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동의 사회적 위축과 또래소외 간의 종단적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530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의 사회적 위축과 또래소외 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검증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의 초등학교 1학년 연령집단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였고, 2차년도부터 5차년도까지 참여한 총 2,110명의 아동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아동의 사회적 위축의 변화와 또래소외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2차년도부터 4차년도까지 측정한 아동의 사회적 위축과 3차년도와 5차년도에 측정한 또래소외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첫째, 아동의 사회적 위축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아동의 사회적 위축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사회적 위축의 초기치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고, 변화율에서도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사회적 위축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3학년에 측정한 또래소외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동의 사회적 위축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5학년에 측정한 또래소외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사회적 위축과 또래소외를 예방하거나 중재하기 위한 교육이나 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아동의 사회적 위축과 또래소외 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검증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의 초등학교 1학년 연령집단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5년까...

      본 연구는 아동의 사회적 위축과 또래소외 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검증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의 초등학교 1학년 연령집단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였고, 2차년도부터 5차년도까지 참여한 총 2,110명의 아동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아동의 사회적 위축의 변화와 또래소외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2차년도부터 4차년도까지 측정한 아동의 사회적 위축과 3차년도와 5차년도에 측정한 또래소외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첫째, 아동의 사회적 위축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아동의 사회적 위축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사회적 위축의 초기치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고, 변화율에서도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사회적 위축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3학년에 측정한 또래소외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동의 사회적 위축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5학년에 측정한 또래소외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사회적 위축과 또래소외를 예방하거나 중재하기 위한 교육이나 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ithdrawal and peer alienation among Korean children. The survey study participants were 2,110 children in 2nd, 3rd, 4th, and 5th grades. The 5-year longitudinal data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of 1st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cohort was used. Latent Growth Modeling was applied to analyze the causality over time of social withdrawal and peer isol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rajectories of children"s social withdrawal decreased over time. Children"s social withdrawal showed significant individual differences in terms of initial value and rates of change. The initial value and slope of children"s social withdrawal had an effect on the peer alienation in the 3rd grad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eer alienation in the 5th grad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ithdrawal and peer alienation among Korean children. The survey study participants were 2,110 children in 2nd, 3rd, 4th, and 5th grades. The 5-year longitudinal data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ithdrawal and peer alienation among Korean children. The survey study participants were 2,110 children in 2nd, 3rd, 4th, and 5th grades. The 5-year longitudinal data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of 1st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cohort was used. Latent Growth Modeling was applied to analyze the causality over time of social withdrawal and peer isol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rajectories of children"s social withdrawal decreased over time. Children"s social withdrawal showed significant individual differences in terms of initial value and rates of change. The initial value and slope of children"s social withdrawal had an effect on the peer alienation in the 3rd grad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eer alienation in the 5th grad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4. 논의 및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진,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과 개인적, 가족적 변인간의 연구: 시간에 따른 변화와 상호 연관성"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1179-1197, 2005

      2 조예진, "부정적 양육과 사회적 위축이 청소년 비행피해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26): 59-81, 2015

      3 정경미, "남자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문제의 하위 발달경로 확인: 성장모형을 적용한 2년간의 종단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32 (32): 177-197, 2013

      4 Wonjung Oh, "Trajectories of Social Withdrawal from Middle Childhood to Early Adolescence" Springer Nature 36 (36): 553-566, 2008

      5 Gay C. Armsden,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Springer Nature 16 (16): 427-454, 1987

      6 Kenneth H. Rubin, "The Waterloo Longitudinal Project: Predicting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7 (7): 751-, 1995

      7 K. H. Rubin, "Social Withdrawal, Inhibition and Shyness in Childhood" Erlbaum 1993

      8 Kenneth H. Rubin, "Social Withdrawal in Childhood" Annual Reviews 60 (60): 141-171, 2009

      9 Jaap J. A. Denissen, "Self-esteem reactions to social interactions: Evidence for sociometer mechanisms across days, people, and nation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95 (95): 181-196, 2008

      10 Sandra Bosacki, "Peer relationships and in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ts: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Informa UK Limited 12 (12): 261-282, 2007

      1 이수진,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과 개인적, 가족적 변인간의 연구: 시간에 따른 변화와 상호 연관성"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1179-1197, 2005

