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국의 Advanced Cognitive Training for Independent and Vital Elderly (ACTIVE) Study를 통해 수집된 설문 자료를 활용해 이차자료분석 (secondary data analysis)을 실행하고자 한다. ACTIVE 프로젝트는 미국 6...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69057
201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국의 Advanced Cognitive Training for Independent and Vital Elderly (ACTIVE) Study를 통해 수집된 설문 자료를 활용해 이차자료분석 (secondary data analysis)을 실행하고자 한다. ACTIVE 프로젝트는 미국 6...
본 연구는 미국의 Advanced Cognitive Training for Independent and Vital Elderly (ACTIVE) Study를 통해 수집된 설문 자료를 활용해 이차자료분석 (secondary data analysis)을 실행하고자 한다. ACTIVE 프로젝트는 미국 6개의 주요 대도시에서 무작위 표본 추출을 통해 선정된 노인들의 삶공간, 신체기능, 건강 관련 삶의 질, 의료서비스 이용, 인지기능 및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1:1 면접을 통해 수집한 자료들이다 (샘플 사이즈: 2,802명). 이 연구 참가자들은 삶공간평가서 (life-space assessment)를 작성하는데, 이는 연구 참가자가 지난 일주일동안 자신의 방, 집, 건물, 동네를 벗어난 적이 있는 지, 그리고 지난 두 달동안 자신의 지역구, 주, 그리고 도를 벗어난 적이 있는 지를 측정한다. 본 연구는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위에서 명시한 연구목표에 따라 다음과 같이 3단계로 진행하고자 한다.
1 단계: 시간에 따른 삶공간 변화 패턴과 사회인구학적 요소에 대한 분석
잠재계층분석기법(Latent Class Analysis)을 이용하여, 노인들이 시간에 따라 삶공간이 어떻게 변하는 지 그 패턴을 세분화한다. 이 잠재계층분석기법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항로지스틱회귀 모형(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사회 인구학적 요인들(젠더, 인종, 연령그룹, 독거여부)이 삶공간 변화패턴 그룹을 결정 짓는 요인을 분석한다.
2 단계: 신체, 인지기능과 삶공간 수축의 공동변화궤적 분석
공동변화궤적 모델(Joint Trajectory Model)을 이용하여, 노화에 따른 신체, 인지기능 저하와 삶공간 수축의 공동변화궤적을 분석한다. 그리고, 일반화된 선형혼합 모형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을 이용하여, 건강취약계층(여성과 소수인종)이 신체, 인지기능과 삶공간 수축의 공동변화궤적에 있어 비취약계층에 비해 어떻게 다른 지 분석한다.
3 단계: 삶공간변화에 따른 건강 저하의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
일반화된 선형혼합 모형(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과 선형혼합 모형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을 이용하여, 삶공간이 수축되는 것이 시간 차를 두고 노인들의 건강 변화, 특히 우울증, 신체적 기능, 주관적 건강인식에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