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차배근, "커뮤니케이션론" 나남 1992
2 변순주,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이모티콘의 도상성(icon)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3 문영신, "시각적 감성표현 도구로서의 이모티콘의 효과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5
4 김정탁, "미디어와 인간"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5 김성태, "문학의 시각화 결향과 영상매체" 1 : 1999
6 배규한, "매스미디어와 정보사회" 박영사 1999
7 김영석, "디지털미디어와 사회" 나남출판 2002
8 이지은,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의 시각적 감성표현에 관한 연구 : 이모티콘의 기호학적 접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2
9 박영원, "디자인기호학" 청주대학교출판부 2001
10 "네이버 지식백과"
1 차배근, "커뮤니케이션론" 나남 1992
2 변순주,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이모티콘의 도상성(icon)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3 문영신, "시각적 감성표현 도구로서의 이모티콘의 효과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5
4 김정탁, "미디어와 인간"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5 김성태, "문학의 시각화 결향과 영상매체" 1 : 1999
6 배규한, "매스미디어와 정보사회" 박영사 1999
7 김영석, "디지털미디어와 사회" 나남출판 2002
8 이지은,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의 시각적 감성표현에 관한 연구 : 이모티콘의 기호학적 접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2
9 박영원, "디자인기호학" 청주대학교출판부 2001
10 "네이버 지식백과"
11 李善榮, "기호학적(記號學的) 접근을 통한 디자인 인터페이스(design interface)에 관한 연구" 弘益大學校 産業美術大學院 1995
12 Umberto Eco, "기호학이론" 문학과 지성사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