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table Diffusion Web UI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 연구 : 이미지 생성형 AI의 직관적 UI 설계와 접근성 향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ing the User Interface (UI) of Stable Diffusion Web UI: Focusing on Intuitive Design Principles and Accessibility Enhanc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477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1
      • 1.1. 연구 배경 11
      • 1.2. 문제 제기 13
      • 1.3. 연구 목적 15
      • 1.4. 연구의 범위 및 절차 16
      • 1. 서론 11
      • 1.1. 연구 배경 11
      • 1.2. 문제 제기 13
      • 1.3. 연구 목적 15
      • 1.4. 연구의 범위 및 절차 16
      • 2. 이론적 배경 및 관련 연구 18
      • 2.1. 어포던스(AFFORDANCE)와 UX 설계 18
      • 2.1.1. 생성형 AI 서비스의 UX 디자인 원칙 19
      • 2.1.2. AI 기반 시스템 UX 설계의 도전 과제 20
      • 2.1.3. 관련 연구의 요약과 본 연구의 기여 21
      • 2.2. 관련 선행 연구 22
      • 2.2.1. 텍스트-이미지 변환 시스템의 사용자 경험 연구 23
      • 2.3. 이미지 생성 AI 서비스 사례 연구 24
      • 2.3.1. 주요 이미지 생성 AI 도구의 특성 24
      • 2.3.2. 사용자 인터페이스 분석 27
      • 2.3.3. 사용성 분석 32
      • 3. STABLE DIFFUSION WEB UI 분석 33
      • 3.1. STABLE DIFFUSION 개요 33
      • 3.2. AUTOMATIC1111 STABLE DIFFUSION WEB UI 34
      • 3.3. 정보 구조 분석 35
      • 3.4. 작업 흐름 분석 39
      • 3.5. UX/UI 분석 39
      • 3.6. 피드백 체계와 오류 관리 41
      • 3.7. 예상 문제점 도출 42
      • 3.7.1. 정보 구조 측면 42
      • 3.7.2. UX/UI 설계 측면 43
      • 3.7.3. 사용성 측면 43
      • 3.7.4. 생성형 AI 설계 프레임워크 측면 44
      • 4. 문제점 도출 46
      • 4.1. 인터뷰 46
      • 4.1.1. 인지적 차원의 검증 47
      • 4.1.2. 행동적 차원의 검증 48
      • 4.1.3. 윤리적 차원의 검증 49
      • 4.1.4. 개선 필요 영역 도출 51
      • 5. 생성형 AI 서비스를 위한 인지-행동적 어포던스 및 윤리적 UX 프레임워크 54
      • 5.1. 프레임워크의 구성 원리 54
      • 5.2. 프레임워크 적용 원칙 55
      • 5.3. 실제 적용 전략 56
      • 6. STABLE DIFFUSION WEB UI 사용성 개선 방안 57
      • 6.1. 정보 구조(INFORMATION ARCHITECTURE) 개선 57
      • 6.2. 상호작용 피드백 개선 60
      • 6.3. 작업 프로세스 개선 61
      • 6.4. 윤리적 설계 개선 63
      • 6.5. 코드 분석 및 디버깅 65
      • 6.5.1. 코드 구조 분석 65
      • 6.5.2. 디버깅 과정과 주요 발견 66
      • 6.5.3. 플로우차트 설계 67
      • 6.5.4. 기술적 한계 71
      • 6.5.5. 해결 과정 72
      • 6.6. 개선된 UI 개발 74
      • 6.6.1. 정보 구조 재설계 75
      • 6.6.2. 상호작용 피드백 강화 76
      • 6.6.3. 작업 흐름 최적화 78
      • 7.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 81
      • 7.1. 테스트 설계 82
      • 7.1.1. 대상자 선정 82
      • 7.1.2. 테스트 환경 84
      • 7.1.3. 테스트 문항 구성 85
      • 7.2. 테스트 결과 88
      • 7.2.1. 정량적 데이터 분석 88
      • 7.2.2. 정성적 데이터 분석 94
      • 7.2.3. 사용 경험에 따른 차이 95
      • 7.2.4. 통합 분석 96
      • 8. 결과 분석 96
      • 8.1. 사용 경험에 따른 행동 패턴 분석 97
      • 8.1.1. Stable diffusion 사용 경험이 없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 97
      • 8.1.2. Stable diffusion 사용 경험이 있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 98
      • 8.1.3. 예술계 사용자 그룹의 특성 99
      • 8.2. 주요 성과 100
      • 9. 결론 및 향후 과제 101
      • 9.1. 연구 결론 102
      • 9.2. 연구 기여 103
      • 9.3. 향후 과제 104
      • 참고문헌 1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