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장단 학습활동 유형 분석 = An Analysis of the Patterns of Jangdan Learning Activities in Elementary Music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602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patterns of jangdan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in the music textbooks for the third to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examined problems through the analysis, and presented measures for improvement. The analysis criteria and standards were prepared based on the music curriculum and analyzed accordingly.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third and fourth grades were intensively engaged in activities related to ‘beat, jangdan, forms of jangdan, malbuchimsae(the rhythm of lyrics) and hanbae(tempo),’ while the fifth and sixth grades were focused on activities related to ‘jangdan, forms of jangdan, and changes in hanbae(tempo).’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se(勢, accents) of jangdan’ were generally presented in the third and fifth grades but were rarely covered in the sixth grad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learning activities linked across grades for some concepts. The followings are the identified issues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in the elementary jangdan learning activities. Since there is inadequate instruction for the basic beat, instruction for that should be continued. Since there are not enough activities responding to the technique of discernment, activities related to that should be organized. It is necessary to, as a whole, secure the link of learning activities for each concept, which is being partially performed in some areas, to actively reflect on weak activities by grade, and to develop and utilize jangdan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real-life application domain.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patterns of jangdan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in the music textbooks for the third to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examined problems through the analysis, and presented measures for improvement. The analysis criteria...

      This study analyzed the patterns of jangdan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in the music textbooks for the third to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examined problems through the analysis, and presented measures for improvement. The analysis criteria and standards were prepared based on the music curriculum and analyzed accordingly.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third and fourth grades were intensively engaged in activities related to ‘beat, jangdan, forms of jangdan, malbuchimsae(the rhythm of lyrics) and hanbae(tempo),’ while the fifth and sixth grades were focused on activities related to ‘jangdan, forms of jangdan, and changes in hanbae(tempo).’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se(勢, accents) of jangdan’ were generally presented in the third and fifth grades but were rarely covered in the sixth grad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learning activities linked across grades for some concepts. The followings are the identified issues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in the elementary jangdan learning activities. Since there is inadequate instruction for the basic beat, instruction for that should be continued. Since there are not enough activities responding to the technique of discernment, activities related to that should be organized. It is necessary to, as a whole, secure the link of learning activities for each concept, which is being partially performed in some areas, to actively reflect on weak activities by grade, and to develop and utilize jangdan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real-life application domai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3~6학년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장단의 학습활동 유형을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음악 교과서의 장단 학습활동을 분석한 결과 3~4학년군은 ‘박, 장단, 장단꼴, 말붙임새, 한배’와 관련된 활동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5~6학년군은 ‘장단, 장단꼴, 한배의 변화’와 관련된 활동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장단의 세’와 관련된 활동은 3~5학년에서 보편적으로 제시되었지만 6학년에서는 거의 다루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부 개념에서 연계적 학습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초등학교 장단 학습활동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으로는 기본박의 지도가 미흡하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고, ‘구별하기’에 해당하는 활동이 빈약하므로 이와 관련된 활동 구성이 필요하며, 일부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개념별 학습활동의 연계성을 전체적으로 확보하고, 학년별로 빈약한 활동의 적극적 반영과 생활화 영역과 관련된 장단 학습활동을 개발하고 활용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 3~6학년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장단의 학습활동 유형을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음악 교과서의 장...

      본 연구는 초등학교 3~6학년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장단의 학습활동 유형을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음악 교과서의 장단 학습활동을 분석한 결과 3~4학년군은 ‘박, 장단, 장단꼴, 말붙임새, 한배’와 관련된 활동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5~6학년군은 ‘장단, 장단꼴, 한배의 변화’와 관련된 활동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장단의 세’와 관련된 활동은 3~5학년에서 보편적으로 제시되었지만 6학년에서는 거의 다루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부 개념에서 연계적 학습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초등학교 장단 학습활동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으로는 기본박의 지도가 미흡하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고, ‘구별하기’에 해당하는 활동이 빈약하므로 이와 관련된 활동 구성이 필요하며, 일부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개념별 학습활동의 연계성을 전체적으로 확보하고, 학년별로 빈약한 활동의 적극적 반영과 생활화 영역과 관련된 장단 학습활동을 개발하고 활용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영선, "협동학습을 적용한 장단 지도 방안 연구 : 굿거리장단을 중심으로"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 박현옥, "현행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전통음악장단의 실태에 관한 연구 : 중학교 2,3학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김미경, "초등학생의 장단 개념 형성을 위한 효율적인 지도 방안"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석문주, "초등학교 음악 5, 6" 동아출판 2019

