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고메이신 함유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052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고메이신 함유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유전독성에 대한 안전성을 규명하고자 세균에서의 복귀돌연변이 유발성, 염색체 이상, 마우스 골수세포에 있어서 소핵실험을 수행하였다. 세균에서의 복귀돌연변이 유발성 여부는 Salmonella Typhimurium의 히스티딘 요구성 균주인 TA100, TA1535, TA98 및 TA1537의 4개 균주와 대장균 Escherichia coli의 트립토판 요구성 균주인 WP2 uvrA를 이용하여 대사활성계 적용(+S9 Mix) 및 비적용(-S9 Mix)하에서 유전 손상을 측정한 결과 모든 균주에서 대사활성계 적용 및 비적용 시 옥수수수염 추출물(5,000, 1,666.67, 555.56, 185.19, 61.73 μg/plate)에서 복귀돌연변이 평균 집락수의 변화 및 농도 의존적인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염색체 이상 실험에서 대사활성계 적용 및 비적용 6시간 처리군(최고농도 1,250 μg/mL)과 대사활성계 비적용 24시간 처리군(최고농도 250 μg/mL)에서 이상 중기상 발현 빈도의 증가 및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마우스 골수세포에서의 소핵실험에서는 모든 투여용량의 옥수수수염 추출물(0, 500, 1,000, 2,000 mg/kg)에서 다염성 적혈구 중 소핵다염성 적혈구의 출현 빈도 및 총 적혈구에 대한 다염성 적혈구의 출현 빈도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2,000 mg/kg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섭취는 마우스 골수세포의 소핵 유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세균에서의 복귀돌연변이 실험, 염색체 이상 실험 및 생체 내에서의 마우스 골수세포에서의 소핵시험을 통하여 본 실험 조건에서 고메이신 함유 옥수수수염 추출물은 유전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고메이신 함유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유전독성에 대한 안전성을 규명하고자 세균에서의 복귀돌연변이 유발성, 염색체 이상, 마우스 골수세포에 있어서 소핵실험을 수행하였...

      본 연구에서는 고메이신 함유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유전독성에 대한 안전성을 규명하고자 세균에서의 복귀돌연변이 유발성, 염색체 이상, 마우스 골수세포에 있어서 소핵실험을 수행하였다. 세균에서의 복귀돌연변이 유발성 여부는 Salmonella Typhimurium의 히스티딘 요구성 균주인 TA100, TA1535, TA98 및 TA1537의 4개 균주와 대장균 Escherichia coli의 트립토판 요구성 균주인 WP2 uvrA를 이용하여 대사활성계 적용(+S9 Mix) 및 비적용(-S9 Mix)하에서 유전 손상을 측정한 결과 모든 균주에서 대사활성계 적용 및 비적용 시 옥수수수염 추출물(5,000, 1,666.67, 555.56, 185.19, 61.73 μg/plate)에서 복귀돌연변이 평균 집락수의 변화 및 농도 의존적인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염색체 이상 실험에서 대사활성계 적용 및 비적용 6시간 처리군(최고농도 1,250 μg/mL)과 대사활성계 비적용 24시간 처리군(최고농도 250 μg/mL)에서 이상 중기상 발현 빈도의 증가 및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마우스 골수세포에서의 소핵실험에서는 모든 투여용량의 옥수수수염 추출물(0, 500, 1,000, 2,000 mg/kg)에서 다염성 적혈구 중 소핵다염성 적혈구의 출현 빈도 및 총 적혈구에 대한 다염성 적혈구의 출현 빈도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2,000 mg/kg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섭취는 마우스 골수세포의 소핵 유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세균에서의 복귀돌연변이 실험, 염색체 이상 실험 및 생체 내에서의 마우스 골수세포에서의 소핵시험을 통하여 본 실험 조건에서 고메이신 함유 옥수수수염 추출물은 유전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a battery of genetic-toxicity studies on corn silk extract with high maysin content were performed according to internationally accepted protocols. In a mutation test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1535, TA1537, TA98, and TA100, the number of mutant colonies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up to a maximum concentration of 5,000 μg/plat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9 metabolic activation system. In the chromosome aberration test using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s, negative results were observed in the concentration up to 1,250 μg/mL of corn silk extract. In the micronucleus test using ICR mice, incidence of polymorphonuclear erythrocytes with a maximum concentration of 2,000 mg/kg corn silk extrac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test substance, con silk extract, did not influence genotoxicity.
      번역하기

      In this study, a battery of genetic-toxicity studies on corn silk extract with high maysin content were performed according to internationally accepted protocols. In a mutation test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1535, TA1537, TA98, and TA100, the num...

