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집중지원 학생의 인지적ㆍ정의적 성취에 미치는 효과: 서울시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 Effects of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Project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achievements of the concentrated supported students: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651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집중지원을 받는 초등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경향점수매칭 방법을 통해 내생성에 따른 선택편의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분석 결과 집중지원은 대상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거나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집중지원은 인지적 학업성취의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아개념과 성취목표의 향상에는 유의한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술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육복지 사업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특히 과거에 교육복지 학교가 독점하고 있었던 교육복지적 마인드나 프로그램의 수월성이 사라져가고 있고, 교사들의 관심과 열의와 감소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사업 추진의 방법과 내용에서의 질적 전환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집중지원 대상 학생들이 가질 수 있는 낙인효과와 프로그램 참여 기피 경향을 예방하기 위해 선별적 복지에서 보편적 복지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집중지원을 받는 초등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경...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집중지원을 받는 초등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경향점수매칭 방법을 통해 내생성에 따른 선택편의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분석 결과 집중지원은 대상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거나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집중지원은 인지적 학업성취의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아개념과 성취목표의 향상에는 유의한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술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육복지 사업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특히 과거에 교육복지 학교가 독점하고 있었던 교육복지적 마인드나 프로그램의 수월성이 사라져가고 있고, 교사들의 관심과 열의와 감소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사업 추진의 방법과 내용에서의 질적 전환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집중지원 대상 학생들이 가질 수 있는 낙인효과와 프로그램 참여 기피 경향을 예방하기 위해 선별적 복지에서 보편적 복지로의 전환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achieve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the target of concentrated support using SELS data. This study tries to minimize the selection bias resulted from endogeneity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to analyze the longitudinal effects employing latent growth modeling.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concentrated support has negative effects on the cognitive growth an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affective achieve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renew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in general. In specific,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licy change and renewal of methods and contents in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because there have been no longer monopolistic status since lots of similar programs implemented in the other schools for the disadvantaged. In addition, teachers' interests and passion in educational welfare schools have been decreased. Furthermore, it is urgently needed to move into general welfare program from selective welfare program which can cause stigma effects and unwillingness of program participants.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achieve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the target of concentrated support using SELS data. This study tries to minimize the selection bi...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achieve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the target of concentrated support using SELS data. This study tries to minimize the selection bias resulted from endogeneity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to analyze the longitudinal effects employing latent growth modeling.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concentrated support has negative effects on the cognitive growth an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affective achieve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renew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in general. In specific,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licy change and renewal of methods and contents in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because there have been no longer monopolistic status since lots of similar programs implemented in the other schools for the disadvantaged. In addition, teachers' interests and passion in educational welfare schools have been decreased. Furthermore, it is urgently needed to move into general welfare program from selective welfare program which can cause stigma effects and unwillingness of program participa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광영, "한국 사회 불평등 연구" 후마니타스 2013

      2 매일경제,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서울 전국 꼴찌 강남은 최상위"

      3 김양분, "학력격차의 변화 추이 및 해소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4 류방란, "외국의 교육안전망 사례 : 스웨덴, 독일, 영국, 일본, 미국" 한국교육개발원 2007

      5 김인희, "교육소외와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복지정책의 과제"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129-175, 2010

      6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복지특별지원사업 기본계획" 2012

      7 이봉주,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효과분석 : 참여 학교와 비참여 학교 아동의 발달에 대한 종단적 비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169-195, 2008

      8 김정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효과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4 (34): 131-154, 2007

      9 김정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종단적 효과 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10 김정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종단적 효과 분석 연구 : 1차년도" 한국교육개발원 2009

      1 신광영, "한국 사회 불평등 연구" 후마니타스 2013

      2 매일경제,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서울 전국 꼴찌 강남은 최상위"

      3 김양분, "학력격차의 변화 추이 및 해소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4 류방란, "외국의 교육안전망 사례 : 스웨덴, 독일, 영국, 일본, 미국" 한국교육개발원 2007

      5 김인희, "교육소외와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복지정책의 과제"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129-175, 2010

      6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복지특별지원사업 기본계획" 2012

      7 이봉주,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효과분석 : 참여 학교와 비참여 학교 아동의 발달에 대한 종단적 비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169-195, 2008

      8 김정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효과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4 (34): 131-154, 2007

      9 김정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종단적 효과 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10 김정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종단적 효과 분석 연구 : 1차년도" 한국교육개발원 2009

      11 이혜영,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 사업 효과 분석과 발전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5

      12 류방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 사업 종단적 효과 분석(2차년도)" 한국교육개발원 2011

      13 김정숙,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 사업 관계자간의 갈등: 그 현상과 본질"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25-54, 2011

      14 하대현, "교육복지투자 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중재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지능, 정서지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85-101, 2012

      15 한유경,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학교효과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6 류방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종단적 효과 분석 연구(3차년도)" 한국교육개발원 2012

      17 정연정, "교육복지실천에서 낙인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29 (29): 97-123, 2009

      18 김정원, "교육복지사업 발전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19 이혜영, "교육복지 통합적 지원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20 김용일,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교육개혁 과제 도출에 관한 시론" 한국교육정치학회 19 (19): 35-59, 2012

      21 류방란, "교육공동체를 지향하는 교육복지의 발전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3

      22 류방란, "교육격차 : 가정배경과 학교교육의 영향력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6

      23 Rosenbaum, R.,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70 (70): 41-55, 1983

      24 Bénabou, R., "The French zones d'éducation prioritaire: Much ado about nothing?" 28 (28): 345-356, 2009

      25 Power, S., "Reading education action zones" 16 (16): 39-51, 2001

      26 Guo, S., "Propensity score analysis : Statistical methods and applications" Sage Publication 2010

      27 Power, S., "Paving a ‘third way’? A policy trajectory analysis of education action zones" 19 (19): 453-473, 2004

      28 Ganzeboom, H-B. G., "Internationally comparable measures of occupational status for the 1988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25 : 201-239, 1996

      29 Zay, D., "Inclusion and education in European countries"

      30 Alegre, M. À., "How policies of priority education shape educational needs : New fabrications and contradictions" 25 (25): 299-337, 2011

      31 Franklin, B. M., "Gone before you know it : urban school reform and the short life of the Education Action Zone initiative" 3 (3): 3-27, 2005

      32 Ofsted, "Excellence in Cities and Education Action Zones : Management and impact" Ofsted publications center 2003

      33 Coleman, J.,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6

      34 Reid, I., "Education Action Zones : Mission impossible?" 13 (13): 195-214, 2003

      35 Hu, L-Z.,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 1-55, 1999

      36 Storey, V. A., "Can France give education action zones new life?" 1 (1): 34-47, 2007

      37 Halpin, D., "Area-based approaches to educational regeneration : The case of the English Education Action Zone experiment" 25 (25): 75-85, 2004

      38 Gkolia, C., "An Education Action Zone at work : Primary teacher perceptions of the efficacy of a creative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dership project" 37 (37): 131-144, 2009

      39 Rawls, J., "A theory of justice(Revised ed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

      40 성열관, "A Research on Students' School-life Satisfaction and Effects of Intensive Support in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Zone Project" 한국교육개발원 35 (35): 23-46, 2008

      41 류방란, "2012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모니터링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13

      42 교육과학기술부, "2008-2012 이명박 정부 교육복지 대책"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69 2.047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