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가압증숙공정에 의한 산수유의 이화학적 특성 및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L132 세포 사멸에 대한 보호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052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가압증숙 산수유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고, 폐 표피세포 보호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유래 L132 세포주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 모델에서 가압증숙 산수유 추출물의 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색도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무처리 산수유 분말에서 42.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에 비해 가압증숙 시간이 증가할수록 L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적색도(a값) 및 황색도(b값) 역시 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외형을 살펴보면 2시간 이상 가압증숙 시 색이 검게 변하고 광택이 없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시간 동안 가압증숙 시 총 당, 환원당 및 총 페놀 함량변화를 측정한 결과, 각각 468.53 mg/g, 385.55 mg/g 및 37.32 mg/g으로 나타났다. 유리당 조성은 fructose, glucose 및 sucrose 순이었으며, 2시간 동안 가압증숙 시 각각 207.72 mg/g, 219.40 mg/g 및 4.31 mg/g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페놀화합물인 gallic acid 및 furan 화합물인 5-HMF는 대조군에 비해 가압증숙 시간이 증가할 수록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아짐을 확인하였으며(P<0.05), iridoid 배당체 조성은 morroniside, loganin 및 loganic acid 순으로 함유하고 있었고 2시간 동안 가압증숙 시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세포 사멸에 대한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가압증숙 산수유 추출물의 L132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 1,000 μg/ mL 농도까지 유의적으로 세포 사멸이 나타나지 않아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L132 세포 사멸에 대한 보호 효과는 모든 시료에서 1 mM H2O2를 첨가한 군과 비교하여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2시간 동안 가압증숙한 산수유 추출물을 1,000 μg/mL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102.82%로 활성이 가장 크게 증가하여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세포 사멸에 대한 높은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가압증숙 산수유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고, 폐 표피세포 보호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유래 L132 세포주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산화 ...

      본 연구에서는 가압증숙 산수유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고, 폐 표피세포 보호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유래 L132 세포주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 모델에서 가압증숙 산수유 추출물의 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색도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무처리 산수유 분말에서 42.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에 비해 가압증숙 시간이 증가할수록 L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적색도(a값) 및 황색도(b값) 역시 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외형을 살펴보면 2시간 이상 가압증숙 시 색이 검게 변하고 광택이 없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시간 동안 가압증숙 시 총 당, 환원당 및 총 페놀 함량변화를 측정한 결과, 각각 468.53 mg/g, 385.55 mg/g 및 37.32 mg/g으로 나타났다. 유리당 조성은 fructose, glucose 및 sucrose 순이었으며, 2시간 동안 가압증숙 시 각각 207.72 mg/g, 219.40 mg/g 및 4.31 mg/g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페놀화합물인 gallic acid 및 furan 화합물인 5-HMF는 대조군에 비해 가압증숙 시간이 증가할 수록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아짐을 확인하였으며(P<0.05), iridoid 배당체 조성은 morroniside, loganin 및 loganic acid 순으로 함유하고 있었고 2시간 동안 가압증숙 시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세포 사멸에 대한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가압증숙 산수유 추출물의 L132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 1,000 μg/ mL 농도까지 유의적으로 세포 사멸이 나타나지 않아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L132 세포 사멸에 대한 보호 효과는 모든 시료에서 1 mM H2O2를 첨가한 군과 비교하여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2시간 동안 가압증숙한 산수유 추출물을 1,000 μg/mL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102.82%로 활성이 가장 크게 증가하여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세포 사멸에 대한 높은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rotective effects of Corni fructus treated with pressurized-steam (through 121°C, 1.2 kgf/cm2, 0.5 h, 1 h, 2 h, and 3 h) against H2O2-induced cytotoxicity on L132 cells. The color values of the untreated Corni fructus powder were higher than those of Corni fructus after the pressurized-steam treatment (PSC), and those of PSC improved with a decrease in treatment time. At the observation by pressurized-steam treatment for more than 2 h, the color was changed to black, and its gloss was lost. The major constituents in PSC (2 hours) were the total sugar (468.53 mg/g), reducing sugar (385.55 mg/g), and total phenol (37.32 mg/g), respectively. The main components in the free sugars of PSC (2 h) were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at 207.72 mg/g, 219.40 mg/g, and 4.31 mg/g, respectively. The gallic acid in the phenol compounds and 5-(hydroxymethyl) furfural in the furan compounds of PSC (2 h) improved with increasing treatment time. The main components in iridoid glycoside of PSC (2 h) were morroniside, loganin, and lognic acid, which improved with decreasing treatment time. The L132 cell growth inhibition activities of all the extra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protective effects against the H2O2-induced cytotoxicity on L132 cells of PSC (2 h) was 102.82% (at 1,000 μg/mL)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s. This suggests that Corni fructus by PSC is useful for functional food materials in the food industry.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rotective effects of Corni fructus treated with pressurized-steam (through 121°C, 1.2 kgf/cm2, 0.5 h, 1 h, 2 h, and 3 h) against H2O2-induced cytotoxicity on L132 cells. The color values of the ...

