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박중독의 재활: 타 정신장애와의 비교 = The Rehabilitation of Gambling Addiction: Comparison with the other psychiatric dis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003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present state and differences of rehabilitation programs of the gambling addiction by comparing with other psychiatric disorder(including psychotic disability and alcohol addiction). This study also intended to suggest necessities, meanings and inherent fields of the rehabilitation in gambling addiction. First of all, the government and a few gambling industries run clinic centers for gamblers and their families, but have been lacked rehabilitation services for social comeback and adaptation or devaluated rehabilitation services than therapies. Gambling addict didn't have impairments of the cognitive function and their daily abilities was better than any other psychiatric disorders. But Damage of social role or function of gambling addiction was severe. And it is caused by nonadaptive nature of gambling behavior, personality/emotional change through gambling addiction process, and previous personality problem etc. There are many severe failure of social role and its attendant bankrupcy, family's problems and social poverty in gambling addiction, Therefore, important fields in the rehabilitation of gambling addiction should be services for basic social comeback support service, credit recovery support, monetary management, support of rehabilitation of family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critical points of the current study has been discussed as well.
      번역하기

      This study reviewed the present state and differences of rehabilitation programs of the gambling addiction by comparing with other psychiatric disorder(including psychotic disability and alcohol addiction). This study also intended to suggest necessit...

      This study reviewed the present state and differences of rehabilitation programs of the gambling addiction by comparing with other psychiatric disorder(including psychotic disability and alcohol addiction). This study also intended to suggest necessities, meanings and inherent fields of the rehabilitation in gambling addiction. First of all, the government and a few gambling industries run clinic centers for gamblers and their families, but have been lacked rehabilitation services for social comeback and adaptation or devaluated rehabilitation services than therapies. Gambling addict didn't have impairments of the cognitive function and their daily abilities was better than any other psychiatric disorders. But Damage of social role or function of gambling addiction was severe. And it is caused by nonadaptive nature of gambling behavior, personality/emotional change through gambling addiction process, and previous personality problem etc. There are many severe failure of social role and its attendant bankrupcy, family's problems and social poverty in gambling addiction, Therefore, important fields in the rehabilitation of gambling addiction should be services for basic social comeback support service, credit recovery support, monetary management, support of rehabilitation of family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critical points of the current study has been discussed as wel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다른 정신장애(정신병적 장애 및 알코올 중독)와 비교하여 도박중독의 재활에 대한 국내외 현황과 실태, 차이점을 살펴보고 도박중독에 있어서의 재활의 필요성과 의미 및 도박중독에 고유한 재활 영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국내외에서는 국가 혹은 사행산업체가 운영하는 상담, 치료 센터에서 일부 주민등록과 의료보험회복지원, 법률 지원, 거주시설 및 직업 재활 등이 제공되고 있지만 도박중독 및 그 가족의 사회 복귀 및 적응에 필요한 재활 지원은 치료에 비해 매우 부족하거나 등한시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타 정신장애와 달리 도박중독은 인지적 기능이나 일생생활 기능의 결함이 없거나 극소한 반면 사회적 역할의 손상이 심각한데 이는 도박의 고유한 본성, 도박중독으로 발전하면서 수반되는 성격적/정서적 변화, 병전의 성격적 결함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시사된다. 도박중독에서는 사회적 역할 손상과 이로 인한 신용 불량, 가족 해체, 사회 빈곤화 등 사회경제적 문제가 심각한 바, 도박중독의 재활에서 중요한 영역들은 사회복귀 서비스 지원, 신용회복 지원, 금전 관리 지원, 가족의 재활 지원, 직업 재활 서비스 등이 중심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세부적 영역을 중심으로 그 의미와 기능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의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다른 정신장애(정신병적 장애 및 알코올 중독)와 비교하여 도박중독의 재활에 대한 국내외 현황과 실태, 차이점을 살펴보고 도박중독에 있어서의 재활의 필요성과 의미 및 도...

