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채움재는 우수한 유동성과 자기다짐성으로 인해 뒷 채움재 및 구조용 채움재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목질계 바이오매스인 리그노설포네이트를 유동성 채움재에 혼입하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79959
2025
Korean
531
KCI등재
학술저널
45-54(1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유동성 채움재는 우수한 유동성과 자기다짐성으로 인해 뒷 채움재 및 구조용 채움재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목질계 바이오매스인 리그노설포네이트를 유동성 채움재에 혼입하여, ...
유동성 채움재는 우수한 유동성과 자기다짐성으로 인해 뒷 채움재 및 구조용 채움재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목질계 바이오매스인 리그노설포네이트를 유동성 채움재에 혼입하여, 개발된 유동성 채움재의 유동성, 경화특성, 압축강도특성을 평가하고, 도로 및 철도포장 하부층의 재료로서 활용하기 위해 반복 삼축압축실험을 수행하여 영구변형 특성을 평가하였다. 리그노설포네이트 혼입 시, 유동성은 증가하고, 경화시간은 지연되었다. 또한, 양생 3일 및 7일에서는 리그노설포네이트가 혼입된 채움재의 일축압축강도가 미혼입된 채움재보다 낮았으나, 양생 14일 이후 리그노설포네이트가 혼입된 채움재의 일축압축강도가 미혼입된 채움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복 삼축압축실험 결과, 리그노설포네이트가 혼입된 채움재의 양생초기 단계에서는 높은 축차응력에서 상당한 영구변형이 발생하였으나, 양생 28일에는 미혼입된 채움재보다 안정적인 영구변형축적 양상을 보여주었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축차응력을 포함한 지수함수 기반의 영구변형 예측식이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었으며, 실험에서 측정된 영구변형 축적 양상과 전반적으로 높은 일치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 (CLSM) is widely used as backfill and structural fill due to its high fluidity, self-consolidating properties, and self-leveling behavior. This study examines the fluidity, strength, and permanent deformation character...
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 (CLSM) is widely used as backfill and structural fill due to its high fluidity, self-consolidating properties, and self-leveling behavior. This study examines the fluidity, strength, and permanent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CLSM modified with lignosulfonate. The addition of lignosulfonate increases flowability and extends both the initial and final setting times. CLSMs containing lignosulfonate exhibit lower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on the 3rd and 7th curing days compared to those without lignosulfonate. However, after 14 days of curing, the strength of lignosulfonate-modified CLSM surpasses that of unmodified CLSM. Consequently, CLSMs with lignosulfonate appear more susceptible to high deviatoric stress in the early curing stages but exhibit lower permanent strain under long-term curing and low deviatoric stress. Furthermor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s that an exponential model incorporating deviatoric stress accurately predicts permanent strain.
세종시 지반 전단파 속도의 분포 특성 및 깊이에 따른 전단파 속도의 변동계수 모델식 제안
충적 대수층의 포화대 및 불포화대에서 심도별 토양 특성
바이오폴리머 혼합토의 반복 동결-융해에 따른 탄성파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