      2 조예진, "부정적 양육과 사회적 위축이 청소년 비행피해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26): 59-81, 2015

      3 정경미, "남자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문제의 하위 발달경로 확인: 성장모형을 적용한 2년간의 종단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32 (32): 177-197, 2013

      4 Wonjung Oh, "Trajectories of Social Withdrawal from Middle Childhood to Early Adolescence" Springer Nature 36 (36): 553-566, 2008

      5 Gay C. Armsden,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Springer Nature 16 (16): 427-454, 1987

      6 Kenneth H. Rubin, "The Waterloo Longitudinal Project: Predicting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7 (7): 751-, 1995

      7 K. H. Rubin, "Social Withdrawal, Inhibition and Shyness in Childhood" Erlbaum 1993

      8 Kenneth H. Rubin, "Social Withdrawal in Childhood" Annual Reviews 60 (60): 141-171, 2009

      9 Jaap J. A. Denissen, "Self-esteem reactions to social interactions: Evidence for sociometer mechanisms across days, people, and nation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95 (95): 181-196, 2008

      10 Sandra Bosacki, "Peer relationships and in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ts: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Informa UK Limited 12 (12): 261-282, 2007

      11 K, Robson, "Peer Alienation: Predictors in Childhood and Outcomes in Adulthood" Institute of Social and Economic Research 2003

      12 Julie Newman Kingery, "Peer Acceptance and Friendship as Predictors of Early Adolescents' Adjustment Across the Middle School Transi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7 (57): 215-243, 2011

      13 Kenneth H. Rubin, "Paying Attention to and Not Neglecting Social Withdrawal and Social Isola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0 (50): 506-534, 2004

      14 Jae Hyoung Kim, "New Imaging Techniques in Neurologic Disordres" Korean Medical Association (KAMJE) 41 (41): 155-166, 1998

      15 Heidi Gazelle, "Moving Toward and Away From the World: Social Approach and Avoidance Trajectories in Anxious Solitary Youth" Wiley-Blackwell 75 (75): 829-849, 2004

      16 Steven R. Asher, "Loneliness in Children" JSTOR 55 (55): 1456-, 1984

      17 "Korean high school students spend 12hours in school"

      18 M. R. Leary, "Interpersonal reje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45-188, 2001

      19 S. R. Asher, "Interpersonal rejection" Oxford 105-142, 2001

      20 P. McDougall, "Interpersonal Reje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13-247, 2001

      21 K. Wentzel,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in schools" Routledge 229-243, 2009

      22 D. Gross-Manos, "Handbook of child well-being: Theories, methods and policies in global perspective" Springer 1843-1863, 2014

      23 J. P. Allen,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Guilford 319-335, 1999

      24 K. H. Rubin,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Wiley 2006

      25 Kathryn R. Wentzel, "Friendships in Middle School: Influences on Mo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96 (96): 195-203, 2004

      26 Catherine Bagwell, "Friendship and Peer Rejection as Predictors of Adult Adjustment" Wiley-Blackwell 2001 (2001): 25-, 2001

      27 G. S. Park, "Elementary School Students'" 13 (13): 79-91, 2012

      28 John D. Coie, "Dimensions and types of social status: A cross-age perspectiv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18 (18): 557-570, 1982

      29 Shelley Hymel,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Longitudinal Prediction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from Middle to Late Childhood" JSTOR 61 (61): 2004-, 1990

      30 C. Burton,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259 845)"

      31 Mary E Gifford-Smith, "Childhood peer relationships: social acceptance, friendships, and peer networks" Elsevier BV 41 (41): 235-284, 2003

      32 K. H. Rubin, "Child Psychopathology" Guilford 372-406, 2003

      33 홍세희,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적용한 내외통제성과 학업성취의 종단관계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381-392, 2004

      34 Sarah J. Mann, "Alternative Perspectives on the Student Experience: Alienation and engagement" Informa UK Limited 26 (26): 7-19, 2001

      35 R. L. Calabrese, "Alienation: A Cause of Juvenile Delinquency" 25 (25): 435-440, 1990

      36 D. L. Bandalos, "Advanc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developments and techniques" Erlbaum 269-296, 2001

      37 W. S. Choi, "A Study on Alien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environmental variables" 20 (20): 131-140,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