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세대 간 갈등관리스타일의 지각에 대한 차이 : 세대 간 문화적 차이인가 혹은 세대 간 영향력의 차이인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467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양사회에서 세대 간 갈등해소전략 사용의 차이는 세대 간 문화적 가치의 차이로 인한 것이라는 기존 연구의 결론은 문화적 차이가 아니라 오히려 나이 차이로부터 초래되는 영향력의 차이 때문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에 착안하여, 영향력의 차이에 따른 갈등 해소전략의 사용을 조사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한국사회와 같은 동양사회에서 나이 차이가 곧 영향력의 차이로 인식되기 때문에, 영향력의 차이에 따른 갈등해소전략의 사용이 세대 간 갈등해소전략의 사용에 대한 기존연구결과와 일치한다면, 세대 간 갈등해소 전략의 사용 차이는 문화적 가치의 차이 때문이라는 기존연구의 결론은 유보되어야 할 것이다. 나이차이로 인하여 발생한 영향력의 차이가 세대 간 갈등해소전략의 사용이나 혹은 선호하는 갈등해소전략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나이차이가 거의 없는 같은 젊은 세대로 갈등당사자를 내세워 세대 차이를 통제한 다음 영향력의 차이만을 인위적으로 조작한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해 본 결과, 영향력의 차이로 인한 갈등해소전략의 사용과 세대차이로 인한 갈등해소전략의 사용이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나이든 사람이 양보전략을 선호하는 것처럼 영향력이 큰 젊은 사람도 같은 세대의 젊은 후배로부터 양보전략을 기대한다는 연구결과와 영향력이 같은 경우 양보전략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회피전략이나 경쟁전략보다는 문제
      해결전략을 선호한다는 연구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결과는 젊은 세대가 문제해결전략과 양보전략을 선호한다는 Zhang 등의 연구결과와 정확히 일치하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전체적으로, 영향력에 따라 젊은 세대들이 선호하는 갈등해소전략이 다르다는 본 연구결과는 세대에 따라 선호하는 갈등해소전략이 다르다는 Zhang 등의 연구결과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적 차이가 세대 간 갈등해소전략의 사용에 대한 차이를 유발한다는 Zhang 등의 결론이 지나치게 과장된 것임을 시사하는 증거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함의와 본 연구의 한계 및 앞으로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고 있다.
      번역하기

      동양사회에서 세대 간 갈등해소전략 사용의 차이는 세대 간 문화적 가치의 차이로 인한 것이라는 기존 연구의 결론은 문화적 차이가 아니라 오히려 나이 차이로부터 초래되는 영향력의 차...

