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999년도 암 발생자는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암 생존률이 높았다. 2. 1999년도 암 발생자를 대상으로 소득계층간 의료이용의 차이를 발생 시점으로부터 5~6년간 추적 관찰하여, 소득계층 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1. 1999년도 암 발생자는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암 생존률이 높았다. 2. 1999년도 암 발생자를 대상으로 소득계층간 의료이용의 차이를 발생 시점으로부터 5~6년간 추적 관찰하여, 소득계층 간 ...
1. 1999년도 암 발생자는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암 생존률이 높았다.
2. 1999년도 암 발생자를 대상으로 소득계층간 의료이용의 차이를 발생 시점으로부터 5~6년간 추적 관찰하여, 소득계층 간 의료이용의 차이에 대하여 크게 의료기관 종별, 지역별 의료이용(지역친화도, 지역환자구성비), 급여실적(건수, 내원일수, 진료비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중증도가 비슷한 것으로 간주한 동일 생존기간의 암 환자 집단 내에서도 의료기관 종별 이용률에서 소득계 층간 차이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동일한 생존기간의 암 환자들에서 3차 병원 이용은 높은 소득계층일수록 더 많이 하는 반면, 종합병원 및 병의원 이용률은 낮은 소득계층일수록 더 높다는 것이다. 이러한 소득계층 간 의료기관 종별 이용률의 차이는 모든 생존구간에서 일관되게 관찰되는 결과였다. 특히, 3차병원 이용에서는 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 서울아산병원, 서울삼성병원 등 4개 주요 병원에서의 소득계층간 차이가 가장 뚜렷하였다.
3. 한편, 입원의료 뿐 아니라 외래의료에서도 지역별 자체충족률에 편차가 상당하였으며, 충북, 충남대전, 제주 등 일부 지역에서는 진료권의 개념이 무색할 정도로 자체 충족률이 낮고, 서울 지역으로의 지역친화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4. 본 연구의 소득계층별 사망 1년 전 의료이용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소득1계층은 외래진료비, 약국 조제료 부분에서 의료이용이 높았다. 둘째, 의료급예종은 총진료비, 입원진료비, 입원일수는 가장 높고 입원 일당 진료비는 가장 낮았다. 셋째, 소득5계층은 약국조제료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가장 낮았다.
5. 교육계층별 사망 1년 전 의료이용의 차이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학 이상의 교육을 받은 경우, 총진료비, 입원진료비, 외래진료비, 약국 조제료 부분에서 모두 의료이용이 높았다. 둘째, 대학 이상, 고등, 중학, 초등, 무학으로 교육수준이 떨어질수록 의료이용량이 줄었다. 셋째, 입원 일수는 교육수준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The higher the level of income, the higher the survival rate of cancer patients following incidence in 1999 was observed. 2. In order to explore the difference in medical utilization(ex. visit days, length of stay, total medical expenses) of cance...
1. The higher the level of income, the higher the survival rate of cancer patients following incidence in 1999 was observed.
2. In order to explore the difference in medical utilization(ex. visit days, length of stay, total medical expenses) of cancer patients among income classes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cal institution, and region(Relevance Index can be calculated here), the cancer patients following incidence in 1999 were followed up during 5 — 6 years from the beginning of cancer incidence. As a result, the utilization rate among the medical institutions was quite different across income class of cancer patients with the same survival length and similar severity. That is, while the higher the level of income, the more cancer patients utilized the third level of hospital, the lower the level of income, the less cancer patients utilized the second level of hospitals.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utilization of the third level of hospitals, the difference of the utilization rate among income classes was observed considerably at the four major third—level hospitals(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verance Hospital, Asan Medical Center, Samsung Medical Center).
3. Otherwise, in case of medical service for outpatients as well as inpatients, the regional Relevance Index was quite different. It was observed that regional Relevance Index was low in Chungbuk, Daejun, Chungnam, and Cheju, but high in Seoul.
4.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of medical utilization in one year before death across income class was analyzed. We found that the highest income group(classl) ranked first in medical utilizations, in particular outpatients and prescription drugs, the lower income groups showed relatively low level of medical utilization.
5. The difference of medical utilization in one year before death by education group was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group with higher level of education(over university graduation) utilized the higher medical expenses in to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