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커피박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 생산 증대를 위한 열수추출 공정 개발 = Optimization of Hot-water Extraction Conditions of Bioactive Compounds from Coffee Residue Extra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834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커피침출 공정의 부산물인 커피박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품 및 화장품 소재 생산을 위해 열수추출 공정의 폴리페놀 추출인자(용매, 온도, 시간, 농도)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실험에 적용 된...

      커피침출 공정의 부산물인 커피박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품 및 화장품 소재 생산을 위해 열수추출 공정의 폴리페놀 추출인자(용매, 온도, 시간, 농도)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실험에 적용 된 모든 추출인자가 폴리페놀 생산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NaOH 농도가 폴리페놀 생산에 미치는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열수추출 보다는 산 또는 염기를 이용한 열수추출이 폴리페놀 추출 효과가 높았으며 NaOH 0.1 mol 첨가 시 증류수를 이용한 열수추출에 비해 1.5배 추출 효과가 증가하여 열수를 이용한 추출에 비해 염기-열수 추출이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폴리페놀 추출의 최적 조건인 100 ℃, 2 mol NaOH와 30 min 추출 조건에서 36.5 mg GAE/g DM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최적화 이전의 열수추출에서 얻은 12.5 mg GAE/g DM 대비 2.9배 증가된 결과로 커피박은 항산화활성 등 기능성 강화 소재로 식품 및 화장품 산업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optimization of extraction parameters (solvent, temperature, time, solvent concentration) for the maximization of polyphenol extraction was performed to produce value-added food and cosmetic additives using a byproduct of coffee ext...

      In this study, the optimization of extraction parameters (solvent, temperature, time, solvent concentration) for the maximization of polyphenol extraction was performed to produce value-added food and cosmetic additives using a byproduct of coffee extraction process (coffee residue). All of the extraction parameters evaluated in this experi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polyphenol extraction and the results showed the effect of NaOH concentration on the polyphenol production was most significant among tested parameters. Especially, hot water extraction using acid or base was effective rather than hot-water extraction and the addition of 0.1 mol of NaOH increased 1.5 times extraction concentration compared with hot-water extraction using distilled water. It was found that hot-water extraction with NaOH was more effective than hot-water extraction, and 36.5 mg GAE/g DM was obtained under optimum condition of 100 ºC, 2 mol of NaOH and 30 min. This result was 2.9 times higher than that of 12.5 mg GAE/g DM obtained from the hot-water extraction before optimization. Thus, coffee residue could be used for food and cosmetic industry as a high-value additive such as antioxida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Roent Dune Cayetano, "황산과 암모니아를 이용한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전처리 공정에 따른 당화 및 발효공정 전략" 한국화학공학회 52 (52): 45-51, 2014

      2 이창용,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력에 따른 로즈마리의 최적 추출조건 확립" 한국식품과학회 45 (45): 501-507, 2013

      3 최강훈, "탈지미세조류로부터 폴리페놀 생산 증대를 위한 열수추출 조건 최적화" 한국화학공학회 54 (54): 310-314, 2016

      4 양인, "커피박과 목섬유를 이용한 중밀도섬유판의 제조 및 성능 평가" 한국목재공학회 41 (41): 293-301, 2013

      5 박나영, "커피박 열수추출물로 제조한 식혜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46 (46): 470-476, 2014

      6 고영현, "사료 내 항산화원으로서 커피박 첨가가 닭의 사양성적, 혈액생화학성상 및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 39 (39): 223-232, 2012

      7 윤샛별,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여정자의 페놀계 항산화 성분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 최적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570-576, 2014

      8 서은종, "더위지기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4 (44): 89-93, 2012

      9 신혜진, "꾸지뽕나무 뿌리 열수추출물로부터 미백 및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의 개발" 한국화학공학회 52 (52): 701-705, 2014

      10 Kim, H. I., "Total Phenolic Conte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Roasted Ground Coffee Residue Extract" 9 : 1-10, 2013

      1 Roent Dune Cayetano, "황산과 암모니아를 이용한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전처리 공정에 따른 당화 및 발효공정 전략" 한국화학공학회 52 (52): 45-51, 2014

      2 이창용,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력에 따른 로즈마리의 최적 추출조건 확립" 한국식품과학회 45 (45): 501-507, 2013

      3 최강훈, "탈지미세조류로부터 폴리페놀 생산 증대를 위한 열수추출 조건 최적화" 한국화학공학회 54 (54): 310-314, 2016

      4 양인, "커피박과 목섬유를 이용한 중밀도섬유판의 제조 및 성능 평가" 한국목재공학회 41 (41): 293-301, 2013

      5 박나영, "커피박 열수추출물로 제조한 식혜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46 (46): 470-476, 2014

      6 고영현, "사료 내 항산화원으로서 커피박 첨가가 닭의 사양성적, 혈액생화학성상 및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 39 (39): 223-232, 2012

      7 윤샛별,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여정자의 페놀계 항산화 성분에 대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 최적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570-576, 2014

      8 서은종, "더위지기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4 (44): 89-93, 2012

      9 신혜진, "꾸지뽕나무 뿌리 열수추출물로부터 미백 및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의 개발" 한국화학공학회 52 (52): 701-705, 2014

      10 Kim, H. I., "Total Phenolic Conte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Roasted Ground Coffee Residue Extract" 9 : 1-10, 2013

      11 Slinkard. K., "Total Phenol Analyses: Automation and Comparison with Manual Methods" 28 : 49-55, 1977

      12 Silva, M. A., "The Use of Biomass Residues in the Brazilian Soluble Coffee Industry" 14 : 457-467, 1998

      13 White, B. L., "Release of Bound Procyanidins from Cranberry Pomace by Alkaline Hydrolysis" 58 : 7572-7579, 2010

      14 Seung-Eun Lee,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3,5-Dicaffeoylquinic Acid Isolated from Aster scaber Thunb."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7 (47): 27-30, 2004

      15 Arranz, S., "High Contents of Nonextractable Polyphenols in Fruits Suggest that Polyphenol Contents of Plant Foods Have Been Underestimated" 57 : 7298-7803, 2009

      16 Mussatto, S. I., "Extraction of Antioxidant Phenolic Compounds from Spent Coffee Grounds" 83 : 173-179, 2011

      17 Blackwell, D. L., "Alkaline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Intact Sorghum" 47 : 2671-2675, 2012

      18 Cheng, A., "Acid and Alkaline Hydrolysis Extraction of Non-Extractable Polyphenols in Blueberries: Optimisati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32 : 218-225, 2014

      19 Wiseman, J., "A Note on the Nutritive Value of Dried Instant Coffee Residue for Broiler Chickens and Turkey Poults" 10 : 285-289, 198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1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화학공학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K)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8-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Chem. Eng. Res.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9-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 -> The Korean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5 0.49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