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목적 그동안 대중관광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책임관광, 공정관광, 생태관광, 사회적 관광, 지속가능한 관광 등 새로운 도덕적 관광(New Moral Tourism)으로 특징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4763
2017년
Korean
도덕적 관광 ; 도덕성 ; Moral tourism ; Morality ; Ethic ; The utilitarian ethic ; A Kantian ethic ; An Aristotelian virtue ethic ; Complexity system theory ; Self-organization ; Feedback loop ; Emergence ; Metaphoric analysis ; Conceptualization ; Operationalization ; The development of sc ; 윤리 ; 공리주의적 윤리관 ; 칸트 윤리 ; 아리스토텔레스 덕 윤리 ; 복잡계이론 ; 자기조직화 ; 피드백 루프 ; 창발 ; 은유적 분석 ; 개념화 ; 조작화 ; 척도개발 ; 공진화 ; 모형개발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의 목적 그동안 대중관광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책임관광, 공정관광, 생태관광, 사회적 관광, 지속가능한 관광 등 새로운 도덕적 관광(New Moral Tourism)으로 특징되...
1. 연구의 목적
그동안 대중관광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책임관광, 공정관광, 생태관광, 사회적 관광, 지속가능한 관광 등 새로운 도덕적 관광(New Moral Tourism)으로 특징되는 대안관광이 21세기 관광의 새로운 현상으로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관광연구에서 도덕적 함의를 어떻게 공론화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는 취약하다. 본 연구는 복잡계이론을 적용하여 도덕적 관광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개념을 구체화한 후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관광주체들의 공진화모델을 개발함으로써 관광생태계의 질적 변화를 심화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세부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적 관광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여 논리적 근거를 모색한다.
둘째, 도덕적 관광의 척도를 개발하여 개념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제고한다.
셋째, 관광객, 관광기업, 지역주민 등 관광주체가 도덕적 관광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공진화모델을 개발한다.
넷째, 관광영역에서 도덕화를 제안함으로써 사회적 도덕화의 패러다임을 유도한다.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가. 1년차 연구내용, 방법, 범위(2017. 5. 1. ~ 2018. 4. 30.)
1년차에는 관련 이론을 검토하여 관광 도덕화의 패러다임 가치를 제안한다. 연구방법은 은유적 분석(metaphoric analysis)을 활용하여 거시적 변화에 의한 패턴과 미시적 행위자들의 상호작용을 해석한다.
첫째, 복잡계틀을 적용하여 관광분야에서 도덕성이 부상한 시기, 이에 대응으로서 자기조직화 과정, 피드백루프에 의한 창발기, 그리고 공진화 발전기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둘째, 공리주의적 관점, 칸트 및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적 논의를 중심으로 도덕적 관광의 사례를 파악한다.
나. 2년차 연구내용, 방법, 범위(2018. 5. 1. ~ 2019. 4. 30.)
2년차는 도덕적 관광의 이론적 틀을 정립하여 관광 도덕화의 패러다임 가치를 구체화한다.
첫째, 도덕적 관광에 대한 개념을 정립한다.
둘째, 구축된 개념을 토대로 척도를 개발한다.
다. 3년차 연구내용, 방법, 범위(2019. 5. 1. ~ 2020. 4. 30.)
3년차는 도덕적 관광을 통한 관광생태계의 공진화모델을 개발하여 관광 도덕화의 패러다임 가치를 고도화한다.
첫째, 관광객, 관광기업, 지역사회 등 관광주체들이 도덕적 관광을 통해 함께 공진화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한다. 연구방법은 1ㆍ2차년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량적 연구방법에 의한 실증조사를 한다.
둘째, 도덕적 관광 공진화모형을 토대로 도덕적 관광이 확산될 수 있는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제안한다.
3.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가. 학문적 기대효과
첫째, 관광 도덕화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제안을 통해 관광학뿐만 아니라 인접학문의 후속 연구를 파생시킬 수 있다.
둘째, 도덕적 관광의 개념정립에서부터 척도개발, 발전모형까지 구축되면서 관광정책, 상품개발, 마케팅 전략에서 관광의 도덕화를 실행하는데 이론적 토대가 될 수 있다.
셋째, 국내 관광연구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복잡계이론을 적용함으로써 향후 관광시스템의 이론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나. 사회적 기대효과
첫째, 관광산업에서 도덕적 가치의 중요성을 환기시킴으로써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데 기여한다.
둘째, 관광주체들의 책임있는 의사결정을 강화하고 올바른 도덕적 가치관을 정립하는데 기여한다.
셋째, 사회 전반의 건전한 관광문화를 정착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넷째, 관광의 질적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다. 활용방안
첫째, 대학의 관광 관련 학과에서 관광윤리 교과목에 활용될 수 있다.
둘째, NTO, 관광기업, 지역주민들의 관광관련 의사결정에서 협력적 관광개발의 추진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관광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홍보와 마케팅에서 윤리적 기준을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