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술혁신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nnovation Barri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97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correlations among innovation barriers and their deteminants, using data basis merging 2016 and 2018 Korea’s Innovation Survey data implemented by STEPI. Our empirical results, first, show that the null hypothesis that innovation barriers are not related each other. statistically rejected. In estimation of the multivariate probit model, all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innovation barriers such as the cost of innovation projects, lack of firm capability and market conditions a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means that ignoring the potential interrelation of innovation barriers can lead to biased results. This implies that government should provide incentive and financial support to promote innovation activities for expansion of market efficients and reduction of innovation barriers.
      Second,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R&D activiti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s of innovation barriers. Internal R&D and joint R&D activities positively affect all types of innovation barriers but external R&D activities only affect the lack of firm capacity significantly.
      Finally,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R&D cooperation and legal protection for innovation have negative effects on innovation barriers. These suggest that government policies are needed for promotion of innovation activities to overcome innovation barriers. In particular, government needs to support SMEs to reduce innovation barriers through the promotion of R&D cooperation with other firms or research institutes and through the expansion of R&D investment.
      번역하기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correlations among innovation barriers and their deteminants, using data basis merging 2016 and 2018 Korea’s Innovation Survey data implemented by STEPI. Our empirical results, first, show that the null hypothesis tha...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correlations among innovation barriers and their deteminants, using data basis merging 2016 and 2018 Korea’s Innovation Survey data implemented by STEPI. Our empirical results, first, show that the null hypothesis that innovation barriers are not related each other. statistically rejected. In estimation of the multivariate probit model, all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innovation barriers such as the cost of innovation projects, lack of firm capability and market conditions a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means that ignoring the potential interrelation of innovation barriers can lead to biased results. This implies that government should provide incentive and financial support to promote innovation activities for expansion of market efficients and reduction of innovation barriers.
      Second,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R&D activiti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s of innovation barriers. Internal R&D and joint R&D activities positively affect all types of innovation barriers but external R&D activities only affect the lack of firm capacity significantly.
      Finally,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R&D cooperation and legal protection for innovation have negative effects on innovation barriers. These suggest that government policies are needed for promotion of innovation activities to overcome innovation barriers. In particular, government needs to support SMEs to reduce innovation barriers through the promotion of R&D cooperation with other firms or research institutes and through the expansion of R&D invest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기술혁신의 장애요인에 미치는 요인과 장애요인의 상호 관계성 분석을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업의 유형별 R&D 혁신 활동, 기업규모와 기업 형태와 같은 기업의 성격, 유형별 기술혁신 보호와 기술협력 등의 요인이 어떻게 혁신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2016년과 2018년의 기술혁신 설문조사 자료를 통합하여 분석하였으며 Multivariate Probit Model을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방법으로 추정하여 분석하였다.
      추정결과를 보면, 우선 기술혁신 장애, 즉 자금조달 부족, 기업역량 부족, 시장요인 세 개 변수 모형에서 오차항 간 상관계수가 모두 통계적 양의 부호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자금조달 부족, 기업역량 부족, 시장요인 등의 장애요인은 상호 의존적이며 상호 보완적 관계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장애요인 변수를 개별적으로 독립하여 추정할 경우, 편의적 결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기술혁신 확대를 위한 동기부여와 보조금 지급으로 시장효율성 확대뿐만 아니라 혁신장애의 제거가 정부 개입의 일환으로 실행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기술혁신 활동이 장애요인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달리 나타났다. 내부 R&D 활동과 공동연구개발 활동은 자금조달 장애와 시장 불확실성 인식의 중요성을 확대하는 반면, 기업역량 문제의 중요성 인식은 모든 R&D 활동이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기술혁신의 장애요인에 미치는 요인과 장애요인의 상호 관계성 분석을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업의 유형별 R&D 혁신 활동, 기업규모와 기업 형태와 같은 기업의 성...

      이 논문은 기술혁신의 장애요인에 미치는 요인과 장애요인의 상호 관계성 분석을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업의 유형별 R&D 혁신 활동, 기업규모와 기업 형태와 같은 기업의 성격, 유형별 기술혁신 보호와 기술협력 등의 요인이 어떻게 혁신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2016년과 2018년의 기술혁신 설문조사 자료를 통합하여 분석하였으며 Multivariate Probit Model을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방법으로 추정하여 분석하였다.
      추정결과를 보면, 우선 기술혁신 장애, 즉 자금조달 부족, 기업역량 부족, 시장요인 세 개 변수 모형에서 오차항 간 상관계수가 모두 통계적 양의 부호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자금조달 부족, 기업역량 부족, 시장요인 등의 장애요인은 상호 의존적이며 상호 보완적 관계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장애요인 변수를 개별적으로 독립하여 추정할 경우, 편의적 결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기술혁신 확대를 위한 동기부여와 보조금 지급으로 시장효율성 확대뿐만 아니라 혁신장애의 제거가 정부 개입의 일환으로 실행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기술혁신 활동이 장애요인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달리 나타났다. 내부 R&D 활동과 공동연구개발 활동은 자금조달 장애와 시장 불확실성 인식의 중요성을 확대하는 반면, 기업역량 문제의 중요성 인식은 모든 R&D 활동이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범철, "혁신장애가 기술혁신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산업경제연구소 13 (13): 3-30, 2021

