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포장균열 및 노면반사균열 억제방안 연구 (Ⅱ)(중간)  :  (Methodology for Constraining Asphalt Concrete Overlay Against Reflection Cracking (II)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laboratory tests for retarding reflection crack Propagation were performed against bending and shearing failure due to temperature changes and repeated vehicular loading.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mode I and H crack propagation tests are great effective U evaluate the resistance of asphalt mixture to reflection crack.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the results is that the LDPE and CB modified asphalt mixture with fiber is superior to retard the reflection crack and when glass-grid is applied at the bottom of asphalt mixture fatigue life and dynamic stability increases further more.
      번역하기

      In this study, laboratory tests for retarding reflection crack Propagation were performed against bending and shearing failure due to temperature changes and repeated vehicular loading.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mode I and H crack propagation test...

      In this study, laboratory tests for retarding reflection crack Propagation were performed against bending and shearing failure due to temperature changes and repeated vehicular loading.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mode I and H crack propagation tests are great effective U evaluate the resistance of asphalt mixture to reflection crack.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the results is that the LDPE and CB modified asphalt mixture with fiber is superior to retard the reflection crack and when glass-grid is applied at the bottom of asphalt mixture fatigue life and dynamic stability increases further mo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온도변화에 따른 인장응력과 윤하중에 따른 전단응력에 대한 반사균열 시험에 관한 실내시험을 실시하였고, 실내시험 결과를 통해보면 본 연구에서 실시한 인장모드(모드I)과 전단모드(모드II) 시험은 아스팔트혼합물의 반사균열 저항성을 규명하는데 아주 효과적인 모사시험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결과로 가장 두드러진 점은 휨 파괴 (Model I)과 전단 파괴 (ModeI II) 시험에서 가장 반사균열 저지에 효과적인 혼합물은 LDPE와 CB로 개질한 혼합물에 합성섬유를 첨가한 혼합물이며, 글라스 그리드로 보강한 경우에는 피로수명과 동적 안정도가 더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는 점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온도변화에 따른 인장응력과 윤하중에 따른 전단응력에 대한 반사균열 시험에 관한 실내시험을 실시하였고, 실내시험 결과를 통해보면 본 연구에서 실시한 인장모드(모드I)...

      본 연구에서는 온도변화에 따른 인장응력과 윤하중에 따른 전단응력에 대한 반사균열 시험에 관한 실내시험을 실시하였고, 실내시험 결과를 통해보면 본 연구에서 실시한 인장모드(모드I)과 전단모드(모드II) 시험은 아스팔트혼합물의 반사균열 저항성을 규명하는데 아주 효과적인 모사시험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결과로 가장 두드러진 점은 휨 파괴 (Model I)과 전단 파괴 (ModeI II) 시험에서 가장 반사균열 저지에 효과적인 혼합물은 LDPE와 CB로 개질한 혼합물에 합성섬유를 첨가한 혼합물이며, 글라스 그리드로 보강한 경우에는 피로수명과 동적 안정도가 더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는 점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 요약문
      • ABSTRACT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 요약문
      • ABSTRACT
      • 제1장 서론
      • 1.1 연구 배경
      • 1.2 연구 목적
      • 1.3 연구 내용 및 범위
      • 제2장 콘크리트 균열의 구조, 평가 및 관리
      • 2.1 콘크리트 균열의 구조
      • 2.2 균열의 장기영향
      • 2.3 균열의 발생원인과 관리
      • 2.4 균열의 평가
      • 2.5 균열의 보수방법
      • 제3장 콘크리트 균열에 관한 이론적 고찰
      • 3.1 파괴역학의 개요
      • 3.2 콘크리트의 파괴역학
      • 제4장 노면 반사균열의 해석
      • 4.1 노면 반사균열의 발생
      • 4.2 노면 반사균열의 진전
      • 4.3 선형 탄성 파괴역학 이론
      • 4.4 계면파괴역학
      • 4.5 계산 파괴역학
      • 4.6 피로해석 이론
      • 4.7 반사균열 해석 프로그램의 개발
      • 제5장 노면반사균열 억제 공법
      • 5.1 기존 콘크리트 포장의 처리
      • 5.2 응력완화층 설치
      • 5.3 Cushion Course 설치
      • 5.4 특수 아스팔트 덧씌우기
      • 제6장 반사균열 모사시험
      • 6.1 개요
      • 6.2 재료 및 방법
      • 6.3 결과 분석
      • 6.4 결과 요약
      • 제7장 시험시공
      • 7.1 1차 시험시공
      • 7.2 2차 시험시공계획
      • 제8장 결론 및 향후 연구추진계획
      • 8.1 결론
      • 8.2 향후의 연구과제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