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5년 대만은 일본의 식민지가 됨으로써 근대적 의미의 법제와 만나게 되었다. 근대법제 아래에서 민사법률관계는 반드시 국가가 규정한 유일한 기준에 의거하여 인정된다. 그러나 일본 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70748
2012
Korean
近代法 ; 舊慣 ; 習慣法 ; 民法 ; 權利 ; 臺灣 ; 臺灣總督府 ; modern law ; old customs ; customary law ; civil law ; right ; 現代法
KCI등재
학술저널
131-168(3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895년 대만은 일본의 식민지가 됨으로써 근대적 의미의 법제와 만나게 되었다. 근대법제 아래에서 민사법률관계는 반드시 국가가 규정한 유일한 기준에 의거하여 인정된다. 그러나 일본 통...
1895년 대만은 일본의 식민지가 됨으로써 근대적 의미의 법제와 만나게 되었다. 근대법제 아래에서 민사법률관계는 반드시 국가가 규정한 유일한 기준에 의거하여 인정된다. 그러나 일본 통치당국은 대만인(대만에 있는 漢人과 漢化된 平?族人)의 ‘舊慣’을 대민인의 민사사항 및 일체의 대만토지관계를 처리하는 유일한 기준으로 삼았고, 설사 광범위한 지역에서 지방행정기관이 舊時代와 같은 調解를 행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해도 대만총독부법원은 이 기준에 의거하여 재판을 행하였다. 高山族 원주민의 민사분쟁의 대다수는 경찰의 臨機處分에 의해 혹은 관습을 참작하여 처리되었다. 그러나 이것이 일본당국이 구시대의 법제를 연속하였다는 것을 결코 의미하지는 않는다. 司法상 또는 行政상 근대법 위에서 구관을 운용하는 때에는 반드시 대만인사회 속에 이미 존재하는 관습법상의 규칙을 발견하였고 이를 당시의 舊慣調査事業은 서구법적 개념과 일본민법상의 분류에 의해 해석하였다. 그리고 몇몇 민사특별법을 통해 구관상 권리의 내용이 다시 서구적 민법에 접근하게 됨으로써 일본적 색채가 강화되었다. 대만총독부는 같은 목적에 입각하여 舊慣立法을 하여 개조를 거친 구관과 서구의 입법례를 참작하여 臺灣民商事法草案을 작성하였다. 그러나 帝國 중앙이 대만인의 일본화에 저해가 된다고 하여 구관입법을 거부하였다. 마침내 1923년 이후 민법 친족상속 양편을 제외하고 일본의 민상사법률 일체가 대만에 시행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aiwan initially encountered with the modern law due to her becoming a colony of Japan in 1895. Under the modern law, civil matters should be decided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on that is provided by the state. Surprisingly, the Japanese authoritie...
Taiwan initially encountered with the modern law due to her becoming a colony of Japan in 1895. Under the modern law, civil matters should be decided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on that is provided by the state. Surprisingly, the Japanese authorities provided that the civil matters involving Taiwanese only or the land in Taiwan should be decided in accordance with the old customs of Taiwanese by the Government-General of Taiwan Court. The local government, however, had also power to mediate Taiwanese civil disputes, as the former regime in Taiwan did. The civil disputes of indigenous peoples who were not assimilated by ethnic Chinese were resolved by the police according to his free discretion with reference to customs of those peoples. That does not mean that the Japanese authorities in colonial Taiwan followed the law of the Ch’ing government in Taiwan. When the “old customs” in the modern law were applied in judicial or administrative cases, judges or officials must find the rule in the customary law. In fact, those rules in the customary law had been interpreted by an agency for investigation on old customs with the terminology of modern European law and the classifications in the Japanese civil law. Through some of special statutes on the civil law, the rights in the customary law of Taiwan had been transformed to be more similar to their counterparts in the modern European law so that they were close to the Japanese civil law. For the same purpose, the Government-General of Taiwan was engaged in drafting Taiwanese civil codes to incorporate the transformed rights in Taiwan’s customary law with reference to civil codes of Western Europe. This codification of Taiwan’s customary law, however, was conflict with the political goal of assimilating Taiwanese to be Japanese. The central government of Japanese Empire thus rejected to enforce these Taiwanese modern-style codes in Taiwan. By contrast, the Japanese Civil and Commercial Code, except the books on family and succession in the Civil Code, had become effective in colonial Taiwan since 1923.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王泰升, "追尋臺灣法律的足跡: 事件百選與法律史研究" 五南 2006
2 司法院司法行政廳, "臺灣總督府檔案司法文書選輯" 編者自刊 2010
3 陳紹馨, "臺灣的人口變遷與社會變遷" 聯經 1979
4 岡松參太郎, "臺灣現時の法律" 3 (3): 1903
5 鄭政誠, "臺灣大調查 : 臨時臺灣舊慣調查會之研究" 博揚 2005
6 臨時臺灣舊慣調查會, "臨時臺灣舊慣調查會第一部調查第三回報告書臺灣私法" 臨時臺灣舊慣調查會 1909
7 山根幸夫, "臨時台湾旧慣調査会の成果, 論集近代中国と日本" 山川 1976
8 姉齒松平, "本島人ノミニ關スル親族法並相續法ノ大要" 臺法月報發行所 1938
9 山中永之佑, "新日本近代法論" 五南 2008
10 陳盛韶, "問俗錄, In 四庫未收書輯刊" 北京出版社 2000
1 王泰升, "追尋臺灣法律的足跡: 事件百選與法律史研究" 五南 2006
2 司法院司法行政廳, "臺灣總督府檔案司法文書選輯" 編者自刊 2010
3 陳紹馨, "臺灣的人口變遷與社會變遷" 聯經 1979
4 岡松參太郎, "臺灣現時の法律" 3 (3): 1903
5 鄭政誠, "臺灣大調查 : 臨時臺灣舊慣調查會之研究" 博揚 2005
6 臨時臺灣舊慣調查會, "臨時臺灣舊慣調查會第一部調查第三回報告書臺灣私法" 臨時臺灣舊慣調查會 1909
7 山根幸夫, "臨時台湾旧慣調査会の成果, 論集近代中国と日本" 山川 1976
8 姉齒松平, "本島人ノミニ關スル親族法並相續法ノ大要" 臺法月報發行所 1938
9 山中永之佑, "新日本近代法論" 五南 2008
10 陳盛韶, "問俗錄, In 四庫未收書輯刊" 北京出版社 2000
11 王泰升, "台灣法律史概論" 元照 2009
12 王泰升, "台灣日治時期的法律改革" 聯經 1999
13 王泰升, "具有歷史思維的法學: 結合台灣法律社會史與法律論證" 作者自刊 2010
日治前期(1895~1922) 臺灣總督府 法院의 民事判決에서의 ‘舊慣’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 | 1.1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76 | 1.284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