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현행 한국 문묘제례악의 연원 및 제정 원리 연구 其一  :  원조임우대성악보(元朝林宇大成樂譜) 고찰을 중심으로 = Study of the Origin and Making Principle of Contemporary Munmyo Jereak of Korea : with the Emphasis on Linyu’s Dachengyuepu of Yua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554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origin and principle of how to make Munmyo Jeryeak which is considered as an prototype of royal ritual music for Confucius in Northeast Asia.
      When King Sejong composed this music, he referred to Chinese royal musical notes made by Linyu of Yuan Dynasty. Even though he heavily relied on Linyu’s music, Sejong did not follow Linyu’s music as it is. In this paper, I try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musics of Sejong and Linyu in various perspectives.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origin and principle of how to make Munmyo Jeryeak which is considered as an prototype of royal ritual music for Confucius in Northeast Asia. When King Sejong composed this music, he referred to Chinese ro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origin and principle of how to make Munmyo Jeryeak which is considered as an prototype of royal ritual music for Confucius in Northeast Asia.
      When King Sejong composed this music, he referred to Chinese royal musical notes made by Linyu of Yuan Dynasty. Even though he heavily relied on Linyu’s music, Sejong did not follow Linyu’s music as it is. In this paper, I try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musics of Sejong and Linyu in various perspectiv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동북아 왕실 제사음악의 원형을 전하고 있는 것으로 주목받고 있는 한국 문묘제례악(음악에 한함)의 연원과 그 제정 원리를 조명한 것이다. 한국 문묘제례악의 연원은 『세종실록』 『악보』에 소재한 두 악보, 즉 세종이 제정한 제사 <아악보>(144곡)와 그것의 참고 악보로 수록된 <원조임우대성악보(元朝林宇 大成樂譜)>(열여섯 곡)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전자는 세종이 중국 주대의 아악을 모델로 삼아 당시 흐트러진 아악의 일대 정비를 단행한 후 제정한 신제 제사아악 144곡을 수록한 악보이다. 후자는 그 제정에 참고가 된 열여섯 곡을 수록한 악보로서 중국 문묘음악인 동시에 세종 제사악보의 모체가 되었다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양자의 비교 고찰을 통해 현행 문묘음악 여섯 곡의 직간접적인 연원을 밝히는 데 첫 번째 목적이 있다. 그런데 세종은 임우의 열여섯 곡 가운데 열두 곡만을 선택하여 조선 제사아악의 핵심이 되는 열두 곡의 ‘황종궁’을 제정하는 데 활용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종이 선택한 열두 곡 혹은 선택하지 않은 네 곡의 기준(혹은 특이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임우의 열두 곡과 이를 토대로 제정한 세종의 열두 곡 각 곡들 사이에 발생한 차이에 주목하여 세종이 그러한 변화를 시도한 불가피한 이유를 밝히는 동시에 이 열두 곡을 조옮김하여 나머지 곡(132곡)을 얻는 과정에서 발생한 음악적인 사건들을 고찰하여 조선 제사아악의 제정 원리를 밝히는 데에도 목적을 두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동북아 왕실 제사음악의 원형을 전하고 있는 것으로 주목받고 있는 한국 문묘제례악(음악에 한함)의 연원과 그 제정 원리를 조명한 것이다. 한국 문묘제례악의 연원은 『세종실록...

