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慣用的表現韓日あいさつ考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750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사말은, 諸側面에서 人間關係의 여러 觀點이 복잡하게 작용하여 결코 단순하게 포착하기 어렵고, 그 裏面에는 제각기 社會의 生活이나 慣習, 思考方式 등이 多樣하게 內在되어 있다고 ...

      인사말은, 諸側面에서 人間關係의 여러 觀點이 복잡하게 작용하여 결코 단순하게 포착하기 어렵고, 그 裏面에는 제각기 社會의 生活이나 慣習, 思考方式 등이 多樣하게 內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本論文에서는, 基本的으로, 인사말에 대한 言語學的인 側面에서의 考察과 더불어 範圍를 設定하고, 이러한 槪念規定 위에서 日本語와 韓國語의 具體的인 對象을 通하여 그 特性을 把握考察하고 있다.
      現代日本語의 인사말은 소위 標準語의 장려와 더불어 明治時代에 制定되어, 그 以後 一般化 한 것이라고 한다. 또한 現代에 있어서도 인사교육은 국민학교의 國語 및 道德시간에 定規로 行하여져, 대단히 重視되고 있다.
      이러한 敎育的 側面과도 關連하여 日本人의 인사에 대한 言語行動은, 대단히 纖細하게 그리고 具體的인 言語表現으로 名行動에 매듭을 지어주는 習慣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때의 커다란 特徵의 하나로서, 그 表現은, 日常生活의 여러 마다마디의 機點에, 그것도 한덩어리로 굳어져 있는 定型으로서의 인사가 많다 하겠다. 定型으로 굳어져 있다고 하는 點에서, 그 表現自體는 原義와는 어느정도 독립적이며, 또한 文字그대로의 意味는 엷어져, 一種의 儀禮的인 형식으로 機能하는 일도 있다. 또한, 日本語의 인사말은, 인사의 本質이나 機能과도 關連하여, 形態는 아주 縮約된 것이 많으며, 表現도 術語的表現등 多樣하게 나타난다.
      以上, 日本語의 인사말의 몇몇 特性을 指摘하였다. 이러한 點에 對하여, 韓國語의 인사말은, 大略, 定型으로서 取할 수 있는 對象은 그다지 많지 않으며, 그것도 基本的으로 直接的인 人間關係를 中心으로 사람과 사람과의 接點을 軸으로 하는, 一般的이고 基本的인 것이 大部分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때의 表現도 거의 術語的表現으로 成立되어 있는 것이 特徵이다. 이러한 點과 關連하여, 表現을 이루는 構成要素의 意味는 보다 具體的이고 事實的이며, 전체로서도 實質的으로 作用을 한다. 그리하여, 경우에 따라사는 各場面에 對應하여 最大公約數的인 言語表現이 行하여진다교 하여도 꼭 定型으로서의 認識은 희박하고, 이와같은 觀點에서는 기본적으로 일본어의 인사말과 性格을 달리 한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はじめに
      • Ⅱ.あにさつ言葉の槪念及ぴ範圍
      • Ⅲ.日本語のあいさつ言葉
      • Ⅳ.韓國語のあいさつ言葉
      • Ⅴ.おわりに
      • Ⅰ.はじめに
      • Ⅱ.あにさつ言葉の槪念及ぴ範圍
      • Ⅲ.日本語のあいさつ言葉
      • Ⅳ.韓國語のあいさつ言葉
      • Ⅴ.おわりに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