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약쑥(Artemisia princeps Pamp)의 항산화작용 = Antioxidative Proper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995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약쑥(Artemisia princeps Pamp)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조사하고자, 약쑥 분획물을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활성산소종 소거능 및 간 microsome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등을 관찰하였다. 약쑥의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EtOAc층에서 각각 $311.35{\mu}g/mg$ 및 $92.73{\mu}g/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EtOAc층의 $IC_{50}$이 $52.71{\mu}g/mg$으로 분획물 중에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Superoxideanion의 소거능은 EtOAc층의 $IC_{50}$은 $26.47{\mu}g/mg$으로, 합성항산화제인 BHA($IC_{50}:\;49.78{\mu}g/mg)$ 보다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Hydrogen peroxide 소거능은 n-BuOH층의 $IC_{50}$이 $166.44{\mu}g/mg$으로, BHA의 소거활성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Hydroxyl 라디칼 소거능도 EtOAc층의 $IC_{50}$값이 $58.92{\mu}g/mg$으로, BHA($IC_{50}:\;80.85{\mu}g/mg)$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NO 소거능은 EtOAc층의 $IC_{50}$이 $65.94{\mu}g/mg$으로, BHA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 microsome에서의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도 EtOAc층이 분획물 중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약쑥 분획물의 EtOAc층이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활성산소종 소거능 및 간 microsome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도 관찰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약쑥(Artemisia princeps Pamp)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조사하고자, 약쑥 분획물을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활성산소종 소거능 및 간 microsome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

      본 연구는 약쑥(Artemisia princeps Pamp)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조사하고자, 약쑥 분획물을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활성산소종 소거능 및 간 microsome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등을 관찰하였다. 약쑥의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EtOAc층에서 각각 $311.35{\mu}g/mg$ 및 $92.73{\mu}g/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EtOAc층의 $IC_{50}$이 $52.71{\mu}g/mg$으로 분획물 중에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Superoxideanion의 소거능은 EtOAc층의 $IC_{50}$은 $26.47{\mu}g/mg$으로, 합성항산화제인 BHA($IC_{50}:\;49.78{\mu}g/mg)$ 보다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Hydrogen peroxide 소거능은 n-BuOH층의 $IC_{50}$이 $166.44{\mu}g/mg$으로, BHA의 소거활성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Hydroxyl 라디칼 소거능도 EtOAc층의 $IC_{50}$값이 $58.92{\mu}g/mg$으로, BHA($IC_{50}:\;80.85{\mu}g/mg)$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NO 소거능은 EtOAc층의 $IC_{50}$이 $65.94{\mu}g/mg$으로, BHA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 microsome에서의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도 EtOAc층이 분획물 중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약쑥 분획물의 EtOAc층이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활성산소종 소거능 및 간 microsome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도 관찰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tioxidant proper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 were determined using in vitro assay systems against 1,1-diphenyl-picrylhydrazyl (DPPH) radical, superoxide ($O_2{^-}$), hydrogen peroxide ($H_2O_2$), hydroxyl radical ($HO{\cdot}$) and nitric oxide (NO) radical, as well as rat liver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Among the five solvent fractions, ethyl acetate fractions show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t $311.35{\mu}g/mg\;and\;92.73{\mu}g/mg$, respectively. Ethyl acetate fractions, except for $H_2O_2$ scavenging activity, also showed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y; the 50%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mu}g/mg$) values for DPPH, superoxide, $HO{\cdot}$ and NO radical scavenging were 52.71, 26.47, 58.92 and 65.94,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highest inhibition of rat liver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was observed by ethyl a cetate fraction.
      번역하기

      Antioxidant proper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 were determined using in vitro assay systems against 1,1-diphenyl-picrylhydrazyl (DPPH) radical, superoxide ($O_2{^-}$), hydrogen peroxide ($H_2O_2$), hydroxyl radical ($HO{\cdot}$) and nitric oxide (N...

      Antioxidant proper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 were determined using in vitro assay systems against 1,1-diphenyl-picrylhydrazyl (DPPH) radical, superoxide ($O_2{^-}$), hydrogen peroxide ($H_2O_2$), hydroxyl radical ($HO{\cdot}$) and nitric oxide (NO) radical, as well as rat liver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Among the five solvent fractions, ethyl acetate fractions show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t $311.35{\mu}g/mg\;and\;92.73{\mu}g/mg$, respectively. Ethyl acetate fractions, except for $H_2O_2$ scavenging activity, also showed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y; the 50%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mu}g/mg$) values for DPPH, superoxide, $HO{\cdot}$ and NO radical scavenging were 52.71, 26.47, 58.92 and 65.94,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highest inhibition of rat liver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was observed by ethyl a cetate frac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봉전, "한국산 地楡(Sanguisorbae officinalis L.)의 항산화 효과 및 천연소재로서의 활용방안"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7 (47): 244-250, 2004

      2 이승욱, "울릉도산 산채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7 (37): 233-240, 2005

      3 최봉희, "미세분진이 흰쥐의 폐포대식세포에서 Nitric Oxide 생성 및 iNOS 발현과 Nitrotyrosilated-protein의 형성"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60 (60): 426-436, 2006

      4 김현구, "구기자 추출물의 추출특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352-357, 2004

      5 나경민, "결명자 추출물의 추출특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 (19): 499-505, 2004

      6 Ryu SN, "Variation of eupatilin and jaceosidin content of mugwort" 50 : 204-207, 2005

      7 Slater TF, "The stimulatory effects of carbon tetrachloride on peroxidative reactions in rat liver fractions in vitro. Inhibitory effects of free-radical scavengers and other agents" 123 : 823-828, 1971

