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금속정 고정술 시행결과  :  감미정과 근위 대퇴정의 비교 Comparision Gamma Nail and proximal Femoral Nail = Nailing in the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1416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대퇴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감마정과 근위 대퇴정으로 내고정을 시행하고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 및 합병증을 비교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2년 2월까지 대퇴 전자간 골절로 감마정과 근위 대퇴정을 이용하여 고정한 환자 중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으로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63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감마정군이 31예, 근위 대퇴정군이 32예이었다. 연령, 골절의 형태와 안정성에 따른 분류, 동반 질환, 골다공증의 정도, 환자의 활동 능력 등이 양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평가방법으로는 두 군 사이의 수술시간, 출혈량, 안정정복 획득의 감입 정도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시간은 감마정군은 평균 103±40분, 근위 대퇴정군에서 101±28분으로 통계적인의미는 없었으며 (p=0.801), 수술 중 출혈량은 근위 대퇴정군에서 적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p=0.601). 술 후 골절의 안정성 획득 여부는 감마정군 30%, 근위 대퇴정군 31%에서 안정 정복을 얻어 사용기구에 따른 고정의 안정성 획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934), 술 후 내반 고정의 빈도와 골절부위의 1.28단계의 보행능력 감소를, 근위 대퇴정군에서 평균 0.86단계의 보행능력 감소를 보여 역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p=0.383).
      결론: 대퇴 전자간 골절치료에 있어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인 결과에서는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근위 대퇴 골수정이 수술시간, 출혈량 등의 수술 수기의 측면에서 조금 더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번역하기

      목적: 대퇴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감마정과 근위 대퇴정으로 내고정을 시행하고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 및 합병증을 비교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

      목적: 대퇴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감마정과 근위 대퇴정으로 내고정을 시행하고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 및 합병증을 비교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2년 2월까지 대퇴 전자간 골절로 감마정과 근위 대퇴정을 이용하여 고정한 환자 중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으로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63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감마정군이 31예, 근위 대퇴정군이 32예이었다. 연령, 골절의 형태와 안정성에 따른 분류, 동반 질환, 골다공증의 정도, 환자의 활동 능력 등이 양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평가방법으로는 두 군 사이의 수술시간, 출혈량, 안정정복 획득의 감입 정도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시간은 감마정군은 평균 103±40분, 근위 대퇴정군에서 101±28분으로 통계적인의미는 없었으며 (p=0.801), 수술 중 출혈량은 근위 대퇴정군에서 적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p=0.601). 술 후 골절의 안정성 획득 여부는 감마정군 30%, 근위 대퇴정군 31%에서 안정 정복을 얻어 사용기구에 따른 고정의 안정성 획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934), 술 후 내반 고정의 빈도와 골절부위의 1.28단계의 보행능력 감소를, 근위 대퇴정군에서 평균 0.86단계의 보행능력 감소를 보여 역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p=0.383).
      결론: 대퇴 전자간 골절치료에 있어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인 결과에서는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근위 대퇴 골수정이 수술시간, 출혈량 등의 수술 수기의 측면에서 조금 더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of the fracture using the Proximal Femoral Nail(PFN) or Gamma nail in patient with the intertrochanteric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9 to February 2002, we reviewed 63 patients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including 31 patients managed with Gamma nail and 32 patients with PFN. In variate analysis of age, the pattern and stability of fracture, bone density(Singh index), preoperative patient activit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e evaluated the operation time, blood loss, stable reduction rate and varus reduction rate as operation-related factors, and radiologically investigated union, time, the frequency of delayed union and nonunion, failure of fixation, status of the fracture line and complications. Func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by the possibility of early ambulation, ambulation ability at last follow up, and the pre and postoperative difference of ambulatory ability.
      Results: Mean operation time was 103±40 minutes in Gamma nail group 101±28 minutes in PFN group.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801). Even though intraoperative blood loss was less in PFN group, it was significant(p=0.601). Postoperative stable reduction rate was 31% in Gamma nail group and 30% in PFN group(p=0.934), suggesting not significant. Postoperative varus reduction and impacted amount of the fracture ling was not significant. Delayed union developed in one case of Gamma nail group and 2 cases of PFN group. Mean loss of ambulation ability was 1.28 grade in Gamma nail group and 0.86 grade in PFN(p=0.383).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use of Student T test and Chi-square test. Analyses resulting in a p value of <0.05 were considered to show significance.
      Conclusion: Generally, the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ere comparable for the PFN group and Gamma nail group. Even 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FN group had superior results in operation time blood than Gamma nail group for the fixation of the patients with interchanteric fracture.
      번역하기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of the fracture using the Proximal Femoral Nail(PFN) or Gamma nail in patient with the intertrochanteric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9 to February 2002, we reviewed 63 pati...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of the fracture using the Proximal Femoral Nail(PFN) or Gamma nail in patient with the intertrochanteric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9 to February 2002, we reviewed 63 patients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including 31 patients managed with Gamma nail and 32 patients with PFN. In variate analysis of age, the pattern and stability of fracture, bone density(Singh index), preoperative patient activit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e evaluated the operation time, blood loss, stable reduction rate and varus reduction rate as operation-related factors, and radiologically investigated union, time, the frequency of delayed union and nonunion, failure of fixation, status of the fracture line and complications. Func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by the possibility of early ambulation, ambulation ability at last follow up, and the pre and postoperative difference of ambulatory ability.
      Results: Mean operation time was 103±40 minutes in Gamma nail group 101±28 minutes in PFN group.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801). Even though intraoperative blood loss was less in PFN group, it was significant(p=0.601). Postoperative stable reduction rate was 31% in Gamma nail group and 30% in PFN group(p=0.934), suggesting not significant. Postoperative varus reduction and impacted amount of the fracture ling was not significant. Delayed union developed in one case of Gamma nail group and 2 cases of PFN group. Mean loss of ambulation ability was 1.28 grade in Gamma nail group and 0.86 grade in PFN(p=0.383).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use of Student T test and Chi-square test. Analyses resulting in a p value of <0.05 were considered to show significance.
      Conclusion: Generally, the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ere comparable for the PFN group and Gamma nail group. Even 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FN group had superior results in operation time blood than Gamma nail group for the fixation of the patients with interchanteric fractur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