      본 연구는 동북아 왕실 제사음악의 원형을 전하고 있는 것으로 주목받고 있는 한국 문묘제례악(음악에 한함)의 연원과 그 제정 원리를 조명한 것이다. 한국 문묘제례악의 연원은 『세종실록』 『악보』에 소재한 두 악보, 즉 세종이 제정한 제사 <아악보>(144곡)와 그것의 참고 악보로 수록된 <원조임우대성악보(元朝林宇 大成樂譜)>(열여섯 곡)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전자는 세종이 중국 주대의 아악을 모델로 삼아 당시 흐트러진 아악의 일대 정비를 단행한 후 제정한 신제 제사아악 144곡을 수록한 악보이다. 후자는 그 제정에 참고가 된 열여섯 곡을 수록한 악보로서 중국 문묘음악인 동시에 세종 제사악보의 모체가 되었다는 점에서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양자의 비교 고찰을 통해 현행 문묘음악 여섯 곡의 직간접적인 연원을 밝히는 데 첫 번째 목적이 있다. 그런데 세종은 임우의 열여섯 곡 가운데 열두 곡만을 선택하여 조선 제사아악의 핵심이 되는 열두 곡의 ‘황종궁’을 제정하는 데 활용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종이 선택한 열두 곡 혹은 선택하지 않은 네 곡의 기준(혹은 특이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임우의 열두 곡과 이를 토대로 제정한 세종의 열두 곡 각 곡들 사이에 발생한 차이에 주목하여 세종이 그러한 변화를 시도한 불가피한 이유를 밝히는 동시에 이 열두 곡을 조옮김하여 나머지 곡(132곡)을 얻는 과정에서 발생한 음악적인 사건들을 고찰하여 조선 제사아악의 제정 원리를 밝히는 데에도 목적을 두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언
      • Ⅱ. 현행 한국 문묘음악
      • Ⅲ. 현행 한국 문묘음악의 연원과 제정 원리-<원조임우대성악보>를 통하여
      • 1. 『임우대성악보』의 구조
      • 국문초록
      • Ⅰ. 서언
      • Ⅱ. 현행 한국 문묘음악
      • Ⅲ. 현행 한국 문묘음악의 연원과 제정 원리-<원조임우대성악보>를 통하여
      • 1. 『임우대성악보』의 구조
      • 2. 『임우대성악보』의 악조
      • 3. 『임우대성악보』에 수록된 열여섯 곡
      • Ⅳ. 결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혜나, "한국음악과 중국음악, 그 오래된 관계와 오늘, In 한국문화는 중국문화의 아류인가" 소나무 2010

      2 정화순, "조선조 세종대 문묘제례악에 대한 추고" 온지학회 (21) : 337-370, 2009

      3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4 이숙희, "전통음악 전승 이론 수립을 위한 시론" 한국음악사학회 (40) : 485-506, 2008

      5 이혜영, "음악을 통한 정체성의 구성--동아시아 아악의 전통을 중심으로" 세계음악학회 (2) : 77-102, 2000

      6 정화순, "악학궤범의 문묘제례악에 관한 연구" 한국동양예술학회 (13) : 5-43, 2008

      7 전인평, "세종실록(世宗實錄) 아악보(雅樂譜)와 현행 문묘악(文廟樂)" 세종대왕기념사업회 (7) : 31-51, 1992

      8 이숙희, "문묘제례악의 전승과 변용" 75-84, 2007

      9 조남권, "동양의 음악사상 악기" 민속원 2000

      1 송혜나, "한국음악과 중국음악, 그 오래된 관계와 오늘, In 한국문화는 중국문화의 아류인가" 소나무 2010

      2 정화순, "조선조 세종대 문묘제례악에 대한 추고" 온지학회 (21) : 337-370, 2009

      3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4 이숙희, "전통음악 전승 이론 수립을 위한 시론" 한국음악사학회 (40) : 485-506, 2008

      5 이혜영, "음악을 통한 정체성의 구성--동아시아 아악의 전통을 중심으로" 세계음악학회 (2) : 77-102, 2000

      6 정화순, "악학궤범의 문묘제례악에 관한 연구" 한국동양예술학회 (13) : 5-43, 2008

      7 전인평, "세종실록(世宗實錄) 아악보(雅樂譜)와 현행 문묘악(文廟樂)" 세종대왕기념사업회 (7) : 31-51, 1992

      8 이숙희, "문묘제례악의 전승과 변용" 75-84, 2007

      9 조남권, "동양의 음악사상 악기" 민속원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Cultural Research Institute -> Korea Culture Research Institut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 0.73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