      본 연구에서는 다른 정신장애(정신병적 장애 및 알코올 중독)와 비교하여 도박중독의 재활에 대한 국내외 현황과 실태, 차이점을 살펴보고 도박중독에 있어서의 재활의 필요성과 의미 및 도박중독에 고유한 재활 영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국내외에서는 국가 혹은 사행산업체가 운영하는 상담, 치료 센터에서 일부 주민등록과 의료보험회복지원, 법률 지원, 거주시설 및 직업 재활 등이 제공되고 있지만 도박중독 및 그 가족의 사회 복귀 및 적응에 필요한 재활 지원은 치료에 비해 매우 부족하거나 등한시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타 정신장애와 달리 도박중독은 인지적 기능이나 일생생활 기능의 결함이 없거나 극소한 반면 사회적 역할의 손상이 심각한데 이는 도박의 고유한 본성, 도박중독으로 발전하면서 수반되는 성격적/정서적 변화, 병전의 성격적 결함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시사된다. 도박중독에서는 사회적 역할 손상과 이로 인한 신용 불량, 가족 해체, 사회 빈곤화 등 사회경제적 문제가 심각한 바, 도박중독의 재활에서 중요한 영역들은 사회복귀 서비스 지원, 신용회복 지원, 금전 관리 지원, 가족의 재활 지원, 직업 재활 서비스 등이 중심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세부적 영역을 중심으로 그 의미와 기능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의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교헌, "한국사회의 병적 도박 유병률에 대한 연구: KNODS, KMAGS 및 KSOGS의 추정치 비교" 한국건강심리학회 10 (10): 227-242, 2005

      2 한성열, "한국사회의 도박 이용율과 이용실태 및 병적 도박 유병률- 도박 종류를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255-276, 2009

      3 김교헌, "한국 도박중독 문제의 책임과 대처"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27-39, 2009

      4 이인혜, "카지노유치지역 주민의 도박참여 실태와 삶의 만족도 : 강원 폐광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1 (11): 67-82, 2005

      5 연미영, "청소년의 충동성, 가족도박수준 및 거주지역이 청소년의 도박행동, 도박신념 및 미래의 도박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14, 2006

      6 노동부, "직능사업가이드북" 2009

      7 전영민, "중독예방·치유센터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연구"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2008

      8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보건복지부 연구용역사업 보고서" 2006

      9 나운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전문가와 직업재활전문가를 중심으로" 41 (41): 147-168, 2002

      10 배정규, "정신사회재활에서 임상심리학자의 역할" 3 (3): 311-325, 1996

      1 김교헌, "한국사회의 병적 도박 유병률에 대한 연구: KNODS, KMAGS 및 KSOGS의 추정치 비교" 한국건강심리학회 10 (10): 227-242, 2005

      2 한성열, "한국사회의 도박 이용율과 이용실태 및 병적 도박 유병률- 도박 종류를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255-276, 2009

      3 김교헌, "한국 도박중독 문제의 책임과 대처"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27-39, 2009

      4 이인혜, "카지노유치지역 주민의 도박참여 실태와 삶의 만족도 : 강원 폐광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1 (11): 67-82, 2005

      5 연미영, "청소년의 충동성, 가족도박수준 및 거주지역이 청소년의 도박행동, 도박신념 및 미래의 도박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14, 2006

      6 노동부, "직능사업가이드북" 2009

      7 전영민, "중독예방·치유센터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연구"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2008

      8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보건복지부 연구용역사업 보고서" 2006

      9 나운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전문가와 직업재활전문가를 중심으로" 41 (41): 147-168, 2002

      10 배정규, "정신사회재활에서 임상심리학자의 역할" 3 (3): 311-325, 1996

      11 손명자, "정신분열병과 가족" 도서출판 정신재활 2003

      12 보건복지부, "정신보건사업 안내" 2008

      13 한성열, "전 국민 대상 대규모 도박이용실태 조사. 2009년도 한국마사회 연구용역 보고서" 한국마사회 2009

      14 보건복지부, "장애등급판정기준"

      15 정우진, "음주의 사회경제적 비용 추계" 대한예방의학회 39 (39): 21-29, 2006

      16 권구영, "우리나라 알코올중독 치료 현황의 이해를 위한 기술적 연구" 7 (7): 77-111, 2002

      17 이희승, "엣센스 국어사전" 민중서림 1996

      18 천성수, "알코올중독예방 및 재활을 위한 보건복지적 과제" 한국알코올과학회 5 (5): 75-91, 2004

      19 김성곤, "알코올 중독의 재활에 대한 최신지견"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8 (8): 3-12, 2002

      20 김한오, "알코올 전문병원의 프로그램 개발 및 발전 방향" 2005

      21 이흥표, "습관성 도박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7

      22 이흥표, "습관성 도박 치료 프로그램" 학지사 2004

      23 스포츠 서울닷컴, "스포츠 서울닷컴 (2009). 집중취재 패륜범죄 저지르는 ‘공공의 적.’ 2009. 8. 29"