      In this study, a battery of genetic-toxicity studies on corn silk extract with high maysin content were performed according to internationally accepted protocols. In a mutation test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1535, TA1537, TA98, and TA100, the number of mutant colonies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up to a maximum concentration of 5,000 μg/plat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9 metabolic activation system. In the chromosome aberration test using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s, negative results were observed in the concentration up to 1,250 μg/mL of corn silk extract. In the micronucleus test using ICR mice, incidence of polymorphonuclear erythrocytes with a maximum concentration of 2,000 mg/kg corn silk extrac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test substance, con silk extract, did not influence genotoxic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림, "옥수수수염에 함유된 Flavonoids의 분리 및 동정" 한국작물학회 59 (59): 435-444, 2014

      2 Peng KZ, "Toxicological evaluation of the flavonoid-rich extract from Maydis stigma : Subchronic toxicity and genotoxicity studies in mice" 192 : 161-169, 2016

      3 Kim B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in vitro chromosome aberration assay using Chinese hamster ovary cells" 469 : 243-252, 2000

      4 Mortelmans K, "The Ames Salmonella/microsome mutagenicity assay" 455 : 29-60, 2000

      5 Kastenbaum MA, "Tables for determin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utation frequencies" 9 : 527-549, 1970

      6 Kim BS, "Statistical methods for the Ames Salmonella assay : a review" 436 : 113-122, 1999

      7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Scientific opinion on genotoxicity testing strategies applicable to food and feed safety assessment" 9 : 2379-, 2011

      8 Peng KZ, "Safety evaluation, in vitro and in vivo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lavonoid-rich extract from Maydis stigma" 20 : 22102-22112, 2015

      9 Maksimović Z,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ydis stigma extracts" 96 : 873-877, 2005

      10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Guideline for Testing of Chemicals (Guideline 487): in vitro Mammalian cells micronucleus test" OECD Publishing 1-26, 2014

      1 김선림, "옥수수수염에 함유된 Flavonoids의 분리 및 동정" 한국작물학회 59 (59): 435-444, 2014

      2 Peng KZ, "Toxicological evaluation of the flavonoid-rich extract from Maydis stigma : Subchronic toxicity and genotoxicity studies in mice" 192 : 161-169, 2016

      3 Kim B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in vitro chromosome aberration assay using Chinese hamster ovary cells" 469 : 243-252, 2000

      4 Mortelmans K, "The Ames Salmonella/microsome mutagenicity assay" 455 : 29-60, 2000

      5 Kastenbaum MA, "Tables for determin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utation frequencies" 9 : 527-549, 1970

      6 Kim BS, "Statistical methods for the Ames Salmonella assay : a review" 436 : 113-122, 1999

      7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Scientific opinion on genotoxicity testing strategies applicable to food and feed safety assessment" 9 : 2379-, 2011

      8 Peng KZ, "Safety evaluation, in vitro and in vivo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lavonoid-rich extract from Maydis stigma" 20 : 22102-22112, 2015

      9 Maksimović Z,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ydis stigma extracts" 96 : 873-877, 2005

      10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Guideline for Testing of Chemicals (Guideline 487): in vitro Mammalian cells micronucleus test" OECD Publishing 1-26, 2014

      11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Guideline for Testing of Chemicals (Guideline 474): Mammalian erythrocyte micronucleus test" OECD Publishing 2014

      12 Choi DJ, "Neuroprotective effects of corn silk maysin via inhibition of H2O2-induced apoptotic cell death in SK-N-MC cells" 109 : 57-64, 2014

      13 Ames BN, "Methods for detecting carcinogens and mutagens with the Salmonella/mammalian-microsome mutagenicity test" 31 : 347-364, 1975

      14 Waiss AC Jr, "Maysin, a flavone glycoside from corn silks with antibiotic activity toward corn earworm" 72 : 256-158, 1979

      15 이지선,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maysin isolated from corn silk in murine RAW 264.7 macrophages" 생화학분자생물학회 47 (47): 382-387, 2014

      16 Sumner DD, "Evaluation of the mutagenic potential of corn(Zea mays L. )grown in untreated and atrazine(AAtrex®)treated soil in the field" 7 : 243-257, 1984

      17 Maksimović Z, "Diuretic activity of Maydis stigma extract in rats" 59 : 967-971, 2004

      18 Hasanudin K, "Corn silk(Stigma maydis)in healthcare : a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review" 17 : 9697-9715, 2012

      19 George GO, "Corn silk aqueous extracts and intraocular pressure of systemic and non-systemic hypertensive subjects" 98 : 138-149, 2015

      20 Ishidate M Jr, "Chromosome aberration assays in genetic toxicology testing in vitro" 404 : 167-172, 1988

      21 Hayashi M, "A procedure for data analysis of the rodent micronucleus test involving a historical control" 13 : 347-356,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