      동양사회에서 세대 간 갈등해소전략 사용의 차이는 세대 간 문화적 가치의 차이로 인한 것이라는 기존 연구의 결론은 문화적 차이가 아니라 오히려 나이 차이로부터 초래되는 영향력의 차이 때문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에 착안하여, 영향력의 차이에 따른 갈등 해소전략의 사용을 조사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한국사회와 같은 동양사회에서 나이 차이가 곧 영향력의 차이로 인식되기 때문에, 영향력의 차이에 따른 갈등해소전략의 사용이 세대 간 갈등해소전략의 사용에 대한 기존연구결과와 일치한다면, 세대 간 갈등해소 전략의 사용 차이는 문화적 가치의 차이 때문이라는 기존연구의 결론은 유보되어야 할 것이다. 나이차이로 인하여 발생한 영향력의 차이가 세대 간 갈등해소전략의 사용이나 혹은 선호하는 갈등해소전략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나이차이가 거의 없는 같은 젊은 세대로 갈등당사자를 내세워 세대 차이를 통제한 다음 영향력의 차이만을 인위적으로 조작한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해 본 결과, 영향력의 차이로 인한 갈등해소전략의 사용과 세대차이로 인한 갈등해소전략의 사용이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나이든 사람이 양보전략을 선호하는 것처럼 영향력이 큰 젊은 사람도 같은 세대의 젊은 후배로부터 양보전략을 기대한다는 연구결과와 영향력이 같은 경우 양보전략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회피전략이나 경쟁전략보다는 문제
      해결전략을 선호한다는 연구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결과는 젊은 세대가 문제해결전략과 양보전략을 선호한다는 Zhang 등의 연구결과와 정확히 일치하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전체적으로, 영향력에 따라 젊은 세대들이 선호하는 갈등해소전략이 다르다는 본 연구결과는 세대에 따라 선호하는 갈등해소전략이 다르다는 Zhang 등의 연구결과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적 차이가 세대 간 갈등해소전략의 사용에 대한 차이를 유발한다는 Zhang 등의 결론이 지나치게 과장된 것임을 시사하는 증거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 함의와 본 연구의 한계 및 앞으로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power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conflict management styles. Previous study by Zhang et als., which investigated perceptions of conflict management styles in intergenerations, was confounded with power when generation factor was manipulated in their experiment study. They manipulated generation difference as age difference. That is becuase in oriental countries age difference means generation difference as well as power difference. This
      study focuses on power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conflict management styles under the control of generation factor. If perceptions of conflict management styles caused by power difference were equal to those of generation difference, Zhang et als’ conclusions about perceptions of conflict management styles in intergenerations study are likely to be partially
      due to power difference.
      Most of 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nt of Zhang et als’ results. As a result, this study evidenced that Zhang et als’ results were likely to partially result from power difference. This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Furthere,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amine power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conflict management styles. Previous study by Zhang et als., which investigated perceptions of conflict management styles in intergenerations, was confounded with power when generation fac...

      This study aims to examine power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conflict management styles. Previous study by Zhang et als., which investigated perceptions of conflict management styles in intergenerations, was confounded with power when generation factor was manipulated in their experiment study. They manipulated generation difference as age difference. That is becuase in oriental countries age difference means generation difference as well as power difference. This
      study focuses on power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conflict management styles under the control of generation factor. If perceptions of conflict management styles caused by power difference were equal to those of generation difference, Zhang et als’ conclusions about perceptions of conflict management styles in intergenerations study are likely to be partially
      due to power difference.
      Most of 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nt of Zhang et als’ results. As a result, this study evidenced that Zhang et als’ results were likely to partially result from power difference. This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Furthere,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갈등관리와 갈등해소전략
      • 2) 갈등해소전략과 문화 간 차이
      • 3) 집단주의 문화권에서 선호하는 갈등해소전략의 세대 간 차이 연구가 지니는 문제점
      • 요약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갈등관리와 갈등해소전략
      • 2) 갈등해소전략과 문화 간 차이
      • 3) 집단주의 문화권에서 선호하는 갈등해소전략의 세대 간 차이 연구가 지니는 문제점
      • 4) 영향력과 갈등해소전략의 사용 간 관계
      • 2. 연구방법
      • 1) 개관
      • 2) 피험자
      • 3) 연구절차
      • 4) 독립변인의 조작
      • 5) 종속변인의 측정
      • 3. 분석결과
      • 1) 개관
      • 2) <가설 1>의 검증결과
      • 3) <가설 2>의 검증결과
      • 4) <가설 3>의 검증결과
      • 4.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길호, "커뮤니케이션 목표와 체면전략" 한국언론학회 27 : 5-29, 1992

      2 Zhang, Y., "harmonies and tensions in Chinese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11 : 205-230, 2001

      3 Ting-Toomey, S., "competence in intercultural conflict: An updated face-negotiation theory" 22 : 187-225, 1998

      4 Ng, S., "Younger adults’ communication experiences and contact with elders and peers" 24 : 82-108, 1997

      5 Shimanoff, S., "Types of emotional disclosures and request compliance between spouse" 54 : 85-100, 1987

      6 Sillars, A., "The sequential and distributional structures of conflict interactions as a fucnction of attributions concerning the locus of responsitility and stability of conflicts" Transaction Books 4 : 217-236, 1980

