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세상과 소통을 추구하다: 2017-8 서양고대사 연구 동향 = Pursuit of Communication with Civil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856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me people say that a researcher’s maturity is in his 50s in the humanities, which seems to fit well with the study of western ancient history in our country. Looking at the research trajectory of several senior researchers, all those who belonged to the Western Ancient Cultural History Society have written papers every year, furthermore some of them have written three to five papers in a year. What’s more surprising is that many senior researchers write their papers across the ages and topics. The culmination of this maturity have led to the publication of excellent books .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is session is that there have been many outstanding works in the field of books that combine professionalism and popularity. Although only two books were published in the last session, seven were published in this session. The publication of the books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the academic community’s active efforts to communicate with civil society. These efforts were also observed in the writing of papers. There were many papers that dealt with topics related to modern society. These papers are the result of researchers’ efforts to contribute to social development through research.
      번역하기

      Some people say that a researcher’s maturity is in his 50s in the humanities, which seems to fit well with the study of western ancient history in our country. Looking at the research trajectory of several senior researchers, all those who belonged ...

      Some people say that a researcher’s maturity is in his 50s in the humanities, which seems to fit well with the study of western ancient history in our country. Looking at the research trajectory of several senior researchers, all those who belonged to the Western Ancient Cultural History Society have written papers every year, furthermore some of them have written three to five papers in a year. What’s more surprising is that many senior researchers write their papers across the ages and topics. The culmination of this maturity have led to the publication of excellent books .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is session is that there have been many outstanding works in the field of books that combine professionalism and popularity. Although only two books were published in the last session, seven were published in this session. The publication of the books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the academic community’s active efforts to communicate with civil society. These efforts were also observed in the writing of papers. There were many papers that dealt with topics related to modern society. These papers are the result of researchers’ efforts to contribute to social development through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7-8년간 서양고대사 분야에서는 논문 70편, 저서 7권, 역서 5권이 발표되었다. 논문의 경우 2011-12년에 74편, 13-14년에 69편, 15-16년에 78편이 발표된 것은 고려하면 양적인 측면에서 보통의 수준이다. 논문을 시대별로 분류해보면 오리엔트사 7편, 그리스사 20편, 로마사 43편이다. 지난 회기의 주요 특징이 여러 시대를 비교하는 논문이 많았다는 것인데, 이번 회기에도 3편이 발표되었다. 고대 동서양의 군 주둔지와 제철 지역의 병참선을 비교한 연구(배은숙, 2018a), 고대 로마 제국 순교와 20세기 한국의 순교를 비교한 연구(최혜영, 2017d), 사회학의 이론인 ‘접경 지대 이론’을 로마의 변경에 적용할 수 있는지 탐색한 연구(반기현, 2017b)이다. 이런 연구들은 고대 역사 연구가 현대 사회와 관련성이 있는지 탐색하는 좋은 시도이다.
      논문을 주제별로 살펴보면 문화사 33편, 정치사 14편, 사회사 13편, 군제사 8편, 경제사 1편, 역사교육 1편이 발표되었다. 문화사가 연구의 중추로 떠오르는 것은 2010년경부터이며 이 흐름이 이번 회기에도 지속 되었다.
      번역하기

      2017-8년간 서양고대사 분야에서는 논문 70편, 저서 7권, 역서 5권이 발표되었다. 논문의 경우 2011-12년에 74편, 13-14년에 69편, 15-16년에 78편이 발표된 것은 고려하면 양적인 측면에서 보통의 수준...

      2017-8년간 서양고대사 분야에서는 논문 70편, 저서 7권, 역서 5권이 발표되었다. 논문의 경우 2011-12년에 74편, 13-14년에 69편, 15-16년에 78편이 발표된 것은 고려하면 양적인 측면에서 보통의 수준이다. 논문을 시대별로 분류해보면 오리엔트사 7편, 그리스사 20편, 로마사 43편이다. 지난 회기의 주요 특징이 여러 시대를 비교하는 논문이 많았다는 것인데, 이번 회기에도 3편이 발표되었다. 고대 동서양의 군 주둔지와 제철 지역의 병참선을 비교한 연구(배은숙, 2018a), 고대 로마 제국 순교와 20세기 한국의 순교를 비교한 연구(최혜영, 2017d), 사회학의 이론인 ‘접경 지대 이론’을 로마의 변경에 적용할 수 있는지 탐색한 연구(반기현, 2017b)이다. 이런 연구들은 고대 역사 연구가 현대 사회와 관련성이 있는지 탐색하는 좋은 시도이다.
      논문을 주제별로 살펴보면 문화사 33편, 정치사 14편, 사회사 13편, 군제사 8편, 경제사 1편, 역사교육 1편이 발표되었다. 문화사가 연구의 중추로 떠오르는 것은 2010년경부터이며 이 흐름이 이번 회기에도 지속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봉철,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나타난 다문화 인식" 한국서양사학회 (135) : 133-167, 2017