      This study examin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rotective effects of Corni fructus treated with pressurized-steam (through 121°C, 1.2 kgf/cm2, 0.5 h, 1 h, 2 h, and 3 h) against H2O2-induced cytotoxicity on L132 cells. The color values of the untreated Corni fructus powder were higher than those of Corni fructus after the pressurized-steam treatment (PSC), and those of PSC improved with a decrease in treatment time. At the observation by pressurized-steam treatment for more than 2 h, the color was changed to black, and its gloss was lost. The major constituents in PSC (2 hours) were the total sugar (468.53 mg/g), reducing sugar (385.55 mg/g), and total phenol (37.32 mg/g), respectively. The main components in the free sugars of PSC (2 h) were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at 207.72 mg/g, 219.40 mg/g, and 4.31 mg/g, respectively. The gallic acid in the phenol compounds and 5-(hydroxymethyl) furfural in the furan compounds of PSC (2 h) improved with increasing treatment time. The main components in iridoid glycoside of PSC (2 h) were morroniside, loganin, and lognic acid, which improved with decreasing treatment time. The L132 cell growth inhibition activities of all the extra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protective effects against the H2O2-induced cytotoxicity on L132 cells of PSC (2 h) was 102.82% (at 1,000 μg/mL)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s. This suggests that Corni fructus by PSC is useful for functional food materials in the food indust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현, "흑삼의 제조 및 항암효과" 한의병리학회 20 (20): 951-956, 2006

      2 천재안, "참깨 뿌리배양에 의한 hydroxymethylfurfrual 생산" 한국생명과학회 19 (19): 1836-1840, 2009

      3 송치호, "증숙가공공정을 통한 더덕의 항산화 활성 증진" 한국약용작물학회 20 (20): 238-244, 2012

      4 홍희도, "증숙 횟수에 따른 고려인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고려인삼학회 31 (31): 222-229, 2007

      5 김지선, "증숙 및 초고압 증숙 공정을 통한 더덕의 향장활성 증진" 한국약용작물학회 21 (21): 204-212, 2013

      6 강문경, "증숙 공정에 의한 마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5 (25): 1049-1057, 2015

      7 김영, "저온고압 추출공정을 이용한 매자나무 수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증진" 한국식품과학회 41 (41): 284-291, 2009

      8 이희봉, "열처리조건에 따른 숙지황의 품질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773-778, 2007

      9 황초롱, "열처리 온도에 따른 더덕과 도라지의 화학성분과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798-803, 2011

      10 최지영,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의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 및 항염활성"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3 (13): 623-630, 2015

      1 이지현, "흑삼의 제조 및 항암효과" 한의병리학회 20 (20): 951-956, 2006

      2 천재안, "참깨 뿌리배양에 의한 hydroxymethylfurfrual 생산" 한국생명과학회 19 (19): 1836-1840, 2009

      3 송치호, "증숙가공공정을 통한 더덕의 항산화 활성 증진" 한국약용작물학회 20 (20): 238-244, 2012

      4 홍희도, "증숙 횟수에 따른 고려인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고려인삼학회 31 (31): 222-229, 2007

      5 김지선, "증숙 및 초고압 증숙 공정을 통한 더덕의 향장활성 증진" 한국약용작물학회 21 (21): 204-212, 2013

      6 강문경, "증숙 공정에 의한 마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5 (25): 1049-1057, 2015

      7 김영, "저온고압 추출공정을 이용한 매자나무 수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증진" 한국식품과학회 41 (41): 284-291, 2009

      8 이희봉, "열처리조건에 따른 숙지황의 품질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773-778, 2007

