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육 개혁사상의 연원(淵源)과 성격 = Kim Yuk’s Idea of the Taedongp?p : Its Origin and N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623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Yuk (金堉, 1580~1658) played a major role in enacting the Taedongp?p (大同法), meaning the Uniform Land Tax Law, which is known to have been the most important financial reform in Chosen Korea. Many scholars have paid special attention to K...

      Kim Yuk (金堉, 1580~1658) played a major role in enacting the Taedongp?p (大同法), meaning the Uniform Land Tax Law, which is known to have been the most important financial reform in Chosen Korea. Many scholars have paid special attention to Kim’s idea and produced a number of papers purporting that his reform proposal exemplified pragmatism. Some scholars have even attempted to associate the ideology behind his reform with that of early sirhak(實學), literally meaning Practical Learning, in that both stood separately from the Confucian mindset. Existing studies on Kim Yuk, however, neglect to consider the fact that Kim was not merely a theorist but a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 Kim, rather than a stubborn idealist who clung to his idea per se, was a bureaucrat in charge of the fiscal affairs of the state. Indeed, he sought political compromise. Existing studies also have simply assumed that pragmatism or practicality stands opposite of Confucianism. interpreting sirhak as a new intellectual trend transcending Confucianism. In fact, however, the practicality found within Kim’s reform idea was not his own: it derived from earlier reformers like Yi I (李珥, 1536-1584), one of the paragons of the leading Confucian scholar-officials of the Chos?n dynasty. Focusing on those two points,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nature of Kim Yuk’s reform proposal and contends that sirhak was a school of Confucian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현실 인식 방식
      • 3. 정치관
      • 4. 정책관
      • 5. 맺음말
      • 1. 머리말
      • 2. 현실 인식 방식
      • 3. 정치관
      • 4. 정책관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남복, "金堉의 思想과 그 歷史的 位置" 14 : 1980

      2 이범직, "조선후기 왕실의 연구-현・숙종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9 : 1997

      3 이범직, "조선후기 왕실 구조 연구-인조대를 중심으로-" 80 : 1998

      4 송수환, "조선전기 왕실재정 연구" 집문당 2000

      5 배병삼, "전통한국의 ‘정치’의 의미변화에 대한 연구" 21세기정치학회 11 (11): 2001

      6 김준태, "잠곡 김육의 실용적 경세사상 연구" 한국유교학회 (31) : 175-200, 2008

      7 장숙필, "잠곡 경세설의 사상적 토대" 6 : 2006

      8 배병삼, "율곡의 정치철학과 21세기 정치문화" 15 : 2000

      9 이정철, "오리 이원익과 두 번의 貢物變通" 조선시대사학회 (54) : 163-194, 2010

      10 한춘순, "명종대 훈척정치 연구" 혜안 2006

      1 이남복, "金堉의 思想과 그 歷史的 位置" 14 : 1980

      2 이범직, "조선후기 왕실의 연구-현・숙종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9 : 1997

      3 이범직, "조선후기 왕실 구조 연구-인조대를 중심으로-" 80 : 1998

      4 송수환, "조선전기 왕실재정 연구" 집문당 2000

      5 배병삼, "전통한국의 ‘정치’의 의미변화에 대한 연구" 21세기정치학회 11 (11): 2001

      6 김준태, "잠곡 김육의 실용적 경세사상 연구" 한국유교학회 (31) : 175-200, 2008

      7 장숙필, "잠곡 경세설의 사상적 토대" 6 : 2006

      8 배병삼, "율곡의 정치철학과 21세기 정치문화" 15 : 2000

      9 이정철, "오리 이원익과 두 번의 貢物變通" 조선시대사학회 (54) : 163-194, 2010

      10 한춘순, "명종대 훈척정치 연구" 혜안 2006

      11 이정철, "대동법의 성립에서 김육의 역할" 역사연구소 (72) : 75-108, 2011

      12 김준석, "김육의 안민경제론과 대동법" 24 : 2001

      13 이헌창, "김육의 경제사상과 경제 업적, In 잠곡 김육 연구" 태학사 2007

      14 정선용, "潛谷 詩에 나타난 憂國과 愛民意識" 민족문화추진회 24 : 2001

      15 정연식, "湖西大同節目 서문에 보이는 金堉의 공리주의적 사고" 서울여자대학교 16 : 2007

      16 김태영, "朝鮮性理學의 歷史像" 경희대학교 출판국 2006

      17 정만조, "17세기 중반 漢黨의 정치활동과 국정운영론" 23 : 1999

      18 정홍준, "17세기 대신과 儒賢의 역학관계" 65 : 1995

      19 김세봉, "17世紀 湖西山林勢力 硏究-山人勢力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2.25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