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시각적 감성표현의 커뮤니케이션 특성 연구 = A Study on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about Visual Emotion Expre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515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21th century digital technology, we can communicate with various people easy and fast in virtual space. In the network era, human made emoticon as one of communication method which is not exist previously. The emoticon made for emotional communication has spread out rapidly by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diffusion of SNS; however, character communication lacks of emotional expression. Loss of emotional expression have made a emoticon. The emoticon have made character communication which is able to deliver emotion. Therefore, in this study show how to use of emoticon as visual symbol to express emotions.
      번역하기

      With the development of 21th century digital technology, we can communicate with various people easy and fast in virtual space. In the network era, human made emoticon as one of communication method which is not exist previously. The emoticon made for...

      With the development of 21th century digital technology, we can communicate with various people easy and fast in virtual space. In the network era, human made emoticon as one of communication method which is not exist previously. The emoticon made for emotional communication has spread out rapidly by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diffusion of SNS; however, character communication lacks of emotional expression. Loss of emotional expression have made a emoticon. The emoticon have made character communication which is able to deliver emotion. Therefore, in this study show how to use of emoticon as visual symbol to express emo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배근, "커뮤니케이션론" 나남 1992

      2 변순주,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이모티콘의 도상성(icon)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3 문영신, "시각적 감성표현 도구로서의 이모티콘의 효과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5

      4 김정탁, "미디어와 인간"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5 김성태, "문학의 시각화 결향과 영상매체" 1 : 1999

      6 배규한, "매스미디어와 정보사회" 박영사 1999

      7 김영석, "디지털미디어와 사회" 나남출판 2002

      8 이지은,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의 시각적 감성표현에 관한 연구 : 이모티콘의 기호학적 접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2

      9 박영원, "디자인기호학" 청주대학교출판부 2001

      10 "네이버 지식백과"

      1 차배근, "커뮤니케이션론" 나남 1992

      2 변순주,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이모티콘의 도상성(icon)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3 문영신, "시각적 감성표현 도구로서의 이모티콘의 효과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5

      4 김정탁, "미디어와 인간"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5 김성태, "문학의 시각화 결향과 영상매체" 1 : 1999

      6 배규한, "매스미디어와 정보사회" 박영사 1999

      7 김영석, "디지털미디어와 사회" 나남출판 2002

      8 이지은,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의 시각적 감성표현에 관한 연구 : 이모티콘의 기호학적 접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2

      9 박영원, "디자인기호학" 청주대학교출판부 2001

      10 "네이버 지식백과"

      11 李善榮, "기호학적(記號學的) 접근을 통한 디자인 인터페이스(design interface)에 관한 연구" 弘益大學校 産業美術大學院 1995

      12 Umberto Eco, "기호학이론" 문학과 지성사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2-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보디자인학회(이윤수)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