      9 황초롱, "열처리 온도에 따른 더덕과 도라지의 화학성분과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798-803, 2011

      10 최지영,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의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 및 항염활성"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3 (13): 623-630, 2015

      11 김민영, "녹두 가수분해물의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열처리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5 (45): 34-39, 2013

      12 김현영, "과채류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열처리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40 (40): 166-170, 2008

      13 하정수, "과산화수소(H2O2)로 유도된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뉴그린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 및 생리활성물질 분석" 한국식품과학회 47 (47): 673-679, 2015

      14 권오찬, "고온고압처리에 따른 마늘(Allium sativum L.)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8 (38): 331-336, 2006

      15 김은영, "고온고압 처리가 홍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학회 29 (29): 438-447, 2016

      16 Miller GL,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31 : 426-428, 1959

      17 Chung SR, "Toxicity and lectins constituents from the seed of Cornus officinalis" 24 : 177-182, 1993

      18 Dewanto V,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50 : 3010-3014, 2002

      19 Guilian T, "Separation of gallic acid from Cornus officinalis Sieb. et Zucc by high-speed counter-current chromatography" 886 : 309-312, 2000

      20 Aida TM, "Reactions of D-fructose in water at temperatures up to 400°C and pressures up to 100 MPa" 42 : 110-119, 2007

      21 황은구, "Protective effects of α-tocopherol and captopril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apoptosis on human lung epithelial cell line L-132"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3

      22 Piao XL, "Protective effects of broccoli(Brassica oleracea)and its active components against radical-induced oxidative damage" 51 : 142-147, 2005

      23 Maxwell SR, "Prospects for the use of antioxidant therapies" 49 : 345-361, 1995

      24 Rahman I, "Oxidative stress and regulation of glutathione synthesis in lung inflammation" 16 : 534-554, 2000

      25 Finkel T, "Oxidants, oxidative stress and the biology of ageing" 408 : 239-247, 2000

      26 Rahman I, "Lung glutathione and oxidative stress: implications in cigarette smoke-induced airway disease" 277 : L1067-L1088, 1999

      27 Choi Y,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Lentinus edodes)mushroom" 99 : 381-387, 2006

      28 Sharma VK, "In vitro anti-tyrosinase activity of 5-(hydroxymethyl)-2-furfural isolated from Dictyophora indusiata" 18 : 841-844, 2004

      29 Comporti M, "Free radicals,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2 : 13-26, 2010

      30 Halliwell B,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 : Where are we now?" 119 : 598-620, 1992

      31 Halliwell B, "Free radicals in biology and medicine" Oxford University Press 1-705, 2015

      32 Maillard MN, "Free radical scavenging, inhibition of polyphenoloxidase activity and copper chelating properties of model Maillard systems" 40 : 1434-1444, 2007

      33 LeBlanc BW, "Formation of hydroxymethylfurfural in domestic high-fructose corn syrup and its toxicity to the honey bee(Apis mellifera)" 57 : 7369-7376, 2009

      34 Fan X, "Formation of furan from carbohydrates and ascorbic acid following exposure to ionizing radiation and thermal processing" 53 : 7826-7831, 2005

      35 Chen SL, "Effect of hot acidic fructose solution on caramelisation intermediates including colour, hydroxymethylfurfur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changes" 114 : 582-588, 2009

      36 Saha AK, "Determination of the concentrations of oligosaccharides, complex type carbohydrates, and glycoproteins using the phenol-sulfuric acid method" 254 : 157-167, 1994

      37 Pandareesh MD, "Cytoprotective propensity of Bacopa monniera against hydrogen peroxide induced oxidative damage in neuronal and lung epithelial cells" 68 : 157-172, 2016

      38 Singleton VL,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16 : 144-158, 1965

      39 Van Meerloo J, "Cancer Cell Culture: Methods and Protocols, Vol 731" Humana Press 237-245, 2011

      40 Deng G, "Bcl-2 facilitates recovery from DNA damage after oxidative stress" 159 : 309-318, 1999

      41 Gardner AM, "Apoptotic vs. nonapoptotic cytotoxicity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22 : 73-83, 1997

      42 Kim AK, "Alterations of antioxidant enzymes in response to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9 : 249-257, 2001

      43 Abdulmalik O, "5-Hydroxymethyl-2-furfural modifies intracellular sickle haemoglobin and inhibits sickling of red blood cells" 128 : 552-561,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