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영선, "협동학습을 적용한 장단 지도 방안 연구 : 굿거리장단을 중심으로"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 박현옥, "현행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전통음악장단의 실태에 관한 연구 : 중학교 2,3학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김미경, "초등학생의 장단 개념 형성을 위한 효율적인 지도 방안"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석문주, "초등학교 음악 5, 6" 동아출판 2019
5 조순이, "초등학교 음악 5, 6" 비상교육 2019
6 김용희, "초등학교 음악 5, 6" 금성출판사 2019
7 홍종건, "초등학교 음악 5, 6" 와이비엠 2019
8 김애경, "초등학교 음악 5, 6" 천재교육 2019
9 장기범, "초등학교 음악 5, 6" 미래엔 2019
10 허정미, "초등학교 음악 5, 6" 지학사 2019
1 고영선, "협동학습을 적용한 장단 지도 방안 연구 : 굿거리장단을 중심으로"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 박현옥, "현행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전통음악장단의 실태에 관한 연구 : 중학교 2,3학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 김미경, "초등학생의 장단 개념 형성을 위한 효율적인 지도 방안"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석문주, "초등학교 음악 5, 6" 동아출판 2019
5 조순이, "초등학교 음악 5, 6" 비상교육 2019
6 김용희, "초등학교 음악 5, 6" 금성출판사 2019
7 홍종건, "초등학교 음악 5, 6" 와이비엠 2019
8 김애경, "초등학교 음악 5, 6" 천재교육 2019
9 장기범, "초등학교 음악 5, 6" 미래엔 2019
10 허정미, "초등학교 음악 5, 6" 지학사 2019
11 양종모, "초등학교 음악 5, 6" 천재교과서 2019
12 김용희, "초등학교 음악 3, 4" 금성출판사 2018
13 김애경, "초등학교 음악 3, 4" 천재교육 2018
14 권태욱, "초등학교 음악 3, 4" 음악과 생활 2018
15 홍종건, "초등학교 음악 3, 4" 와이비엠 2018
16 허정미, "초등학교 음악 3, 4" 지학사 2018
17 조순이, "초등학교 음악 3, 4" 비상교육 2018
18 장기범, "초등학교 음악 3, 4" 미래엔 2018
19 양종모, "초등학교 음악 3, 4" 천재교과서 2018
20 석문주, "초등학교 음악 3, 4" 동아출판 2018
21 박은지, "초등학교 국악교육의 효과적인 지도방안 연구 : 장단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2 송지영, "초등학교 국악 가창활동을 위한 장단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3 한윤이, "초․중학교 장단 지도 내용의 연계성과 지도 위계에 관한 연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14 (14): 353-386, 2020
24 손소영, "초·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국악 장단 학습내용 연계성 분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5 천성훈,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장단 교육방안 연구 : 2009년 개정 음악 교과서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6 정예진, "중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장단교육문제점과 해결방안 연구: 장단의 개념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27 김종명, "전통음악의 장단 분석을 통한 교수·학습 지도 방법 연구 : 중학교 1학년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8 정문주, "전통음악 장단 학습지도 방안 연구 : 2007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초등 3∼6학년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9 이성화, "장단의 세(勢) 지도에 관한 연구" 3 (3): 35-61, 2009
30 한윤이, "장단의 개념 및 지도 단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0
31 서경미, "자진모리장단의 효율적인 지도 방안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2 정연수, "음악교과서 민요장단 사용에 관한 연구 : 2007년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3 문교부, "음악과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442호"
34 교육부,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2호]"
35 교육부,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2-16호"
36 김연영, "산조 장단을 활용한 장단의 한배 개념 지도방안"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7 조민지, "브루너의 표상양식이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5·6학년 장단지도방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8 김동현, "민요부르기 기능 신장을 위한 체계적 장단 지도 방안" 14 (14): 263-292, 1999
39 이환희, "굿거리장단 형태 분석을 통한 단계적 지도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40 한강수, "굿거리와 중중모리 장단의 개념 및 지도 방안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41 유용환, "국악 장단학습 지도방안 연구 : 제7차 교육과정 초등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2 김혜지, "국악 개념학습을 위한 플립러닝 설계방안: 장단 개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43 정성미, "구음을 통한 장구장단 지도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08
44 한윤이, "‘장단의 세’에 대한 의미 고찰과 지도 방안"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7 (7): 209-239, 2013
45 유난희, "2009 개정 음악교과서 국악 가창곡 장단 분석 연구: 고등학교 ‘음악과 생활’ 교과서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46 하정애,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분석 연구: 3~6학년 가창의 장단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