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속요의 시적화자와 다층적 면모 = Poetic speaker and multilayered aspect of Goryeo’s s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48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ryeo's folk songs have a very diverse process of forming, and the poetic narrator in the works has various aspects. In this paper, the poetic speaker of Koryo was viewed as a dramatic figure known to wear a mask that distinguished him from the actual poet. Based on this, the poetic speaker of the Goryeo genus was examined, and the variability of the poetic speaker that occurs in the process was tracked.
      In this paper, we divided the aspects of the poet of Goryeo into monolithic and polyphonic cases. First, we looked at the works featuring a poet in the Goryeo folk song. Even if the same poetic speaker appeared, there were differences in speech methods and tones.
      On the other hand, works featuring several poetic speakers together had a different tendency than those of monophonic poetic speakers. In <(Goryeo)Cheoyonga>, several characters appeared according to their roles in the Narye ceremony of the wall photography scene, which kicked out evil spirits and blessed them, requiring a number of poetic speakers. <SeoKyung-byeolgok> is believed to have been sung by two poetic speakers, who appear to be male and female, while exchanging conversations. In <Ssanghwajeom>, many poetic speakers appeared in the Yeonhui space and exchanged words with songs. Most of the Goryeo folk songs featuring a large number of poetic speakers were sung in a space called theatrical Stage.
      We looked at the variability of poetic speakers in relation to the adap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ast-track lyrics. The poetical speaker of Goryeo's folk songs had one single voice or a number of multiple voices. Even if it was the same first-person poet's inner voice, each piece had a different way of speaking and a different tone.
      On the other hand, the poet and the narrator also experienced a chang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hen the Goryeo song was adapted into a system-friendly content. In the lyrics of the song, which was adapted to the early Goryeo period, the poetic speaker was uniformly standardized and changed to a uniformly instructive voice.
      번역하기

      Goryeo's folk songs have a very diverse process of forming, and the poetic narrator in the works has various aspects. In this paper, the poetic speaker of Koryo was viewed as a dramatic figure known to wear a mask that distinguished him from the actua...

      Goryeo's folk songs have a very diverse process of forming, and the poetic narrator in the works has various aspects. In this paper, the poetic speaker of Koryo was viewed as a dramatic figure known to wear a mask that distinguished him from the actual poet. Based on this, the poetic speaker of the Goryeo genus was examined, and the variability of the poetic speaker that occurs in the process was tracked.
      In this paper, we divided the aspects of the poet of Goryeo into monolithic and polyphonic cases. First, we looked at the works featuring a poet in the Goryeo folk song. Even if the same poetic speaker appeared, there were differences in speech methods and tones.
      On the other hand, works featuring several poetic speakers together had a different tendency than those of monophonic poetic speakers. In <(Goryeo)Cheoyonga>, several characters appeared according to their roles in the Narye ceremony of the wall photography scene, which kicked out evil spirits and blessed them, requiring a number of poetic speakers. <SeoKyung-byeolgok> is believed to have been sung by two poetic speakers, who appear to be male and female, while exchanging conversations. In <Ssanghwajeom>, many poetic speakers appeared in the Yeonhui space and exchanged words with songs. Most of the Goryeo folk songs featuring a large number of poetic speakers were sung in a space called theatrical Stage.
      We looked at the variability of poetic speakers in relation to the adap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ast-track lyrics. The poetical speaker of Goryeo's folk songs had one single voice or a number of multiple voices. Even if it was the same first-person poet's inner voice, each piece had a different way of speaking and a different tone.
      On the other hand, the poet and the narrator also experienced a chang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hen the Goryeo song was adapted into a system-friendly content. In the lyrics of the song, which was adapted to the early Goryeo period, the poetic speaker was uniformly standardized and changed to a uniformly instructive vo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속요는 본디 다기한 형성과정을 갖고 있고, 작품 속의 시적화자도 다양한 면모들 보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고려가요의 시적화자를 실제 시인과 구별되는 가면을쓰고 연출되는 극적 인물로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고려속요의 시적화자에 대한 면모를 살펴보고, 아울러 그것이 선초에 개작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시적화자의 변동성에 대해 추적하였다.
      본고에서는 고려속요 시적화자의 면모를 탐색하기 위해 단성적인 경우와 다성적인경우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먼저 고려속요 작품에서 1명의 시적화자가 등장하는 작품을 살펴보았다. 같은 1명의 시적화자가 등장하여도 발화방식이나 어조 등에서 각각의 차이가 있었다.
      반면에 한 작품에서 여러 시적화자가 등장하는 작품은 단성적인 시적화자의 경우와는 작품 성향이 달랐다. <(고려)처용가>에서는 악귀를 쫓아내고 복을 비는 벽사진경의 나례 의식에서 역할에 따라 여러 인물이 등장하면서 다수의 시적화자가 필요했다.
      <서경별곡>은 남녀로 보이는 2명의 시적화자가 대화를 주고받으며 가창된 것으로 판단된다. <쌍화점>에서는 연희 공간에 다수의 시적화자가 등장하여 노래로 말을 주고받는 형식이었다. 다수의 시적화자가 등장하는 고려속요는 대부분 연희 무대라는 공간에서 불렸던 특징이 있었다.
      선초 속악가사의 개작과 관련하여 시적화자의 변동성을 살펴보았다. 고려속요의시적화자는 1명의 단성적인 목소리가 나오거나 다수의 다성적인 목소리가 등장하였다. 그리고 같은 일인칭 시적화자의 속요라 하더라도 작품마다 발화방식이나 어조가서로 달랐다. 반면에 조선초기에 고려속요를 체제 옹호적인 내용으로 개작하면서 시적화자도 변동을 겪게 된다. 선초에 고려속요가 개작된 속악가사에서는 시적화자가획일적으로 규범화되며 한결같이 교술적인 목소리로 바뀌었다.
      번역하기

