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견해를 통해 본 한주 이진상(寒洲 李震相)의 `리(理)` 개념 = Hanju Yi Jinsang(寒洲 李震相)`s concept of Li(理) through his viewpoint on the Ido-seol(理到說)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570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퇴계 이황(退溪李滉, 1501∼1570)의 물격설(物格說)인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한주 이진상(寒洲 李震相, 1818∼1886)의 견해를 바탕으로 한주의 `리(理)` 개념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

      본 연구는 퇴계 이황(退溪李滉, 1501∼1570)의 물격설(物格說)인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한주 이진상(寒洲 李震相, 1818∼1886)의 견해를 바탕으로 한주의 `리(理)` 개념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퇴계 이도설에서 포착되는 퇴계 성리학 체계에서의 `리` 개념이 후대에 전개·심화되는 양상을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무위의 본체인 `리`를 살아 움직이는 것으로 간주한다는 비판에 직면하였던 이도설에 대해 영남지역의 퇴계 후학들은 대체적으로 자구(字句) 해석의 정합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논리적 정합성을 확보하려 하였다. 한주역시 `격물(格物)`·`물격(物格)`에서의 `격(格)`을 `구(究)`의 의미로 풀이한 것에 기반하여 이도(理到)의 서술어인 `도(到)`를 `진(盡)`의 의미로 풀이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그는 퇴계가 `리(理)의 자도(自到)`를 승인하면서 체인하였던 `리`의 `체용(體用)`과 `활물`적 특성을 퇴계 성리학의 종지(宗旨)로 보았으며, 이는 그의 인식방법론으로 대표되는 삼간법(三看法)을 설명하는 곳에서 나타난다. 한주 이전의 학자들은 자구의 의미를 수정하는 데에서 더 이상의 논의가 진행되지 않고 있어 이도설 해석을 통해서 학문적 특성을 파악하기에는 부족하였다. 한주는 리(理)에 대한 활간(活看)이 부족할 경우 `심(心)`과 `리(理)`의 관계를 곡해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리일분수(理一分殊)의 관점에 기반하여 퇴계 이도설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물리(物理)를 본구한 `심`의 주류변화(周流變化)와 `리`의 작용성을 등치시켜 `리`의 `분수`적 측면을 아우르면서 `심`이 만물의 `리`를 통섭한다는 `리일`의 측면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nju Yi Jinsang (寒洲 李震相, 1818∼1886)`s thought of the `Li(理)` through Hanju`s view on the Ido-seol(理到說), the Toegye Yi Hwang(退溪 李滉, 1501∼1570)`s latter Mul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nju Yi Jinsang (寒洲 李震相, 1818∼1886)`s thought of the `Li(理)` through Hanju`s view on the Ido-seol(理到說), the Toegye Yi Hwang(退溪 李滉, 1501∼1570)`s latter Mulgyuk(物格) theory, an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identifying the aspects of development about Toegye School`s concept of Li from Toegye`s Ido-seol. The Ido-seol was criticized for regarding Li - the immovable principle - as `living thing`. Toegye School`s scholars tried to solve this problem by translating the `word` correctly. Hanju also translated the word `Do(到)`, the verb of `Ido`, as meaning of `perfectly understood` based on his translation of the word `Gyuk(格)` as `Ku(究)`. On the other hand, he also regarded the principle-application structure of Li and the its characteristic the `Li as Hwalmul(活物)` as the main point of Toegye`s Neo-confucianism thought his methodology `Three viewpoints[三看法]`. Before Hanju, scholars dose not have more opinion from the translation of the word, and it is too difficult to identifying their scholarly identity through their viewpoints on Ido-seol. On the other hand, Hanju thought that the lack of the idea for comprehensive approach between Xin(心) and Li(理) will cause the mis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Xin and Li. In this reason, he evaluated Toegye`s Ido-seol based on the concept of `One principle and its manifoldness[理一分殊]`. Consequently, he concatenated the characteristic of Xin which includes all things with concept of Mulgyuk, and emphasized that Xin which penetrates the principle of all things has the characteristic of `One principle(理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형성, "李震相의 三看法에 의한 先儒學問 評에 대한 攷察 ­ 李滉李珥金昌協李象靖의 性理思想을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39) : 225-252, 2007

      2 "한주집" 민족문화추진회 2003

      3 이형성, "한주 이진상의 성리학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2

      4 이상하, "한주 이진상 심설(心說)의 성격 -기존 영남학파의 심합이기론(心合理氣說)·왕양명(王陽明)의 심즉리설(心旣理說)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19 : 2004

      5 이상하, "한국 성리학 主理論의 발전 上에서의 大山 李象靖 ―寒洲 李震相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5) : 249-274, 2006

      6 "퇴계집" 민족문화추진회 1989

      7 현상윤, "조선유학사" 현암사 1982

      8 "이학종요" 아세아문화사 1980

      9 "송자대전" 민족문화추진회 1993

      10 "변지록" 아세아문화사 1980

      1 이형성, "李震相의 三看法에 의한 先儒學問 評에 대한 攷察 ­ 李滉李珥金昌協李象靖의 性理思想을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39) : 225-252, 2007

      2 "한주집" 민족문화추진회 2003

      3 이형성, "한주 이진상의 성리학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2

      4 이상하, "한주 이진상 심설(心說)의 성격 -기존 영남학파의 심합이기론(心合理氣說)·왕양명(王陽明)의 심즉리설(心旣理說)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19 : 2004

      5 이상하, "한국 성리학 主理論의 발전 上에서의 大山 李象靖 ―寒洲 李震相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5) : 249-274, 2006

      6 "퇴계집" 민족문화추진회 1989

      7 현상윤, "조선유학사" 현암사 1982

      8 "이학종요" 아세아문화사 1980

      9 "송자대전" 민족문화추진회 1993

      10 "변지록" 아세아문화사 1980

      11 "대산집" 민족문화추진회 1999

      12 이원준, "대산 이상정의 물격설(物格說)과 리활물설(理活物說) - 이도설(理到說)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유학연구소 34 : 85-107, 2016

      13 "구지록" 아세아문화사 1980

      14 "갈암집" 민족문화추진회 1999

      15 "朱子語類" 中華書局 2004

      16 "晦庵集" 上海古籍出版社 2002

      17 윤사순, "寒洲 李震相의 性理學的 ‘心卽理說’" 한국공자학회 (20) : 5-36,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6 1.189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