      24 한국 단도박 친목모임, "새로운 시작" 뒷목 출판사 1994

      25 인코그룹, "병적 도박 실태조사 및 치료 프로그램. 한국마사회 및 국민체육진흥공단 연구보고서" 2002

      26 Liberman, R. P., "만성 정신과 환자를 위한 정신재활" 하나의학사 1995

      27 한성열, "도박이용실태 및 도박중독 유병률 조사" 한국마사회 2008

      28 이태원, "도박의 정치 경제학: 한국사회의 도박 합법화와 도박문제 확산에 관한 비판적 접근" 56 : 179-214, 1999

      29 이흥표, "도박의 심리" 학지사 2002

      30 "뉴스앤피플 (2006). 부패, ‘도박공화국’에 ‘패륜천국’이 왠 말인가. 2006. 8. 21"

      31 Lopez Viets, V. C., "Treating pathological gambling. in: Treating addictive behaviors(2nd ed.)" Plenum 1998

      32 Knowles, E. S., "The relationship of risk motivation to the subject assessment of risk and the preference for risk. in: Gambling and Society: Inter -disciplinary Studies on The Subject of Gambling" Charles C Thomas 1976

      33 Rosenthal, R. J., "The psychodynamics of pathological gambl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 The Handbook of Pathological Gambling" Charles C Thomas Publisher 1987

      34 Rosenthal, R. J., "The pathological gambler’s system for self-deception" 2 (2): 108-120, 1986

      35 Lorenz, V. C., "The impact of pathological gambling on the spouse of the gambler" 11 : 67-76, 1983

      36 Lee, H, P., "The five-factor gambling motivation model" 150 : 21-32, 2007

      37 Ladouceur, R., "Social cost of pathological gambling" 10 (10): 399-409, 1994

      38 Lieberman, R. P., "Psychiatric Rehabilitation of Chronic Mental Patients" American Psychiatric Press 1988

      39 Anthony, W., "Psychiatric Rehabilitation" Bosten University. Center for Psychiatric Rehabilitation 1990

      40 Custer, R. L., "Profie of the pathological gambler" 45 : 35-38, 1984

      41 Minister of Health, "Problem Gambling Intervention Services in New Zealand, 2007 Service-uster statistics" 2008

      42 AADAC, "Problem Gambling Information and Services Summary" Alberba Health Service 2001

      43 Chiu, J. W., "Predictors of Gambl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Texas Tech University 1997

      44 Bolen, D. W., "Personality traits of pathological gamblers" University of Nevada 1975

      45 McCormick, R. A., "Personality profiles of hospitalised pathological gamblers: the California Personality Inventory" 43 (43): 521-527, 1987

      46 Roy, A., "Personality factors and pathological gambling" 80 (80): 37-39, 1989

      47 Graham, J. R., "Personality dimensions of the pathological gambler" 2 (2): 58-66, 1986

      48 Lorenz, V. C., "Pathological gambling: psychosomatic, emotional and marital difficulties as reported by the spouse" 4 : 13-26, 1988

      49 Lesieur, H. R., "Pathological gambl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7 : 5-39, 1991

      50 Lorenz, V. C., "Pathological gamblers and theirs spouses: problems in interaction" 5 (5): 113-126, 1989

      51 Raylu, N., "Pathological Gambling: A Comprehensive Review" 22 : 1009-1061, 2002

      52 Jeffrey J. Marotta, "Oregon's Problem Gambling Services: Public health orientation in a stepped care approach" The electronic journal of gambling issues

      53 Blaszczynski, A., "Impulsivity, personality and pathological gambling severity" 93 : 895-905, 1998

      54 Powell. J., "Gambling and risk-taking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34 : 1167-1184, 1999

      55 Thomas, L. M., "Gambling Treatment Programs Evaluation Update-2002" Oregon department of human services 58-59, 2002

      56 Petry, N. M., "Excessive discounting of delayed rewards in substance abusers with gambling problems" 56 : 25-32, 1999

      57 Ladouceur, R., "Evaluating of the “illusion of control”: type of feedback, outcome of sequence and number of trials among occasional and regular players" 121 : 169-175, 1984

      58 Taber J. I., "Ego strength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pathological gambler" 3 : 219-223, 1986

      5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rd ed.)" APA 1994

      60 Jackson, A. C., "Best Practice in problem gambling services" Department of Justice 2003

      61 여성부, "09년도 새일센터 전용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지침"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9-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2-09-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 2.149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