      2 박재욱, "한국의 올림포스 -한국에서 ‘그리스 로마 신화’ 수용의 궤적, 1895-2001-" 한국서양사학회 (139) : 41-75, 2018

      3 김경현, "한국의 서양고대사 연구: 여정, 고난 그리고 숙명" 역사학회 (228) : 1-19, 2015

      4 프리츠 하이켈하임, "하이켈하임 로마사" 현대지성 2017

      5 오흥식, "필리스티아인들의 원고향: 캅토르(Caphtor, 크레타)?"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1) : 35-67, 2018

      6 최혜영, "필록테테스의 활과 아테네의 재정 위기-소포클레스의 『필록테테스』에서 헤라클레스의 활과 페르시아 자금-" 한국서양고전학회 56 (56): 1-25, 2017

      7 허승일,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 인문학술원 (7) : 5-27, 2017

      8 김칠성, "프린키파투스 체제 확립기 아우구스투스의 급수 정책과 급수 관련법"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3) : 33-68, 2018

      9 김상엽, "프리마 포르타의 아우구스투스 조각상과 프로파간다"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2) : 243-276, 2018

      10 차영길, "폴리비우스의 역사해석 - 『역사』 6권의 ‘아나키클로시스’(ανακύκλωσις)를 중심으로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1) : 99-129, 2018

      1 김봉철,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나타난 다문화 인식" 한국서양사학회 (135) : 133-167, 2017

      2 박재욱, "한국의 올림포스 -한국에서 ‘그리스 로마 신화’ 수용의 궤적, 1895-2001-" 한국서양사학회 (139) : 41-75, 2018

      3 김경현, "한국의 서양고대사 연구: 여정, 고난 그리고 숙명" 역사학회 (228) : 1-19, 2015

      4 프리츠 하이켈하임, "하이켈하임 로마사" 현대지성 2017

      5 오흥식, "필리스티아인들의 원고향: 캅토르(Caphtor, 크레타)?"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1) : 35-67, 2018

      6 최혜영, "필록테테스의 활과 아테네의 재정 위기-소포클레스의 『필록테테스』에서 헤라클레스의 활과 페르시아 자금-" 한국서양고전학회 56 (56): 1-25, 2017

      7 허승일,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 인문학술원 (7) : 5-27, 2017

      8 김칠성, "프린키파투스 체제 확립기 아우구스투스의 급수 정책과 급수 관련법"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3) : 33-68, 2018

      9 김상엽, "프리마 포르타의 아우구스투스 조각상과 프로파간다"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2) : 243-276, 2018

      10 차영길, "폴리비우스의 역사해석 - 『역사』 6권의 ‘아나키클로시스’(ανακύκλωσις)를 중심으로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1) : 99-129, 2018

      11 이상덕, "펠로폰네소스 전후 데켈레이아의 시민권 문제 – 데켈레이아 법령" 한국서양사학회 (132) : 9-38, 2017

      12 이상덕, "판아테나이아 부상 암포라(Panathenaic Prize Amphora)의 도상과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연관성" 한국서양사학회 (135) : 230-258, 2017

      13 김창성, "테오도르 몸젠의 자유주의 문제와 역사교육-율리우스 카이사르 관련 서술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145) : 71-92, 2018

      14 김창성, "키케로 정치사상의 전환과 ‘보니’의 의미 —트리부니 아이라리이를 중심으로—" 한국서양고전학회 57 (57): 143-164, 2018

      15 안희돈, "클로디우스의 초기 경력과 로마 공화정 후기의 정치"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2) : 215-242, 2018

      16 최진호, "퀸틸리아누스의 웅변술 쇠퇴론과 이상적 연설가론"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48) : 85-125, 2017

      17 金炅賢, "콘스탄티누스 황제와 기독교" 세창 2017

      18 배은숙, "콘스탄티노폴리스 창건의 지정학적 실익" 대구사학회 133 : 387-421, 2018

      19 유윤종, "케렛 서사시 전통에서 본 출애굽기"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49) : 7-38, 2017

      20 김혜진, "초기 그리스 조각상과 금석문에 드러난 종교적 상호성 - 서기전 7세기와 6세기의 델로스와 사모스의 봉헌조각을 중심으로"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2) : 145-175, 2018

