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들의 미술 활동에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자기표현을 잘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미술 재료의 탐색, 표현, 감상의 통합적 미술 활동이 유아들의 입체 표현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596263
수원 :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09. 2
2008
한국어
경기도
Effects of Integrated Art Activities of Art Material Exploration,Appreciation on Children's Three-Dimensional Expression
vi,70 p. : 삽도 ; 26 cm.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 p.51-5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들의 미술 활동에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자기표현을 잘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미술 재료의 탐색, 표현, 감상의 통합적 미술 활동이 유아들의 입체 표현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
본 연구는 유아들의 미술 활동에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자기표현을 잘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미술 재료의 탐색, 표현, 감상의 통합적 미술 활동이 유아들의 입체 표현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미술 재료의 탐색, 표현, 감상의 통합적 미술 활동이 유아의 입체 표현 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 대상은 화성시 동탄에 위치한 G유치원으로 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 총 40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절차는 사전검사로 실험 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만들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 내용은 유치원 생활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고, 흥미로우며, 재미있게 관심을 끌 수 있는 주제들로 동화 듣고 과자 집 만들기, 명화 감상 후 만들기, 있었던 일 만들기 등 주제별로 미술교수 단계를 탐색, 표현, 감상으로 나누어 10회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미술은 느낌이나 생각을 시각적 조형언어를 통하여 창조, 발전시켜 나아가는 예술의 한 영역이다. 미술 교육은 다양한 미술 활동을 통하여 주변 세계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향유할 수 있는 심미적인 태도와 상상력, 창의성, 비판적인 사고력을 길러 주고, 아울러 미술 문화를 이해하며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간을 육성하려고 한다.
그러나 재료에 대한 충분한 탐색이 없이는 창의적이며 개성적인 작품은 제작될 수 없으며 유아들 또한 표현에 대한 만족감을 갖지 못할 것이다. 재료의 탐색은 유아의 입체 표현력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표현과 감상은 입체 표현력과 분리될 수 없으며 저절로 배워지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 작품의 재료 탐색과 표현재료의 활용 가능성 탐색을 통하여 유아의 입체 표현 재료의 다양한 활용방안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오종숙의 유아의 입체 표현에 관한 평가 척도는 아이디어의 독특성, 주제의 특징 표현, 재료사용의 다양성, 기법의 구사, 구성방식, 세부적 묘사에 관한 관점으로 각 요인마다 5점의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수집된 사전, 사후검사를 통하여 실시된 입체 표현 능력의 자료는 SPSS WIN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기법으로는 미술 재료의 탐색, 표현, 감상의 통합적 미술 활동이 유아의 입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유아들이 재료에 대한 친밀감을 가질 수 있었으며 재료를 과감하고 능숙하게 다루어 다양하고 창조적이며 개성적인 작품 제작능력을 신장시켰다고 생각한다. 재료에 대한 접근의 곤란을 겪던 유아들을 재료의 탐색과 표현 활동을 통하여 감상의 즐거움을 깨달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교사의 몫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것을 유아들에게 다 제시할 수는 없지만 한 가지 재료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 즉, 다양성을 인식시켜줌으로써 사고의 유연성과 창조성을, 더 나아가 자신의 개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입체 표현 활동 영역에서 그리기, 만들기 등 다른 영역에서도 이와 유사한 연구가 이루어지면 유아들의 표현력 신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