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examined historiographic methods of Goryeosa and Goryeosageolyo based on records on King Yejong(睿宗)’s Decrees. Compared to Goryeosa in which terms that may be used only by the emperor were maintained based on King Sejong(世宗)’s p...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71938
2013
Korean
『고려사』 ; 『고려사절요』 ; 제가(制可) ; 조가(詔可) ; 종지(從之) ; 칭번(稱蕃) ; 성리학적 명분론 ; 왕언(王言) ; 재가(裁可) ; Goryeosa(History of Goryeo ; 『高麗史』) ; Goryeosageolyo(『高麗史節要』) ; Jega ; Joga ; Jongji ; Chingbun ; Justification of Neo-Confucianism(성리학적 명분론) ; King’s Decrees ; the Sovereign’s assent
KCI등재
학술저널
7-40(34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historiographic methods of Goryeosa and Goryeosageolyo based on records on King Yejong(睿宗)’s Decrees. Compared to Goryeosa in which terms that may be used only by the emperor were maintained based on King Sejong(世宗)’s p...
This paper examined historiographic methods of Goryeosa and Goryeosageolyo based on records on King Yejong(睿宗)’s Decrees. Compared to Goryeosa in which terms that may be used only by the emperor were maintained based on King Sejong(世宗)’s principle of not distorting history, Goryeosageolyo changed terms like Jega(制可), Joga(詔可), and Chingbun(稱蕃). However, such changes were not merely confined to partial and minor changes of terms. In fact, such changes were crucial so as to prescrib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Goryeosageolyo. Like Goryeosa, Goryeosageolyo retained terms related to the emperor so as that the existence of a world view centered on China based on justification of Neo-Confucianism may be denied. In fact, the reason why terms like Jo (詔), Je(制), Taeja(太子), and Taehu(太后 ; Empress Dowager) were kept in Goryeosageolyo was just a product made to lower the possibility of misreading or to adhere to the King’s orders in descriptive or political terms. Therefore, with only the fact that Goryeosageolyo maintained the terms it cannot be evaluated as a history book which attained the same level of principle of not distorting history as that of Goryeosa. Rather, the fact that Jega and Joga were changed into Jongji(從之) displays that Goryeosageolyo was a history book which intended to achieve a world view centered on China based on Sung confucian justifi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오항녕, "조선초기 ≪고려사≫ 개수에 관한 사학사적 검토" 16 : 1999
2 박재우, "고려전기 王命의 종류와 반포" 진단학회 (95) : 29-54, 2003
3 추명엽, "고려전기 ‘번(蕃)’ 인식과 ‘동・서번’의 형성" 43 : 2002
4 한용근, "고려시대의 赦에 관한 연구" 12・13 : 1986
5 윤용혁, "고려시대 史料量의 시기별 對比 -≪高麗史節要≫를 중심으로≫-" 24 : 1986
6 김광철, "고려사 편년화와 고려실록 체제의 재구성" 한국중세사학회 (30) : 149-185, 2011
7 최종석, "고려사 세가 편목 설정의 문화사적 함의 탐색" 한국사연구회 (159) : 37-83, 2012
8 이정신, "고려·조선시대 윤관 9성 인식의 변화" 한국중세사학회 (32) : 107-140, 2012
9 김병인, "고려 예종의 통치행위에 나타난 유형적 특징과 그 정치적 배경" 부산경남사학회 (79) : 35-74, 2011
10 허인욱, "고려 肅宗・睿宗代 女眞 정벌과 高句麗舊地回復意識" 3 : 2012
1 오항녕, "조선초기 ≪고려사≫ 개수에 관한 사학사적 검토" 16 : 1999
2 박재우, "고려전기 王命의 종류와 반포" 진단학회 (95) : 29-54, 2003
3 추명엽, "고려전기 ‘번(蕃)’ 인식과 ‘동・서번’의 형성" 43 : 2002
4 한용근, "고려시대의 赦에 관한 연구" 12・13 : 1986
5 윤용혁, "고려시대 史料量의 시기별 對比 -≪高麗史節要≫를 중심으로≫-" 24 : 1986
6 김광철, "고려사 편년화와 고려실록 체제의 재구성" 한국중세사학회 (30) : 149-185, 2011
7 최종석, "고려사 세가 편목 설정의 문화사적 함의 탐색" 한국사연구회 (159) : 37-83, 2012
8 이정신, "고려·조선시대 윤관 9성 인식의 변화" 한국중세사학회 (32) : 107-140, 2012
9 김병인, "고려 예종의 통치행위에 나타난 유형적 특징과 그 정치적 배경" 부산경남사학회 (79) : 35-74, 2011
10 허인욱, "고려 肅宗・睿宗代 女眞 정벌과 高句麗舊地回復意識" 3 : 2012
11 辛虎雄, "高麗律에 나타난 赦免制度" 국학자료원 1995
12 矢木毅, "高麗王言考" 77 (77): 1994
13 최연식, "高麗時代 國王文書의 種類와 機能, In 韓國古代中世古文書硏究(下)" 서울대출판부 2000
14 矢木毅, "高麗官僚制度硏究"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08
15 韓永愚, "高麗史와 高麗史節要의 比較" 48 : 1979
16 金庠基, "高麗史節要解題" 東國文化社 1960
17 韓永愚, "高麗前期史學史硏究" 서울대출판부 1981
18 金成俊, "高麗七代實錄編纂과 史官"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1 : 1981
19 奧村周司, "高麗における八關會的秩序と國際環境" 16 : 1979
20 金秉仁, "高麗 睿宗代 政治勢力 硏究" 景仁文化社 2003
21 中村裕一, "隋唐王言の硏究" 汲古書院 2003
22 정다함, "朝鮮初期 野人과 對馬島에 대한 藩籬 · 藩屛 認識의 형성과 敬差官의 파견" 국학연구원 141 (141): 221-266, 2008
23 任大熙, "恩赦實施를 통하여 본 唐代政治" 40 : 1990
24 中村裕一, "唐初の制について, In 唐代公文書硏究" 汲古書院 1996
25 中村裕一, "唐代制勅硏究" 汲古書院 1991
26 中村裕一, "唐代公文書硏究" 汲古書院 1996
27 中村裕一, "上奏と裁可の語, In 唐代制勅硏究" 汲古書院 1991
28 邊太燮, "≪高麗國史≫의 編纂內容과 史論" 단국대학교 대학원 3 : 1979
29 張東翼, "≪高麗史≫의 編纂過程에서 改書" 46 : 2010
30 邊太燮, "≪高麗史≫의 硏究" 三英社 1982
『高麗史』 叛逆傳 立傳 기준과 고려말 조선초 ‘附元’ 인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2-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9-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8 | 1.28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89 | 2.254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