      2 이창양 ; 서규원, "한국 기업의 기술혁신 애로요인과 그 중요도 분석" 기술경영경제학회 12 (12): 115-134, 2004

      3 박규호, "중소부품소재기업의 기술혁신 장애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규모의 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경제발전학회 19 (19): 1-21, 2013

      4 이성기, "다변량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혁신과정의 장애요인과 기업의 기술확보전략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제조업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5 신범철, "기술혁신활동과 수출성과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생산성학회 32 (32): 3-23, 2018

      6 Blanchard, Pierre, "Where There Is a Will, There Is a Way? Assessing the Impact of Obstacles to Innovation" 22 (22): 679-710, 2013

      7 D’Este, Pablo, "What Hampers Innovation? Evidence from UK CIS4" 2008

      8 Cin, Beom C., "The Impact of Public R&D Subsidy on Small Firm Productivity; Evidence from Korean SMEs" 48 (48): 345-360, 2017

      9 Hall, Bronwyn H., "The Financing of Research and Development" 18 (18): 35-51, 2002

      10 Garcia-Quevedo, J., "Reviving Demand-pull Perspectives : The Effect of Demand Uncertainty and Stagnancy on R&D Strategy" 41 (41): 1097-1122, 2017

      1 신범철, "혁신장애가 기술혁신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산업경제연구소 13 (13): 3-30, 2021

      2 이창양 ; 서규원, "한국 기업의 기술혁신 애로요인과 그 중요도 분석" 기술경영경제학회 12 (12): 115-134, 2004

      3 박규호, "중소부품소재기업의 기술혁신 장애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규모의 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경제발전학회 19 (19): 1-21, 2013

      4 이성기, "다변량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혁신과정의 장애요인과 기업의 기술확보전략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제조업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5 신범철, "기술혁신활동과 수출성과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생산성학회 32 (32): 3-23, 2018

      6 Blanchard, Pierre, "Where There Is a Will, There Is a Way? Assessing the Impact of Obstacles to Innovation" 22 (22): 679-710, 2013

      7 D’Este, Pablo, "What Hampers Innovation? Evidence from UK CIS4" 2008

      8 Cin, Beom C., "The Impact of Public R&D Subsidy on Small Firm Productivity; Evidence from Korean SMEs" 48 (48): 345-360, 2017

      9 Hall, Bronwyn H., "The Financing of Research and Development" 18 (18): 35-51, 2002

      10 Garcia-Quevedo, J., "Reviving Demand-pull Perspectives : The Effect of Demand Uncertainty and Stagnancy on R&D Strategy" 41 (41): 1097-1122, 2017

      11 Crepon, Bruno, "Research, Innovation and Productivity; An Econometric Analysis at the Firm Level" 7 (7): 115-158, 1998

      12 Mancusi, Maria Luisa, "R&D, Innovation, and Liquidity Constraints" Bocconi University 2010

      13 Mancusi, Maria Luisa, "R&D and Credit Rationing in SMEs" 52 (52): 1153-1172, 2014

      14 Griliches, Zvi, "Issues in Assessing the Contribu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o Productivity Growth" 10 (10): 92-116, 1979

      15 Pellegrino, Gabriele, "Is Money All? Financing Versus Knowledge and Demand Constraints to Innovation" 2013

      16 Bougheas, S., "Internal vs External Financing of R&D" 22 (22): 11-17, 2004

      17 Hottenrott, Hanna, "Innovative Capability and Financing Constraints for Innovation, pp. More Money, More Innovation?" Reviewof Economics and Statistics 1126-1142, 2011

      18 Segarra-Blasco, Agustí, "Innovation and Productivity in Manufacturing and Service Firms in Catalonia : A Regional Approach" 19 (19): 233-258, 2010

      19 Coad, Alex, "Innovation and Firm Growth in High-tech Sectors, pp. A Quantile Regression Approach" 37 (37): 633-648, 2008

      20 Baldwin, J., "Impediments to Advanced Technology Adoption for Canadian Manufacturers" 31 : 1-18, 2002

      21 Savignac, Frédérique, "Impact of Financial Constraints on Innovation, pp. What Can Be Learned from a Direct Measure?" 17 (17): 553-569, 2008

      22 Canepa, A., "Financial Constraints to Innovation in the UK, pp. Evidence from CIS2 and CIS3" 60 : 711-730, 2008

      23 Wooldridge, J. M., "Econometric Analysis of Cross Section and Panel Data" MIT Press 2010

      24 Tiwari, Amaresh,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urs, A Firm’s Internal Practice and Its External Environments" Palgrave Macmillan 217-242, 2008

      25 Mohnen, P., "Complementarities in innovation policy" 49 : 1431-1450, 2005

      26 Galia, F., "Complementarities between obstacles to innovation : Evidence from France" 33 : 1185-1199, 2004

      27 Hadjimanolis, Athanasios, "Barriers to Innovation for SMEs in a Small Less Developed Country(Cyprus)" 19 : 561-570, 1999

      28 Madeira, M., "Barriers to Innovation and the Innovative Performance of Portuguese Firms" 9 (9): 2-22, 2017

      29 Segarra, Agustí, "Barriers to Innovation and Public Policy in Catalonia" 4 (4): 431-451,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