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드론 영상의 광학적 원격탐사 방법을 이용한 얕은 하천에서의 수심 추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Water Depth Estimation in Shallow Rivers Using Optical Remote Sensing Method of Drone Ima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86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ethod for estimating water depth in shallow rivers using optical remotesensing techniques using drone images. 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existing bathymetry methods,bathymetry methods based on optical remote sensing have been recently studied, but research on environmentalconditions and data processing methods for bathymetry in shallow water areas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paper,we presented a water depth estimation formula in shallow rivers using drone images taken under various conditionsand directly surveyed bathymetric values using GNSS, and tried to verify the accuracy using checkpoints. As aresult, it was found that the water depth can be estimated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than the direct survey methodwhen the index is calculated and estimated with drone images in shallow rivers. In addition, when the reflected lightwas removed using a polarizing filter and high-resolution images were taken at noon without shadows, about 88%of them were within the acceptable range for bathymetry, and about 94% were within the acceptable range whenconverted to low resolution. Finally, when estimating the water depth using the optical remote sensing technique, itwas found that the accuracy was low at deep water depths, and errors could occur due to distortion of pixel valuesdue to water plants or shadow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ethod for estimating water depth in shallow rivers using optical remotesensing techniques using drone images. 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existing bathymetry methods,bathymetry methods based on op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ethod for estimating water depth in shallow rivers using optical remotesensing techniques using drone images. 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existing bathymetry methods,bathymetry methods based on optical remote sensing have been recently studied, but research on environmentalconditions and data processing methods for bathymetry in shallow water areas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paper,we presented a water depth estimation formula in shallow rivers using drone images taken under various conditionsand directly surveyed bathymetric values using GNSS, and tried to verify the accuracy using checkpoints. As aresult, it was found that the water depth can be estimated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than the direct survey methodwhen the index is calculated and estimated with drone images in shallow rivers. In addition, when the reflected lightwas removed using a polarizing filter and high-resolution images were taken at noon without shadows, about 88%of them were within the acceptable range for bathymetry, and about 94% were within the acceptable range whenconverted to low resolution. Finally, when estimating the water depth using the optical remote sensing technique, itwas found that the accuracy was low at deep water depths, and errors could occur due to distortion of pixel valuesdue to water plants or shadow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드론 영상으로 부터 광학적 원격탐사 기법을 적용하여 얕은 하천에서의 수심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기존의 수심측량 방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광학적 원격탐사 기법에 따른 수심측량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얕은 수심 지역에서의 수심 측정을 위한 환경 조건과 자료처리 방법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조건에서 촬영한 드론 영상과 GNSS를 이용한 직접 측량된 수심 측정값을 이용하여얕은 하천에서의 수심 추정식을 제시하고, 검사점을 이용하여 정확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수심이 얕은 하천에서 드론 영상으로 지수를 산출하여 추정할 경우 직접 측량에 의한 방법보다는 좀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심을 추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편광필터를 이용하여 반사광을 제거하고, 그림자가 없는 정오에 고해상도로 촬영한 경우 약 88%가 수심측량 허용범위에 만족하고, 저해상도로 변환한 경우 약 94%가 허용범위에 만족하는 것을 알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광학적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한 수심을 추정할 경우 깊은 수심에서는 정확도가 낮고, 너울, 수초, 그림자 등으로 인한 화소값의 왜곡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드론 영상으로 부터 광학적 원격탐사 기법을 적용하여 얕은 하천에서의 수심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기존의 수심측량 방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

      본 연구의 목적은 드론 영상으로 부터 광학적 원격탐사 기법을 적용하여 얕은 하천에서의 수심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기존의 수심측량 방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광학적 원격탐사 기법에 따른 수심측량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얕은 수심 지역에서의 수심 측정을 위한 환경 조건과 자료처리 방법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조건에서 촬영한 드론 영상과 GNSS를 이용한 직접 측량된 수심 측정값을 이용하여얕은 하천에서의 수심 추정식을 제시하고, 검사점을 이용하여 정확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수심이 얕은 하천에서 드론 영상으로 지수를 산출하여 추정할 경우 직접 측량에 의한 방법보다는 좀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심을 추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편광필터를 이용하여 반사광을 제거하고, 그림자가 없는 정오에 고해상도로 촬영한 경우 약 88%가 수심측량 허용범위에 만족하고, 저해상도로 변환한 경우 약 94%가 허용범위에 만족하는 것을 알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광학적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한 수심을 추정할 경우 깊은 수심에서는 정확도가 낮고, 너울, 수초, 그림자 등으로 인한 화소값의 왜곡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빈 ; 김혜진 ; 김재학 ; 위광재, "항공수심라이다를 활용한 하천 수심 및 하상 측량에 관한 연구 - 곡교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측량학회 39 (39): 235-243, 2021

      2 이진학 ; 류경호 ; 신창주 ; 백원대 ; 정원무, "항공사진을 이용한 천해역에서의 수심 측량" 한국방재학회 16 (16): 351-358, 2016

      3 오찬영 ; 안경모 ; 박재성 ; 박성우, "드론과 광학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한 천해 수심측량"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9 (29): 162-168, 2017

      4 여한조 ; 최승필 ; 유연, "UAV를 이용한 소하천 지형자료 구축에 관한 효율성 제고" 대한공간정보학회 24 (24): 3-8, 2016

      5 Rob A. Holman, "Surf Zone Characterization Using a Small Quadcopter: Technical Issues and Procedures"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55 (55): 2017-2027, 2017

      6 D.R. Lyzenga, "Multispectral bathymetry using a simple physically based algorithm"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44 (44): 2251-2259, 2006

      7 Ehses, J.S., "Depth Derivation Using Multi-spectral WorldView-2 Satellite Imagery" Pacific Islands Fisheries Science Center 24-, 2015

      8 Philpot, W.D., "Bathymetric mapping with passive multi-spectral imagery" 28 (28): 1569-1578, 1989

      9 Bae, C.Y.,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the Depth in Shallow Rivers by Using Optical Remote Sensing Technique of Dron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2019

      1 이재빈 ; 김혜진 ; 김재학 ; 위광재, "항공수심라이다를 활용한 하천 수심 및 하상 측량에 관한 연구 - 곡교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측량학회 39 (39): 235-243, 2021

      2 이진학 ; 류경호 ; 신창주 ; 백원대 ; 정원무, "항공사진을 이용한 천해역에서의 수심 측량" 한국방재학회 16 (16): 351-358, 2016

      3 오찬영 ; 안경모 ; 박재성 ; 박성우, "드론과 광학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한 천해 수심측량"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9 (29): 162-168, 2017

      4 여한조 ; 최승필 ; 유연, "UAV를 이용한 소하천 지형자료 구축에 관한 효율성 제고" 대한공간정보학회 24 (24): 3-8, 2016

      5 Rob A. Holman, "Surf Zone Characterization Using a Small Quadcopter: Technical Issues and Procedures"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55 (55): 2017-2027, 2017

      6 D.R. Lyzenga, "Multispectral bathymetry using a simple physically based algorithm"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44 (44): 2251-2259, 2006

      7 Ehses, J.S., "Depth Derivation Using Multi-spectral WorldView-2 Satellite Imagery" Pacific Islands Fisheries Science Center 24-, 2015

      8 Philpot, W.D., "Bathymetric mapping with passive multi-spectral imagery" 28 (28): 1569-1578, 1989

      9 Bae, C.Y.,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the Depth in Shallow Rivers by Using Optical Remote Sensing Technique of Dron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