      5 조순이, "초등학교 음악 5, 6" 비상교육 2019

      6 김용희, "초등학교 음악 5, 6" 금성출판사 2019

      7 홍종건, "초등학교 음악 5, 6" 와이비엠 2019

      8 김애경, "초등학교 음악 5, 6" 천재교육 2019

      9 장기범, "초등학교 음악 5, 6" 미래엔 2019

      10 허정미, "초등학교 음악 5, 6" 지학사 2019

      1 고영선, "협동학습을 적용한 장단 지도 방안 연구 : 굿거리장단을 중심으로"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 박현옥, "현행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전통음악장단의 실태에 관한 연구 : 중학교 2,3학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김미경, "초등학생의 장단 개념 형성을 위한 효율적인 지도 방안"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석문주, "초등학교 음악 5, 6" 동아출판 2019

      5 조순이, "초등학교 음악 5, 6" 비상교육 2019

      6 김용희, "초등학교 음악 5, 6" 금성출판사 2019

      7 홍종건, "초등학교 음악 5, 6" 와이비엠 2019

      8 김애경, "초등학교 음악 5, 6" 천재교육 2019

      9 장기범, "초등학교 음악 5, 6" 미래엔 2019

      10 허정미, "초등학교 음악 5, 6" 지학사 2019

      11 양종모, "초등학교 음악 5, 6" 천재교과서 2019

      12 김용희, "초등학교 음악 3, 4" 금성출판사 2018

      13 김애경, "초등학교 음악 3, 4" 천재교육 2018

      14 권태욱, "초등학교 음악 3, 4" 음악과 생활 2018

      15 홍종건, "초등학교 음악 3, 4" 와이비엠 2018

      16 허정미, "초등학교 음악 3, 4" 지학사 2018

      17 조순이, "초등학교 음악 3, 4" 비상교육 2018

      18 장기범, "초등학교 음악 3, 4" 미래엔 2018

      19 양종모, "초등학교 음악 3, 4" 천재교과서 2018

      20 석문주, "초등학교 음악 3, 4" 동아출판 2018

      21 박은지, "초등학교 국악교육의 효과적인 지도방안 연구 : 장단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2 송지영, "초등학교 국악 가창활동을 위한 장단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3 한윤이, "초․중학교 장단 지도 내용의 연계성과 지도 위계에 관한 연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14 (14): 353-386, 2020

      24 손소영, "초·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국악 장단 학습내용 연계성 분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5 천성훈,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장단 교육방안 연구 : 2009년 개정 음악 교과서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6 정예진, "중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장단교육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 장단의 개념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27 김종명, "전통음악의 장단 분석을 통한 교수·학습 지도 방법 연구 : 중학교 1학년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8 정문주, "전통음악 장단 학습지도 방안 연구 : 2007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초등 3∼6학년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9 이성화, "장단의 세(勢) 지도에 관한 연구" 3 (3): 35-61, 2009

      30 한윤이, "장단의 개념 및 지도 단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0

      31 서경미, "자진모리장단의 효율적인 지도 방안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2 정연수, "음악교과서 민요장단 사용에 관한 연구 : 2007년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3 문교부, "음악과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442호"

      34 교육부,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2호]"

      35 교육부,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2-16호"

      36 김연영, "산조 장단을 활용한 장단의 한배 개념 지도방안"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7 조민지, "브루너의 표상양식이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5·6학년 장단지도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8 김동현, "민요부르기 기능 신장을 위한 체계적 장단 지도 방안" 14 (14): 263-292, 1999

      39 이환희, "굿거리장단 형태 분석을 통한 단계적 지도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40 한강수, "굿거리와 중중모리 장단의 개념 및 지도 방안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41 유용환, "국악 장단학습 지도방안 연구 : 제7차 교육과정 초등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2 김혜지, "국악 개념학습을 위한 플립러닝 설계방안: 장단 개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43 정성미, "구음을 통한 장구장단 지도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08

      44 한윤이, "‘장단의 세’에 대한 의미 고찰과 지도 방안"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7 (7): 209-239, 2013

      45 유난희, "2009 개정 음악교과서 국악 가창곡 장단 분석 연구: 고등학교 ‘음악과 생활’ 교과서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46 하정애,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분석 연구: 3~6학년 가창의 장단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