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일과 대칭되는 의미를 지닌 일상적 여가 경험의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진지한 여가 경험 단계가 아닌, 일상적 여가 경험을 하고 있는 연구참여자들을 선별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63417
2016
Korean
Casual leisure ; Serious leisure ; Lived experience ; Work ; Studying ; 일상적 여가 ; 진지한 여가 ; 일상적 경험 ; 일 ; 공부
KCI등재
학술저널
29-45(17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과 대칭되는 의미를 지닌 일상적 여가 경험의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진지한 여가 경험 단계가 아닌, 일상적 여가 경험을 하고 있는 연구참여자들을 선별하...
본 연구는 일과 대칭되는 의미를 지닌 일상적 여가 경험의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진지한 여가 경험 단계가 아닌, 일상적 여가 경험을 하고 있는 연구참여자들을 선별하여 이들로부터 그들이 경험하는 여가에 대하여 이야기를 들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세 가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일상적 여가참여자들은 일과는 다르게 시간적인 경험을 하고 있었다. 이들은 여가 시간을 부담없는 자유시간과 시간에 대한 기대감을 높게 가지고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둘째, 일상적 여가 참여자는 일과는 다른 몰입과 재미를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일상적 여가 참여자들은 여가를 통해 타인에 대한 상호 이해와 관계 구축이 가능했다고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일과는 다른 일상적 여가를 경험하는 사람들의 여가 경험의 요인을 이해하고, 그 가치를 파악하도록 도움을 준다. 또한 상대적으로 여가학 분야에서 간과되었던 일상적 여가 경험의 중요성을 이해하도록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ived experiences of casual leisure as reversed meaning of work and studying. For this purpose, the selected participants experiencing in casual leisure were recrui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Three conclu...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ived experiences of casual leisure as reversed meaning of work and studying. For this purpose, the selected participants experiencing in casual leisure were recrui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Three conclusions were suggested. Firstly, casual leisure participants experienced different time from work. Secondly, they experienced different psychological involvement and interest from work. Thirdly,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different social relations from work in terms of understanding other leisure participants and social bond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periencing casual leisure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value of leisure for the people suffered from leisure time constraints. In addition, this leads to new research direction related to the supporting significant casual leisure experience different from work experienc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량, "합의 델파이 방법을 통한 Serious Leisure의 개념화" 한국체육학회 47 (47): 285-298, 2008
2 윤소영, "한국인의 여가행복지수 개발 및 적용" 여가문화학회 12 (12): 149-173, 2014
3 김형훈, "진지한 여가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관계: 사회인야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국체육학회 52 (52): 379-388, 2013
4 노혜영, "진지한 여가경험으로서 스노보드 체험 분석" 한국체육학회 43 (43): 671-684, 2004
5 최성훈, "진지한 여가(serious leisure)'와 '일상적 여가(casual leisure)'에 대한 고찰" 한국체육학회 42 (42): 489-498, 2003
6 황선환, "진지한 여가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한국체육학회 48 (48): 387-396, 2009
7 김미량, "진지한 여가 척도 개발" 한국체육학회 48 (48): 397-408, 2009
8 이철원, "중년 남성의 여가 제약과 여가 권태에 관한 질적 탐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8 (38): 1-16, 2014
9 박유진, "여가정체성 현출성에 따라 여가경험이 여가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적극형 여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10 이원일, "승마동호인의 진지한 여가 조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7 (37): 113-129, 2013
1 김미량, "합의 델파이 방법을 통한 Serious Leisure의 개념화" 한국체육학회 47 (47): 285-298, 2008
2 윤소영, "한국인의 여가행복지수 개발 및 적용" 여가문화학회 12 (12): 149-173, 2014
3 김형훈, "진지한 여가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관계: 사회인야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국체육학회 52 (52): 379-388, 2013
4 노혜영, "진지한 여가경험으로서 스노보드 체험 분석" 한국체육학회 43 (43): 671-684, 2004
5 최성훈, "진지한 여가(serious leisure)'와 '일상적 여가(casual leisure)'에 대한 고찰" 한국체육학회 42 (42): 489-498, 2003
6 황선환, "진지한 여가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한국체육학회 48 (48): 387-396, 2009
7 김미량, "진지한 여가 척도 개발" 한국체육학회 48 (48): 397-408, 2009
8 이철원, "중년 남성의 여가 제약과 여가 권태에 관한 질적 탐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8 (38): 1-16, 2014
9 박유진, "여가정체성 현출성에 따라 여가경험이 여가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적극형 여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10 이원일, "승마동호인의 진지한 여가 조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7 (37): 113-129, 2013
11 박용희, "대학생의 진지한 여가와 일상적 여가 구분에 따른 다차원의 여가관여, 여가태도의 구조적 영향관계 차이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26 (26): 41-56, 2012
12 이동준,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여가인지,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15 (15): 111-120, 2006
13 오세숙, "대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대한 여가적 대처" 여가문화학회 11 (11): 59-74, 2013
14 김지선, "노인운동프로그램 참여자의 중도탈락(Drop-out) 경험"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6 (36): 26-35, 2012
15 Elsweiler, D, "Understanding casual-leisure information needs : a diary study in the context of television viewing" ACM 25-34, 2010
16 Stebbins, R. A, "The organizational basis of leisure participation : A motivational exploration. State College" Venture 2002
17 Stebbins, R. A, "Serious leisure : A conceptual statement" 25 (25): 51-72, 1982
18 Kim, J, "Predicting Personal Growth and Happiness by Using Serious Leisure Model" 122 (122): 147-157, 2015
19 Smith, C. L,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in older adults : A Comparison of competitors, non competitors, and nonexercises" 5 : 98-110, 1997
20 Stathhi, A, "Physical activity and dimensions of subjective well-being in older adults" 10 (10): 76-92, 2002
21 Derom, I, "Participants' experiences in two types of sporting events : A quest for evidence of the SL-CL continuum" 43 (43): 383-, 2011
22 Sener, A,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activities during men’s retirement : A Turkish sample" 11 (11): 30-36, 2007
23 Riddick, C. C, "Leisure satisfaction precursors" 18 : 259-265, 1986
24 Lu, L,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as a function of leisure activity" 10 : 89-96, 1993
25 Yau, K. M, "Health and well-being through Tai Chi : Perceptions of older adults in Hong Kong" 21 (21): 163-178, 2002
26 Stebbins, R. A, "Exploratory research in the social sciences" Sage 48-, 2001
27 Guba, E. G, "Effective evaluation :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Jossey-Bass 1981
28 Chaplin, D, "Consuming work/productive leisure : the consumption patterns of second home environments" 18 (18): 41-55, 1999
29 Shen, X. S, "Blowing open the serious leisure-casual leisure dichotomy : what's in there?" 32 (32): 162-179, 2010
30 Stebbins, R. A, "Amateurs, Professionals, and Serious Leisure" McGill-Queen's Press 1992
국악공연 관람객의 관람동기 및 관람만족도가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5 | 1.25 | 1.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5 | 1.307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