두 편의 인기 있는 미식 다큐멘터리의 비교분석과 이들 프로그램의 성공 원인을 추출하였다. 생활화된 주제의 선택, 미식과 이야기가 결합된 서사 수법, 시각화 촬영과 편집 기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끝으로 이러한 분석을 통해, 미식 다큐멘터리의 전파와 발전방향을 민족성과 세계적 결합의 선택, 뉴미디어에 의한 다원적 전파, 일대일로 다큐멘터리 브랜드화 지향의 세가지로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 the Belt and Road Strategy basis, the propaga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e is a very important part of the the Belt and Road strategy as a measure to promote the joint development of the country in the Silk Road coalition. Documentaries are becom...

      On the Belt and Road Strategy basis, the propaga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e is a very important part of the the Belt and Road strategy as a measure to promote the joint development of the country in the Silk Road coalition. Documentaries are becoming an ideal way to spread national culture by capturing national and national cultural values in a way that countries around the world exchange and communicate. With its unique charm in recent years, it has become the most popular documentary type. <A Bite of China> and <Once Upon a Bite> are some of China’s most popular gastronomic documentaries in recent years. These documentaries have become very popular for food and humanities feelings that are close to our daily lives. They have succeeded in promoting Chinese food and Chinese culture, creating a sensation not only in China but also in many countries. These documentaries were not produced solely for the spread of Chinese culture. The global spread of these two documentaries, which achieved great success by raising sympathy for the Chinese food culture, is coincidental. And with the promotion of the media, gastronomic documentaries have spread a lot to other countries. <Once Upon a Bite>can appeal more to audiences in other countries as the content and filming style with a global perspective is relatively expanded than that of the <A Bite of China>series. Through two popular gastronomic documentaries, <A Bite of China> and <Once Upon a Bite> the paper analyzes why gourmet genre documentaries are so popular and the direction in which gourmet documentaries are widely spread under the Belt and Road strateg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혀끝으로 보는 중국>과 <풍미 인간>의 비교
      • Ⅲ. 미식 다큐멘터리 성공의 원인
      • Ⅳ. 미식 다큐멘터리 전파와 발전 방향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혀끝으로 보는 중국>과 <풍미 인간>의 비교
      • Ⅲ. 미식 다큐멘터리 성공의 원인
      • Ⅳ. 미식 다큐멘터리 전파와 발전 방향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葉玲, "「‘一帶一路’背景下中國飲食文化走出去研究--以《舌尖上的中國》裡菜名翻譯為裡" S1 : 2017

      2 주로, "한중 음식명 명명 방식의 대조 연구 : 만화 식객 과 다큐멘터리 ‘舌尖上的中國’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대학원 2020

      3 배정민, "한류가 중국소비자의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음식제품 및 음식기업이미지 중심으로" 현대중국학회 11 (11): 123-155, 2010

      4 배기형, "텔레비전 콘텐츠마켓과 글로벌 프로듀싱" Communication Books 2012

      5 김옥준,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구상과 정치·경제적 함의: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축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8 (18): 289-308, 2015

      6 왕운, "중국 음식 다큐멘터리<풍미 인간>의 성공 요인 분석" 건국대학교대학원 2020

      7 주용식, "중국 ‘일대일로 (一帶一路)’ 에 대한 전망 분석: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8 (18): 169-190, 2015

      8 주현식, "음식 다큐멘터리 TV의 연행성-<한국인의 밥상>을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20 (20): 443-488, 2014

      9 조관연, "역사 다큐 속의 재연과 진실성 -≪실크로드≫와 ≪신실크로드≫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10) : 35-58, 2007

      10 채비, "다큐멘터리의 중한 번역 방법 연구 : 풍미 인간 의 음식 문화소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원 2020

      1 葉玲, "「‘一帶一路’背景下中國飲食文化走出去研究--以《舌尖上的中國》裡菜名翻譯為裡" S1 : 2017

      2 주로, "한중 음식명 명명 방식의 대조 연구 : 만화 식객 과 다큐멘터리 ‘舌尖上的中國’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대학원 2020

      3 배정민, "한류가 중국소비자의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음식제품 및 음식기업이미지 중심으로" 현대중국학회 11 (11): 123-155, 2010

      4 배기형, "텔레비전 콘텐츠마켓과 글로벌 프로듀싱" Communication Books 2012

      5 김옥준,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구상과 정치·경제적 함의: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축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8 (18): 289-308, 2015

      6 왕운, "중국 음식 다큐멘터리<풍미 인간>의 성공 요인 분석" 건국대학교대학원 2020

      7 주용식, "중국 ‘일대일로 (一帶一路)’ 에 대한 전망 분석: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8 (18): 169-190, 2015

      8 주현식, "음식 다큐멘터리 TV의 연행성-<한국인의 밥상>을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20 (20): 443-488, 2014

      9 조관연, "역사 다큐 속의 재연과 진실성 -≪실크로드≫와 ≪신실크로드≫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10) : 35-58, 2007

      10 채비, "다큐멘터리의 중한 번역 방법 연구 : 풍미 인간 의 음식 문화소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원 2020

      11 형대조, "다큐멘터리, 현장을 말한다" CommunicationBooks 2015

      12 白茹雪, "跨文化傳播視角下紀錄片對國家形象的塑造--以《一帶一路》為例" 6 : 2019

      13 李勇, "論電視紀錄片的文化展示功能及其敘事策略--以《舌尖上的中國》為例" 2 : 2013

      14 張莉, "紀錄片《舌尖上的中國》的成功因素探析" 7 : 2012

      15 胡家翀, "紀錄片《一帶一路》的跨文化傳播與國家形象構建" 15 : 2017

      16 江俞希, "從《風味人間》看中國紀錄片的新突破" 6 : 2019

      17 嚴文明, "從《舌尖上的中國》到《風味人間》:美食題材紀錄片的新探索" 3 : 2019

      18 李紓涵, "從‘舌尖’到‘中國’--從文化認同到國家認同" 10 : 2013

      19 李聰聰, "媒介融合視域下紀錄片的文化傳播--以《舌尖上的中國》為例" 18 : 2017

      20 王燦, "以《風味人間》為例探究飲食文化類紀錄片傳播新走向" 15 : 2019

      21 張語洋, "一帶一路語境下絲綢之路電視紀錄片的跨文化傳播" 11 : 2015

      22 包來軍, "一帶一路紀錄片傳播研究(1980-2015)" 中國致公出版社 2018

      23 趙立慶, "一帶一路戰略下文化交流的實現路徑研究" 5 : 2016

      24 張娜, "‘文化走出去’與中國紀錄片跨文化傳播" 4 : 2018

      25 Selcuk Esenbel, "Japan on the Silk Road: Encounters and Perspectives of Politics and Culture in Eurasia" BRILL 2017

      26 Tim Winter, "Geocultural Power: China’s Quest to Revive the Silk Road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