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 이후, 유가는 자사와 맹자 그리고 순자를 거치면서 인간 본성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전개했다. 반면, 동시대의 묵가에서는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를 찾아보기 힘들다. 그렇다면 묵가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12783
2021
-
묵자 ; 묵가 ; 인간 본성 ; 윤리 ; 게임 이론 ; Moz(墨子)i ; Mohism(墨家) ; Human nature(性) ; Ethics ; Game theory
150
KCI등재
학술저널
35-66(3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공자 이후, 유가는 자사와 맹자 그리고 순자를 거치면서 인간 본성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전개했다. 반면, 동시대의 묵가에서는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를 찾아보기 힘들다. 그렇다면 묵가는 ...
공자 이후, 유가는 자사와 맹자 그리고 순자를 거치면서 인간 본성에 대한 활발한 논의를 전개했다. 반면, 동시대의 묵가에서는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를 찾아보기 힘들다. 그렇다면 묵가는 인간에 대해 고찰하지 않았던 것일까? 정치와 윤리의 주체는 인간이다. 따라서 인간에 대해 탐구하지 않는 정치와 윤리는 성립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에서 묵가에게도 나름의 인간관이 있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이 명확히 드러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일까? 묵가 사상의 정치와 윤리는 人性에 대한 논의와 관련 없이 성립할 수 있었던 것일까? 위와 같은 이유에서 풍우란을 위시한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묵자』 「소염」의 백지설로 묵가의 인간관을 규정한다. 그리고 인간에 대해 자발적으로 윤리를 행사할 수 있는 존재로 파악하기보다는 규범과 군주의 상벌, 그리고 하늘과 같은 외적 제재를 통해 윤리를 강제해야 하는 존재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묵가의 인간관에 대한 기존의 오해를 해소하고, 묵가 사상 내에서 어떻게 자발적 윤리가 성립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Confucius, Confucianism had actively studied human beings after Zisi, Menzi and Xunzi. On the other hand, it was difficult to find this perspective in Mohism at the same period. In this sense, some might argue that Mohism had not considered the ...
Since Confucius, Confucianism had actively studied human beings after Zisi, Menzi and Xunzi. On the other hand, it was difficult to find this perspective in Mohism at the same period. In this sense, some might argue that Mohism had not considered the humans in their philosophy. However, given that the main agents of politics and ethics are the human beings, the study cannot be established if they wouldn t take the humans in consideration. Therefore we can expect that Mohism had also their own perspective on human beings. Then what would be the reasons that this wasn’t clearly mentioned in their philosophy? The ethics of Mohism could we find without the in-depth discussion about the personality? The existing research including Feng you-lan describes that Mohism’s perspective on humans as theory of tabula rasa based on 『Mozi』 「On Dyeing」. Also the people are considered as who should be forced to be moral by the restrictions like the norms, the reward and punishment from the monarch and the God, rather than who can be ethical by themselves. This study aims to resolve the existing misunderstanding about Mohism’s perspective on humans, and search for how the voluntary ethics can be established within Mohism’s philosoph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준영, "회남자 하" 자유문고 2015
2 이운구, "한비자" 한길사 2016
3 정재현, "차별적 사랑과 무차별적 사랑" 파리아카데미 2019
4 풍우란, "중국철학사" 까치글방 2015
5 김재구, "중국전통윤리사상사" 세종출판사 2000
6 주백곤, "중국고대윤리학" 이론과 실천 1992
7 리쩌허우, "중국고대사상사론" 한길사 2017
8 곽말약, "중국고대사상사" 까치 1991
9 벤자민 슈워츠, "중국 고대 사상의 세계" 살림 2004
10 정단비, "절대군주를 위한 궤변" 수류화개 2020
1 이준영, "회남자 하" 자유문고 2015
2 이운구, "한비자" 한길사 2016
3 정재현, "차별적 사랑과 무차별적 사랑" 파리아카데미 2019
4 풍우란, "중국철학사" 까치글방 2015
5 김재구, "중국전통윤리사상사" 세종출판사 2000
6 주백곤, "중국고대윤리학" 이론과 실천 1992
7 리쩌허우, "중국고대사상사론" 한길사 2017
8 곽말약, "중국고대사상사" 까치 1991
9 벤자민 슈워츠, "중국 고대 사상의 세계" 살림 2004
10 정단비, "절대군주를 위한 궤변" 수류화개 2020
11 권혁우, "전기 묵가의 철학 체계와 문제점에 관한 연구" 37 : 2009
12 장원태, "전국시대 인성론의 형성과 전개에 관한 연구 : 유가, 묵가, 법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3 아마티아 센, "자유로서의 발전" 갈라파고스 2017
14 김태길, "윤리학" 박영사 2010
15 제레미 벤담, "윤리 입법의 원칙에 대한 서론" 아카넷 2018
16 김근, "여씨춘추" 글항아리 2018
17 손영식, "성악설의 흐름" 10 : 1998
18 "사기열전 2권" 민음사 2011
19 김원준, "사기열전 1권" 민음사 2012
20 민홍석, "묵자철학의 핵심처는 어디인가" 한국양명학회 (34) : 149-178, 2013
21 이계석, "묵자의 이상사회론 연구" 충남대학교 2020
22 정재현, "묵자사상의 철학적 탐구"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2
23 손이양, "묵자간고 2권" 전통문회연구회 2019
24 손이양, "묵자간고 1권" 전통문회연구회 2018
25 천웨이런, "묵자가 필요한 시간" 흐름 2018
26 김학주, "묵자, 그 생애 사상과 묵가" 명문당 2014
27 윤무학, "묵자 2권" 길 2015
28 이운구, "묵자 1권" 길 2015
29 김학주, "묵자" 명문당 2014
30 정재현, "묵가의 실용주의와 논리주의" (6) : 1999
31 신정근, "맹자와 순자 사상의 결정적 차이" 동양철학연구회 (67) : 117-146, 2011
32 앤거스 그레이엄, "도의 논쟁자들" 새물결 2015
33 성백효, "논어집주" 전통문화연구회 2015
34 정재현, "고대 중국의 명학"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2
35 勞思光, "新編中國哲學史"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05
36 尹武學, "墨家의 名學에 관한 연구 : 儒家·道家·名家와의 相關性을 중심으로"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2
37 정재현, "墨家 倫理學과 墨經" 철학연구소 28 : 39-62, 2012
38 梁啓超, "墨子學案" 新文豊出版 1975
39 渡邊卓, "古代中國思想の硏究" 創文社 1977
不動心 획득을 위한 孟子의 심리적 메커니즘에 관한 고찰 : 『孟子』 「浩然之氣章」의 용기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5-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Asian Philosphy in Korea : SAPK | ![]() |
2007-01-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2 | 0.42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9 | 1.246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