      8 Kang YH,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umpkin extracts" 10 : 31-36, 1997

      9 Kim SH, "Synergistic induction of 1,25-dihydroxyvitamin D3 and all-trans-retinoic acid-induced differentiation of HL-60 leukemia cells by yomogin, a sesquiterpene lactone from Artemisia princeps" 68 : 886-890, 2002

      10 Gardner PR, "Superoxide sensitivity of the Escherichia coli 6-phosphogluconate dehydratase" 266 : 1478-1483, 1991

      1 안봉전, "한국산 地楡(Sanguisorbae officinalis L.)의 항산화 효과 및 천연소재로서의 활용방안"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7 (47): 244-250, 2004

      2 이승욱, "울릉도산 산채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7 (37): 233-240, 2005

      3 최봉희, "미세분진이 흰쥐의 폐포대식세포에서 Nitric Oxide 생성 및 iNOS 발현과 Nitrotyrosilated-protein의 형성"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60 (60): 426-436, 2006

      4 김현구, "구기자 추출물의 추출특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352-357, 2004

      5 나경민, "결명자 추출물의 추출특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 (19): 499-505, 2004

      6 Ryu SN, "Variation of eupatilin and jaceosidin content of mugwort" 50 : 204-207, 2005

      7 Slater TF, "The stimulatory effects of carbon tetrachloride on peroxidative reactions in rat liver fractions in vitro. Inhibitory effects of free-radical scavengers and other agents" 123 : 823-828, 1971

      8 Kang YH,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umpkin extracts" 10 : 31-36, 1997

      9 Kim SH, "Synergistic induction of 1,25-dihydroxyvitamin D3 and all-trans-retinoic acid-induced differentiation of HL-60 leukemia cells by yomogin, a sesquiterpene lactone from Artemisia princeps" 68 : 886-890, 2002

      10 Gardner PR, "Superoxide sensitivity of the Escherichia coli 6-phosphogluconate dehydratase" 266 : 1478-1483, 1991

      11 Oya T, "Spice constituents scavenging free radicals and inhibiting pentosidine formation in a model system" 61 : 263-266, 1997

      12 Koshihara Y, "Selective inhibition of 5-lipoxygenase by natural compounds isolated from Chinese plants, Artemisia rubripes Nakai" 158 : 41-44, 1983

      13 Kim HJ,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by extracts from seed, sprout and flower of safflower (Carthamus tinctiorius L.)" 29 : 1127-1132, 2000

      14 Lim SN., "Physiological activation of wormwood (Artemisia capillaris)" Yonsei University. 1995

      15 Casado JA, "Oxidizing agents and free radicals in biomedicine" 40 : 31-40, 1996

      16 Finkel T, "Oxidants, oxidative stress and the biology of ageing" 408 : 239-247, 2000

      17 Gutierrez AM, "Non-enzymatic lipid peroxidation of microsomes and mitochondria isolated from liver and heart of pigeon and rat" 32 : 73-79, 2000

      18 Sreejayan N, "Nitric oxide scavenging by curcuminoids" 49 : 105-107, 1997

      19 Kweon MH, "Ident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ovel chlorogenic acid derivatives from bamboo(Phyllostachys edulis)" 49 : 4646-4655, 2001

      20 Petrone WF, "Free radicals and inflammation : superoxide-dependent activation of a neutrophil chemotactic factor in plasma" 77 : 1159-1163, 1980

      21 Wang H, "Fraction and analysi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 by affinity chromatography with human serum albumin as stationary phase" 18 : 501-510, 2000

      22 Cho YH, "Essential oil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Artemisia capillaris, Artemisia argyi, and Artemisia princeps" 13 : 313-320, 2001

      23 Lim SM,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of Salvia miltorrhiza Bge., Prunus persica Stokes, Angelica gigas Nakai and Pinus strobus on lipid oxidation" 27 : 399-405, 1998

      24 Halliwell B, "Drug antioxidant effects, a basis for drug selection?" 42 : 569-605, 1991

      25 Blois MS, "Detection of occult metastatic melanoma by urine chromatography" 36 : 3317-3323, 1976

      26 Chen X, "Dendritic cells as a pharmacological target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3 : 401-410, 2006

      27 Moreno MI,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71 : 109-114, 2000

      28 Martindale JL, "Cellular response to oxidative stress : signaling for suicide and survival" 192 : 1-15, 2002

      29 Ohkawa H,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95 : 351-358, 1979

      30 Lee KD,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water extract and ether extract in wormwood(Artemisia montana pampan)" 21 : 17-22, 1992

      31 Lee KD,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water extract and ether extract in wormwood(Artemisia montana Pampan)" 21 : 17-22, 1992

      32 Kim HK,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27 : 80-86, 1995

      33 Aldini G, "Antioxidant activity of polyphenols from solid olive residuces of c. v. Coratina" 77 : 121-128, 2006

      34 Babizhayev MA, "Analysis of lipid peroxidation and electron microscopic survey of maturation stages during human cataractogenesis : pharmacokinetic assay of Can-C N-acetylcarnosine prodrug lubricant eye drops for cataract prevention" 6 : 345-369, 2005

      35 Ryu SN, "Analysis of available component in Artemisiae herba" 49 : 169-175, 2004

      36 Park SW, "Active 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luteolin-7-O-β-D-glucoside isolated from Humulus japonicus" 29 : 1127-1132, 2000

      37 Lee JM, "A study on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ea extracts" 12 : 567-572,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