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용우, "청각장애유아의 어머니에 대한 상호작용훈련이 양육태도와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大邱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2 이규식, "청각장애아 교육" 학지사 2005
3 이규식, "중복ㆍ청각장애학생의 치료교육활성화방안" 23 (23): 129-140, 2000
4 이숙정, "중도중복 장애학생 수업구성을 위한 "기초적 관계"(Elementare Beziehung)이론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241-262, 2007
5 김영태, "중도장애아를 위한 언어교육: 기능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103-119, 1997
6 신현기, "중도-중복장애아동을 위한 기능적 교육과정" 박학사 2005
7 김은경, "중도 중복 장애학생을 위한 보완 및 대체 의사소통 지도" 4 : 271-311, 2004
8 박지연,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가족지원"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2
9 김정연, "의사소통 문제를 가진 중도장애아동의 가족을 위한 중재 및 지원전략" 4 (4): 97-117, 2005
10 윤미선, "영유아 청각 통합능력 척도" 동아대학교 9-46, 2010
1 이용우, "청각장애유아의 어머니에 대한 상호작용훈련이 양육태도와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大邱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2 이규식, "청각장애아 교육" 학지사 2005
3 이규식, "중복ㆍ청각장애학생의 치료교육활성화방안" 23 (23): 129-140, 2000
4 이숙정, "중도중복 장애학생 수업구성을 위한 "기초적 관계"(Elementare Beziehung)이론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241-262, 2007
5 김영태, "중도장애아를 위한 언어교육: 기능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103-119, 1997
6 신현기, "중도-중복장애아동을 위한 기능적 교육과정" 박학사 2005
7 김은경, "중도 중복 장애학생을 위한 보완 및 대체 의사소통 지도" 4 : 271-311, 2004
8 박지연,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가족지원"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2
9 김정연, "의사소통 문제를 가진 중도장애아동의 가족을 위한 중재 및 지원전략" 4 (4): 97-117, 2005
10 윤미선, "영유아 청각 통합능력 척도" 동아대학교 9-46, 2010
11 이윤경,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과 인지, 운동 및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6 (16): 1-12, 2011
12 권미은,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전략을 통한 어머니훈련이 발달지체유아와 어머니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13 이병인, "발달지체 영ㆍ유아 개별화가족지원계획 개발 및 시행을 위한 방법론 고찰"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9 (19): 91-120, 2003
14 전병운,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웹기반 진단·평가 연계 중재프로그램 전문가 시스템 효과 검증"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145-164, 2007
15 박경옥, "대화상대자에 의한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ㆍ중복장애 유아의 의사소통 기술 습득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6
16 박미정, "농중증ㆍ중복장애아동과 가족 지원을 위한 요구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91-113, 2011
17 Wetherby, A., "Understanding the nature of communication and language impairment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A transactional developmental perspective" Paul H. Brookes Publishing 109-142, 2000
18 Freeman, B., "The struggle for deaf and hard of hearing children : Perspectives and practices of urban parents with children who are deaf or hard hearing" 147 (147): 37-44, 2002
19 Cohen, N. J., "Language impairment and psychopathology in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Sage 2001
20 Schow, J. L., "Introduction to audiologic rehabilitation" Allyn and Bacon 2002
21 Yoder, P. J., "Important distinctions in measuring maternal responses to communication in prelinguistic children with disabilities" 22 (22): 135-147, 2001
22 William L., "Exceptional childre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Prentice Hall 2002
23 Rossetti, L. M., "Communication intervention: Birth tothree" Singular Thomson Learning 2001
24 Billeaud, F. P., "Communication disorders in infants and toddlers: Assessment and intervention" Butterworth Heinemann 2003
25 Kirk, K. I., "Cochlear implantation in young children : Effects of age at implantation and communication mode" 102 : 127-144, 2003
26 이영미, "CAP" 동아대학교 49-70, 2010
27 Desjardin, J. L., "Assessing parental perceptions of self-efficacy and involvement in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hearing loss" 103 (103): 391-409, 2004
28 Purdy, S. C., "A parental questionnaire to evaluate childrens’ auditory behavior in everyday life(ABEL)" 11 (11): 72-82, 2002
29 정현경, "4, 5세 청각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의사소통기능 비교"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7 (7): 21-38,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