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체제 이행의 핵심적 요소를 ‘시장화’로 설정하고, 북한과 초기 중국의 시장이 양국에서 어떻게 형성 발전 되었는가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북한 경제개혁의 특징과 전망을 하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977589
박희진 (이화여자대학교)
2007
-
market ; marketization ; economic reform ; market of north korea ; china reform ; 시장 ; 시장화 ; 경제개혁 ; 북한의 시장 ; 중국의 개혁
KCI등재
학술저널
199-232(34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체제 이행의 핵심적 요소를 ‘시장화’로 설정하고, 북한과 초기 중국의 시장이 양국에서 어떻게 형성 발전 되었는가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북한 경제개혁의 특징과 전망을 하였...
본 연구는 체제 이행의 핵심적 요소를 ‘시장화’로 설정하고, 북한과 초기 중국의 시장이 양국에서 어떻게 형성 발전 되었는가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북한 경제개혁의 특징과 전망을 하였다. 그 결과 중국은 농촌-도시에서 분리 형성된 시장이 농업개혁 성과에 기반하여 농촌에서 도시로 확대 발전하며 비국유부문을 창출하는 생산적 시장을 형성한다. 반면 북한은 1990년대 중반 이후 마비된 계획경제체제가 도시와 농촌이 연계된 시장을 광범위하게 형성, 확대시켰으며, 암시장적 성격으로 변화시켰다. 내부 자원이 고갈된 상태, 절대 공급 부족의 상황은 북한 당국으로 하여금 시장의 확산을 방치하고 시장을 통해 주민들의 생계유지를 담보하며, 계획체계를 유지시키게 한다. 따라서 향후 북한 시장화는 부문개혁의 심화보다 대외개방 및 경제협력이 주요 변수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mparative Study on Market of North Korea and China: With a Focus on Market Formed and DevelopedHee-Jin ParkThis research examined the processes of reforms by North Korea and China, and then studied how the markets had been formed and developed in bo...
Comparative Study on Market of North Korea and China: With a Focus on Market Formed and DevelopedHee-Jin ParkThis research examined the processes of reforms by North Korea and China, and then studied how the markets had been formed and developed in both countries. China conducted the reforms step by step from agriculture to engineering and industrial field, and thereby formed a free market as an autonomous market. And, through successful agricultural reform, it generated non-state owned sectors characterized by market performing production functions. As a result, its market came to perform a function of replacing the planning. In the mean time, North Korea made a comprehensive reform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dur-ing the 1990s and the paralysis of planned economic system as well. However, they failed to improve productivity as they couldnt propel the reforms in the entire industry sectors.
As a result, the North Korean market became one with non-productive features that sells illegal products, while being a space for individuals to retain their wages to make their living. To conclude, in spite of the market that has been formed in a broad fashion as well as illegal character, aberration, blind purpose and non-productivity therewith, which are expanding, North Korea sustains planning system and make it remain in their society under state’s active investments and supports. This means that, in connection with the form of marketization of North Korea in the future, we are required to pay close attention to how the planning system controlled tightly by the state would be combined again with market system that is abandoned by the present regime.
참고문헌 (Reference)
1 "현시기 북한의 경제운용실태에 대한 연구" 서울: 진보정치 2007
2 "중국상업정책사연구(1949∼2000)" 서울: 삼영사 2002
3 "중국농산물유통구조의 변화 및 북한에 주는 시사점" 1999
4 "중국과 북한의 비교-개방경제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5 "중국 農民工과 국가-사회관계" 서울: 나남출판 2001
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제1차 전원회의에서 한 결론" 1950.1.11
7 "자립적 지방경제: 역사적 개관과 평가" 파주: 한울 2004
8 "오늘의 북한, 북한의 내일" 서울: 정토출판 2006
9 "오늘의 북한 소식" 2007
10 "사회주의경제의 몇가지 리론문제에 대하여" . 평양 : 1963.3.1
1 "현시기 북한의 경제운용실태에 대한 연구" 서울: 진보정치 2007
2 "중국상업정책사연구(1949∼2000)" 서울: 삼영사 2002
3 "중국농산물유통구조의 변화 및 북한에 주는 시사점" 1999
4 "중국과 북한의 비교-개방경제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5 "중국 農民工과 국가-사회관계" 서울: 나남출판 2001
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제1차 전원회의에서 한 결론" 1950.1.11
7 "자립적 지방경제: 역사적 개관과 평가" 파주: 한울 2004
8 "오늘의 북한, 북한의 내일" 서울: 정토출판 2006
9 "오늘의 북한 소식" 2007
10 "사회주의경제의 몇가지 리론문제에 대하여" . 평양 : 1963.3.1
11 "북한의 종합시장: 실태, 파급효과, 성격과 의미" 2005.2
12 "북한의 제2경제"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7
13 "북한의 사경제부문 연구" 서울: 한국은행 2002
14 "북한의 배급제 위기와 시장개혁 전망"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1997
15 "북한의 도시 ‘장마당’ 활성화의 동학" 파주: 한울 2006
16 "북한의 1990년대 경제위기와 기업 행태의 변화" 2003
17 "북한사회 무엇이 변하고 있는가" 서울: 정토출판 2001
18 "북한사람들이 말하는 북한이야기" 서울: 정토출판 2000
19 "북한경제와 경제제재" 2005.3
20 "북한 주민생활보장제도와 도시 계층구조 재편" 파주: 한울아카데미 2006
21 "북한 노동자의 존재양식" 파주: 한울아카데미 2007
22 "북한 기업의 작업조직"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7
23 "북한 경제개혁 연구의 쟁점" 9 (9): 2006
24 "북중 변경무역과 북한의 시장실태" 서울: 통일교육원 2006
25 "당사업을 강화하며 나라의 살림살이를 알뜰하게 꾸릴데 대하여"
26 "浜勝産 著. 尹榮子 譯. 鄧小平時代의 中國經濟" 비봉출판사 1987.
27 "村制改革取得了巨大成就." 1984年20期.
28 "改革經濟管理制擴大企業自主權." 1979年10期.
29 "必須尊重生産隊的自主權." 1979年2期.
30 "家制改革的理和." 1986年
31 "中共中央于制改革的定-中共第十二中央委第 三次全一"
32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sm ."
33 "The Economy of Transition from Socialist Economy to Market Economy" New York: St. Martin’s Pres, Inc. 1995
34 "1990년대 북한의 ‘고난의 행군’과 ‘농민시장’ 변화 연구" 2004
35 "1990년대 경제위기와 지방경제 운영체계의 변화" 파주: 한울 2006
36 "1978년 以後의 中國私營經濟에 관한 硏究. 서울대학교대학원 경제학박사학위논"
남북정상회담과 한반도 평화정착 방안의 구상: 동북아 역내 이해구조를 중심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사회적 위기대처 향상 전략: 난민과 이주민 모델의 적용을 통하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6-20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통일정책연구외국어명 : Unification Policy Studies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9 | 1.39 | 1.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78 | 1.82 | 2.05 | 0.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