      21 레스터 L. 그래비, "제2성전기 유대교: 느헤미야, 마카비, 힐렐과 예수 시대의 유대 역사와 종교" 컨콜디아사 2017

      22 반기현, "원수정기 로마군과 속주 도시: 이집트 시에네(Συήνη) 사례연구" 역사연구소 (90) : 165-186, 2017

      23 반기현, "원수정기 동방속주에서의 군대 주둔과 도시화"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49) : 107-140, 2017

      24 나현기, "요안네스 카시아누스(Ioannes Cassianus, ca. 360-ca. 435)의 이집트 수도원적 가난 (Monastic Poverty)이해의 중요성과 그 의미"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0) : 111-141, 2017

      25 고한석, "오토 황제의 원수정 강화 정책 연구- 원로원 및 군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3) : 101-135, 2018

      26 임진수, "예수 운동의 기원에서 보는 세금 징수 청부인들"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49) : 142-173, 2017

      27 오흥식, "엘레우시스 비의의 기원: 아테네 왕 에렉테우스와 이집트"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48) : 53-84, 2017

      28 김칠성, "에게.그리스문명.로마제국 - 지중해, ‘오래된 미래’를 찾아서" 살림 2018

      29 이근혁, "알렉산드로스와 헬레니즘 - 동서융합의 대제국을 꿈꾸다" 살림 2018

      30 배유연, "안티오키아의 율리아누스 황제 - <턱수염을 혐오하는 자들>을 중심으로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49) : 219-256, 2017

      31 정기문, "안티오키아 사건 이후 베드로와 바오로의 관계에 대하여"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48) : 127-153, 2017

      32 남성현, "아우구스티누스의『신국론』에 나타난 세속국가 허물기와 국가치료의 비전" 한국세계문화사학회 (47) : 1-38, 2018

      33 최혜영,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로마 평화 정책" 9 : 2018

      34 손윤락,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 ‘소통하는 시민’ 개념 – 대학의 시민 인성교육을 위한 연구"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2) : 11-39, 2018

      35 고경주, "속주 총독과 로마제국의 속주 행정 : 소 플리니우스의 『서한집』 제10권을 중심으로"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3) : 137-182, 2018

      36 김창성, "속주 아시아 관세법에 보이는 비르 보누스(Vir Bonus)와 트리부니 아이라리이"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49) : 81-106, 2017

      37 김경현, "소아시아 그리스인의 로마 원로원 숭배"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0) : 39-70, 2017

      38 이지은, "소(小) 플리니우스의 『서한집』 제10권에 나타난 로마 속주지배의 이상과 실제" 한국서양고전학회 57 (57): 165-195, 2018

      39 최자영, "성경과 그리스 고전에 보이는 폭력의 사회적 기능과 정당성 - 로마제국의 군사조직이 갖는 폭력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49) : 175-218, 2017

      40 송문현, "선(先) 그리스인과 그리스인: 두 차례에 걸친 도래"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2) : 77-106, 2018

      41 강성호, "서양사 총설: 2015~2016년 - 새로운 60주년을 향해" 역사학회 (235) : 213-229, 2017

      42 김경현, "서양고대사 회고와 전망(2013~14년): 어게인 ‘역사학의 다양화’" 역사학회 (227) : 167-192, 2015

      43 안희돈, "새로운 모색과 과제 - 서양고대사 2015~2016 -" 역사학회 (235) : 231-255, 2017

      44 이지은, "살루스티우스의 역사서술과 인물묘사: 『유구르타 전쟁』의 마리우스" 이화사학연구소 (55) : 219-256, 2017

      45 차영길, "사료로 보는 서양 고대사" 경상대학교 출판부 2018

      46 마틴 버날, "블랙 아테나의 반론: 마틴 버날이 비평가들에게 답하다" 소나무 2017

      47 정기문, "베드로 재평가를 위한 선교 활동 고찰"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3) : 69-99, 2018

      48 김덕수, "바울 - 크리스트교를 세계화하다" 살림 2018

      49 장니나, "마살리아와 코르시카 섬 알레리아의 비문을 중심으로 본 고대 지중해 그리스어 확산과 라틴어와의 조우" 한국프랑스학회 97 : 231-263, 2017

      50 김덕수, "로마와 그리스도교" 홍성사 2017

      51 배은숙, "로마군의 철제 무구 수급체계의 변화"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9) : 353-386, 2018

      52 이윤경, "로마공화정 후기 유대인의 로마관: - 하스몬 왕조와 쿰란공동체를 중심으로"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3) : 7-32, 2018

      53 차전환, "로마 제국팽창에 대한 키케로의 견해" 역사연구소 (94) : 291-314, 2018

      54 홍성수, "로마 제국의 Imperial Cult(s)를 지칭하는 용어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0) : 71-110, 2017

      55 차전환, "로마 공화정기 중무장 보병대 전투의 모델" 호서사학회 (83) : 1-29, 2017

      56 김봉철, "두 시공간을 잇는 작업, 헤로도토스 『역사』의 번역"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2) : 177-213, 2018