      7 Trubisky, P., "The influence of individualism- collectivism and self-monitering on conflict styles" 15 : 65-84, 1991

      8 Ting-Toomey, S., "The challenge of facework: Cross-cultural and interpersonal issu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4

      9 Gilmore, S., "Style profile for communication at work" Friendly press 1992

      10 Leeng, K., "Some determinats of conflict avoidance" 19 : 125-136, 1988

      1 강길호, "커뮤니케이션 목표와 체면전략" 한국언론학회 27 : 5-29, 1992

      2 Zhang, Y., "harmonies and tensions in Chinese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11 : 205-230, 2001

      3 Ting-Toomey, S., "competence in intercultural conflict: An updated face-negotiation theory" 22 : 187-225, 1998

      4 Ng, S., "Younger adults’ communication experiences and contact with elders and peers" 24 : 82-108, 1997

      5 Shimanoff, S., "Types of emotional disclosures and request compliance between spouse" 54 : 85-100, 1987

      6 Sillars, A., "The sequential and distributional structures of conflict interactions as a fucnction of attributions concerning the locus of responsitility and stability of conflicts" Transaction Books 4 : 217-236, 1980

      7 Trubisky, P., "The influence of individualism- collectivism and self-monitering on conflict styles" 15 : 65-84, 1991

      8 Ting-Toomey, S., "The challenge of facework: Cross-cultural and interpersonal issu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4

      9 Gilmore, S., "Style profile for communication at work" Friendly press 1992

      10 Leeng, K., "Some determinats of conflict avoidance" 19 : 125-136, 1988

      11 Lee C-W., "Relative status of employees and styles of handling interpersonal conflict: An experimental study with Korean managers" 1 : 327-340, 1990

      12 Brwon, P., "Politeness: some universials in language u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13 Zhang, Y., "Perceptions of conflict management styles in Chinese intergenerational dyads" 72 : 71-91, 2005

      14 Kang, K. H., "Korean’s politeness strategies in Intercultrual communication: a global leader" Sage 131-142, 2004

      15 Chiu, R., "Is Chinese conflict handling behavior influcenced by Chinese values?" 22 : 81-90, 1994

      16 Kilmann, R., "Interpersonal conlict-handling behavior as reflections of Jungian personality dimensions" 37 : 971-980, 1975

      17 Wilmot, W., "Interpersonal conflict" McGraw-Hill 2001

      18 Triandis, H., "Indivdiualism and Collectivism" Westview 1995

      19 Oetzel, J., "Face and facework I conflict: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China, Germany, Japan, and the United States" 68 : 235-258, 2001

      20 Wiemann, J., "Exploration and test of a model of communicative competence" 3 : 195-213, 1977

      21 Cai, D., "Conflict style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ists and collevtivists" 69 : 67-86, 2002

      22 Hong, Jongbae, "Conflict management in an age of globalization: a comparison of intracultural and intercultural conflict management strategies between Koreans and U.S. Americans" 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 (6) : 168-201, 2006

      23 Sillars, A., "Conflict as a social skill. Interpersonal processes: New directions in communication research" Sage 140-171, 1987

      24 Bergstrom, M., "Cohort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conflict: Impications for the older patient-younger care provider interaction" 8 : 233-248, 1996

      25 Chua, E., "Coflict resolution styles in low-and high-context cultures" 4 : 32-37, 1987

      26 Canary, D.,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perception of conflict strategies" 14 : 93-118, 1987

      27 Kim, M., "A multicultural view of conflict management styles: Reveiw and cirtical synthesis" Sage 23 : 227-269,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8-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 한국소통학보
      외국어명 : Speech & Communication -> Journal of Speech,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 -> 한국소통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21 1.51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