      고려속요는 본디 다기한 형성과정을 갖고 있고, 작품 속의 시적화자도 다양한 면모들 보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고려가요의 시적화자를 실제 시인과 구별되는 가면을쓰고 연출되는 극적 ...

      고려속요는 본디 다기한 형성과정을 갖고 있고, 작품 속의 시적화자도 다양한 면모들 보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고려가요의 시적화자를 실제 시인과 구별되는 가면을쓰고 연출되는 극적 인물로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고려속요의 시적화자에 대한 면모를 살펴보고, 아울러 그것이 선초에 개작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시적화자의 변동성에 대해 추적하였다.
      본고에서는 고려속요 시적화자의 면모를 탐색하기 위해 단성적인 경우와 다성적인경우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먼저 고려속요 작품에서 1명의 시적화자가 등장하는 작품을 살펴보았다. 같은 1명의 시적화자가 등장하여도 발화방식이나 어조 등에서 각각의 차이가 있었다.
      반면에 한 작품에서 여러 시적화자가 등장하는 작품은 단성적인 시적화자의 경우와는 작품 성향이 달랐다. <(고려)처용가>에서는 악귀를 쫓아내고 복을 비는 벽사진경의 나례 의식에서 역할에 따라 여러 인물이 등장하면서 다수의 시적화자가 필요했다.
      <서경별곡>은 남녀로 보이는 2명의 시적화자가 대화를 주고받으며 가창된 것으로 판단된다. <쌍화점>에서는 연희 공간에 다수의 시적화자가 등장하여 노래로 말을 주고받는 형식이었다. 다수의 시적화자가 등장하는 고려속요는 대부분 연희 무대라는 공간에서 불렸던 특징이 있었다.
      선초 속악가사의 개작과 관련하여 시적화자의 변동성을 살펴보았다. 고려속요의시적화자는 1명의 단성적인 목소리가 나오거나 다수의 다성적인 목소리가 등장하였다. 그리고 같은 일인칭 시적화자의 속요라 하더라도 작품마다 발화방식이나 어조가서로 달랐다. 반면에 조선초기에 고려속요를 체제 옹호적인 내용으로 개작하면서 시적화자도 변동을 겪게 된다. 선초에 고려속요가 개작된 속악가사에서는 시적화자가획일적으로 규범화되며 한결같이 교술적인 목소리로 바뀌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78-104, 1985

      2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41-44, 1986

      3 양주동, "여요전주" 을유문화사 27-, 1947

      4 이임수, "여요연구" 형설출판사 147-, 1988

      5 "악학궤범"

      6 "악장가사"

      7 "시용향악보"

      8 권혁웅, "시론" 문학동네 23-34, 2010

      9 壬申條, "성종실록 권24"

      10 이형상, "병와선생집"

      1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78-104, 1985

      2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41-44, 1986

      3 양주동, "여요전주" 을유문화사 27-, 1947

      4 이임수, "여요연구" 형설출판사 147-, 1988

      5 "악학궤범"

      6 "악장가사"

      7 "시용향악보"

      8 권혁웅, "시론" 문학동네 23-34, 2010

      9 壬申條, "성종실록 권24"

      10 이형상, "병와선생집"

      11 양태순, "고전시가 엮어 읽기" 태학사 202-225, 2003

      12 김수경, "고려처용가의 미학적 전승" 보고사 145-168, 2004

      13 최철, "고려국어가요의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207-, 1996

      14 박노준, "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266-, 1990

      15 박병채, "고려가요의 어석연구" 이우출판사 295-, 1984

      16 최정여, "고려가요 연구" 정음사 114-,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학회 -> 한국 리터러시 학회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Literacy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 -> 리터러시 연구
      외국어명 : Korea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 -> The Korean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2-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