      57 최혜영, "다양함과 성숙함의 시기: 서양고대사 2011~2012" 역사학회 (219) : 177-198, 2013

      58 김아리, "기원전 천년기 바빌로니아지역의 절도"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49) : 39-78, 2017

      59 변정심, "기원전 373년 지진으로 가라앉은 고대 도시, 헬리케(Helike)" 한국서양고전학회 56 (56): 91-118, 2017

      60 차영길, "그리스의 사랑 ‘페데라스티아’(παιδεραστία) -H. Patzer와 M. Foucault의 비교-" 지중해지역원 20 (20): 123-143, 2018

      61 변정심, "그리스 코린트 만(灣)의 1995년 에기오(Aigio) 지진과 지진 전조현상- 가스 방출 메커니즘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3) : 183-231, 2018

      62 최혜영, "그리스 비극 깊이 읽기" 푸른역사 2017

      63 고경주, "공화정에서 제정으로의 체제 전환에 대한 타키투스(Tacitus)의 인식" 한국서양사학회 (136) : 9-34, 2018

      64 김덕수, "고등학교 세계사 교육과정 개정 현황과 쟁점 : 6차 교육과정에서 2015 교육과정까지" 역사교육연구회 (141) : 1-33, 2017

      65 정동연, "고대문명의 탄생 - 문명의 뿌리를 찾아서" 살림 2018

      66 최혜영, "고대 지중해 식민 활동과 여성"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2) : 107-143, 2018

      67 김성, "고대 이집트의 제 2중간기 시작 연대에 관한 논쟁"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1) : 7-34, 2018

      68 최혜영, "고대 로마제국 순교와 20세기 한국의 순교사 비교" 기독교신학연구소 (50) : 53-85, 2017

      69 배은숙, "고대 동서양의 군 주둔지와 제철 지역의 병참선 연구 - 로마와 삼국시대를 중심으로 -" 육군군사연구소 (145) : 237-262, 2018

      70 스캇 맥나이트, "가이사의 나라 예수의 나라" VIP 2017

      71 유성환, "『벤트라시 석비』- 위작 역사기술 및 신화학적 분석"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48) : 7-52, 2017

      72 반기현, "‘접경사’의 정의와 연구 방법론의 적용" 중앙사학연구소 (45) : 195-213, 2017

      73 김덕수, "‘소통’의 장에서 ‘규탄’의 장이 된 로마원로원 - 키케로의 「필리피카 1,2」를 중심으로"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2) : 41-73, 2018

      74 김활란, "‘Feriale Duranum’에 나타난 아우구스투스의 종교 정책 -마르스 숭배를 중심으로-" 지중해지역원 20 (20): 1-27, 2018

      75 유윤종, "The Wisdom Motif of ‘Plucking and Destroying’, and ‘Planting and Building’, in the Book of Jeremiah"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2) : 337-368, 2018

      76 고경주, "The Situation of the Right of Appeal under the Jurisdiction of Governors (From the First Century to the Early Third Century)"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0) : 199-223, 2017

      77 김경현, "The Roman Collegia and their Political Implication"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0) : 167-198, 2017

      78 윤성덕, "Religious Thoughts in the Days of Nabonidus, king of Babylon"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2) : 277-335, 2018

      79 Bartosz B. Awianowicz, "Peculiarities and Errors in the Legends of Aurei and Denarii Minted in Syria from Vespasian to AD 193" 한국서양고전학회 56 (56): 79-97, 2017

      80 최혜영, "Odysseus in the Greek tragedies and the Athenians"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0) : 143-166, 2017

      81 배소연, "Married with Beasts: Animalization of Women in the Works of Hesiod and Semonides of Amorgos"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3) : 233-281, 2018

      82 박재욱, "Helots in Classical Sparta: Ideology and Control"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1) : 169-190, 2018

      83 세바스티안 뮐러, "From Euboea to Ischia: Identity Constructions of the First Greek Settlers in Italy"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49) : 257-300, 2017

      84 최자영, "Citizenship and the Social Position of Athenian Women in the Classical Age. A Prospect for Overcoming the Antithesis of Male and Female" 3 (3): 2017

      85 반기현, "Aurelian’s Military Reforms and the Power Dynamics of the Near East"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0) : 225-249, 2017

      86 배은숙, "359년 아미다(Amida) 전투에 나타난 샤푸르 2세(Shapur Ⅱ)의 군사적 능력" 대구사학회 129 : 427-459, 2017

      87 최윤제, "2세기 말 로마제국의 위기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정책의 도미나투스적 성격"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51) : 131-168,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5 1.505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