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 1. 서론
- 2. 삶을 우회하기와 쓰기 - 피난지로서의 미국과 글쓰기로의 귀환
- 3. 이데올로기와 명분 사이의 거리와 소련 - 재발견되는 고향의 의미
- 4. 조명희의 전언, 그 이후의 작가적 삶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020506
2016
Korean
화두 ; 디아스포라 ; 지식인 ; 월남 ; 망명 ; 피난 ; 미국 ; 소련 ; 조명희 ; Hwa-doo(The Topic) ; Diaspora ; Intellectual ; Refuge ; Asylum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Soviet Union ; Cho Myung-hee
810
KCI등재
학술저널
125-157(33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인훈, "화두 2" 민음사 1994
2 최인훈, "화두 1" 민음사 1994
3 한나 아렌트, "혁명론" 한길사 2012
4 윤인진, "한민족 이산(Diaspora)과 한민족공동체 형성방안" 국학연구원 (142) : 179-229, 2008
5 김태우, "폭격-미공군의 공중폭격 기록으로 읽는 한국전쟁" 창비 2013
6 구재진, "최인훈의『화두』에 나타난 애도와 기억" 외국문학연구소 (57) : 9-32, 2015
7 방민호, "최인훈의 ≪화두≫와 조명희의 <낙동강>" 24 (24): 2014
8 연남경, "최인훈론-피란(避亂)의 존재론과 경계지식인의 탄생" 이화어문학회 37 : 2015
9 연남경, "최인훈 소설의 자기 반영적 글쓰기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0 조시정,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러시아-소련 경험’-≪화두≫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10 : 2011
1 최인훈, "화두 2" 민음사 1994
2 최인훈, "화두 1" 민음사 1994
3 한나 아렌트, "혁명론" 한길사 2012
4 윤인진, "한민족 이산(Diaspora)과 한민족공동체 형성방안" 국학연구원 (142) : 179-229, 2008
5 김태우, "폭격-미공군의 공중폭격 기록으로 읽는 한국전쟁" 창비 2013
6 구재진, "최인훈의『화두』에 나타난 애도와 기억" 외국문학연구소 (57) : 9-32, 2015
7 방민호, "최인훈의 ≪화두≫와 조명희의 <낙동강>" 24 (24): 2014
8 연남경, "최인훈론-피란(避亂)의 존재론과 경계지식인의 탄생" 이화어문학회 37 : 2015
9 연남경, "최인훈 소설의 자기 반영적 글쓰기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0 조시정,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러시아-소련 경험’-≪화두≫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10 : 2011
11 임환모, "최인훈 『화두』의 글쓰기 전략"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9 (19): 311-336, 2015
12 장사흠, "최인훈 ≪화두≫의 자전적 에세이 형식과 낭만주의적 작가의식" 한국현대소설학회 (38) : 321-346, 2008
13 서용순, "이방인을 통해 본 새로운 주체성에 대한 고찰" 한국학연구원 (50) : 275-302, 2013
14 조보라미, "이데올로기에 대한 매듭짓기와 매듭풀기: 『광장』과 『화두』" 국제한인문학회 1 (1): 241-270, 2013
15 최인훈, "유토피아의 꿈" 문학과지성사 2010
16 서세림, "월남작가 소설 연구-‘고향’의 의미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6
17 윤지관, "상품인가 물건인가-국가경쟁력과 민족문학" (여름) : 1994
18 서세림, "망명자의 정치 감각과 피난의 기억 - 최인훈 ≪서유기≫론 -" 한국현대소설학회 (58) : 227-256, 2015
19 비린더 S. 칼라, "디아스포라와 혼종성" 에코리브르 2014
20 최인훈, "길에 관한 명상" 문학과지성사 2010
21 김인호, "기억의 확장과 서사적 진실 - 최인훈 소설 <서유기>와 <화두>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41 : 143-162, 2005
22 권성우, "근대문학과의 대화를 통한 망명과 말년의 양식―최인훈의『화두』에 대해" 한민족문화학회 45 (45): 61-88, 2014
23 서경식, "고통과 기억의 연대는 가능한가?" 철수와 영희 2009
24 오윤호, "『화두』와 20세기 식민지 지식인의 탈이데올로기적 저항" 국제어문학회 (46) : 69-94, 2009
25 김병익, "‘남북조 시대 작가’의 의식의 자서전-최인훈의 ≪화두≫를 보며" (여름) : 1994
26 Cohen, Robin, "Global diaspora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7
27 정미지, "<화두>의 자전적 글쓰기와 ‘책-자아’의 존재 방식"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6 (16): 203-221, 2012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3 | 1.017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