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용평점이 감사보수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비상장 및 상장기업의 비교분석- = The Effect of Credit Rating on Determinants of Audit Fees-Comparative Analysis on Listed Firms and Non-listed Fir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949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audit fees and credit ratings evaluated by credit rating agencies. Especially, this study examines if the association differ between listed and non-listed firms.
      Both credit rating agencies and auditors use financial statement information. If both the agency and auditor use the financial information in the same extent, the credit ratings are expected not to be or only weakly associated with audit fees. It is because financial variables directly collected from financial statement will capture the same effect rather than credit ratings in determining audit fees. In contrast, if credit ratings represent not only financial information collected from financial statements but also other information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financial statement, and if the information is important, auditors are expected to use the credit rating information in setting audit planning. Because credit rating represents the firm-specific risk, it is expected that the risk influences audit fees in the latter case.
      Using 34,520 non-listed firms’ and 6,061 listed firms’ data collected over the period of 2004 to 2007,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se predictions. Ou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non-listed firms’ audit fees are associated with credit ratings, whereas listed firms’ audit fees are not. Specifically, the credit ratings of prior period is incrementally associated with current audit fees after controlling for other known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audit fees. This result implies that auditors set higher fees by observing poor credit ratings. These associations become stronger for smaller companies, like the firms subject to external audit law. When this study separates auditors to Big 4 and non-Big 4, this study finds the same association for both groups of audi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auditors and credit rating agencies use not only financial statement information but also other information in setting audit fees or credit ratings for non-listed firms. It could be due to the fact that the quality of financial statement information of non-listed firms is not as reliable as that of listed firm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audit fees and credit ratings evaluated by credit rating agencies. Especially, this study examines if the association differ between listed and non-listed firms. Both credit rating agencies and auditors us...

      This study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audit fees and credit ratings evaluated by credit rating agencies. Especially, this study examines if the association differ between listed and non-listed firms.
      Both credit rating agencies and auditors use financial statement information. If both the agency and auditor use the financial information in the same extent, the credit ratings are expected not to be or only weakly associated with audit fees. It is because financial variables directly collected from financial statement will capture the same effect rather than credit ratings in determining audit fees. In contrast, if credit ratings represent not only financial information collected from financial statements but also other information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financial statement, and if the information is important, auditors are expected to use the credit rating information in setting audit planning. Because credit rating represents the firm-specific risk, it is expected that the risk influences audit fees in the latter case.
      Using 34,520 non-listed firms’ and 6,061 listed firms’ data collected over the period of 2004 to 2007,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se predictions. Ou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non-listed firms’ audit fees are associated with credit ratings, whereas listed firms’ audit fees are not. Specifically, the credit ratings of prior period is incrementally associated with current audit fees after controlling for other known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audit fees. This result implies that auditors set higher fees by observing poor credit ratings. These associations become stronger for smaller companies, like the firms subject to external audit law. When this study separates auditors to Big 4 and non-Big 4, this study finds the same association for both groups of audi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auditors and credit rating agencies use not only financial statement information but also other information in setting audit fees or credit ratings for non-listed firms. It could be due to the fact that the quality of financial statement information of non-listed firms is not as reliable as that of listed fir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감사인이 해당 고객기업의 감사보수 책정과정에서 전문적인 외부 신용평가기관의 신용평점을 감사위험(신용위험)으로 고려하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신용평점의 산출은 신용평가기관이 주로 재무제표 자료에 기초하므로, 본 연구는 회계정보의 신뢰성에 차이가 있는 비상장기업과 상장기업에 대하여 각각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기간은 2004년부터 2007년까지로 비상장기업 34,520개 및 상장기업 6,061개 기업-연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논문의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감사보수의 일반적인 결정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상장기업과 달리 비상장기업을 감사하는 감사인은 신용평가기관의 신용평점을 반영하여 감사보수를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기 신용평점이 낮은 비상장기업에 대하여 감사인의 감사보수가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비상장기업 중에서도 금감위등록기업보다는 기업규모가 훨씬 작은 외감대상기업에서 나타났다. 한편, 상장기업을 감사하는 감사인은 신용평가기관의 신용평점을 감사보수 결정에 반영한다는 결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은 감사인 유형을 Big 4와 Non-Big 4로 구분한 결과에서도 모두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검증결과로 볼 때, 비상장기업은 상장기업에 비해 회계정보의 신뢰성이 낮은 관계로 비상장기업을 감사하는 감사인은 외부 신용평가기관의 신용평점을 감사보수 결정시에 보다 중요한 지표로 활용한다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기업의 상장여부에 따라 신용평가기관의 신용위험을 감사인이 감사보수 책정과정에 고려되는데 있어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는 규제기관에게는 비상장기업에 대한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인 정책결정에도 유익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감사인이 해당 고객기업의 감사보수 책정과정에서 전문적인 외부 신용평가기관의 신용평점을 감사위험(신용위험)으로 고려하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신용평점의 산출은 신용평가...

      본 논문은 감사인이 해당 고객기업의 감사보수 책정과정에서 전문적인 외부 신용평가기관의 신용평점을 감사위험(신용위험)으로 고려하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신용평점의 산출은 신용평가기관이 주로 재무제표 자료에 기초하므로, 본 연구는 회계정보의 신뢰성에 차이가 있는 비상장기업과 상장기업에 대하여 각각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기간은 2004년부터 2007년까지로 비상장기업 34,520개 및 상장기업 6,061개 기업-연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논문의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감사보수의 일반적인 결정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상장기업과 달리 비상장기업을 감사하는 감사인은 신용평가기관의 신용평점을 반영하여 감사보수를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기 신용평점이 낮은 비상장기업에 대하여 감사인의 감사보수가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비상장기업 중에서도 금감위등록기업보다는 기업규모가 훨씬 작은 외감대상기업에서 나타났다. 한편, 상장기업을 감사하는 감사인은 신용평가기관의 신용평점을 감사보수 결정에 반영한다는 결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은 감사인 유형을 Big 4와 Non-Big 4로 구분한 결과에서도 모두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검증결과로 볼 때, 비상장기업은 상장기업에 비해 회계정보의 신뢰성이 낮은 관계로 비상장기업을 감사하는 감사인은 외부 신용평가기관의 신용평점을 감사보수 결정시에 보다 중요한 지표로 활용한다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기업의 상장여부에 따라 신용평가기관의 신용위험을 감사인이 감사보수 책정과정에 고려되는데 있어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는 규제기관에게는 비상장기업에 대한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인 정책결정에도 유익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문태, "회사채 신용등급의 이익조정 통제효과" 한국증권학회 35 (35): 45-74, 2006

      2 박현섭, "회사채 신용등급에 대한 차별적 시장반응" 30 (30): 277-305, 2005

      3 전규안,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와 발생액 정보가 감사시간과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38 (38): 319-350, 2009

      4 최관, "회계부정기업의 특성에 관한 연구: 감리지적기업을 중심으로" 한국회계학회 28 (28): 211-243, 2003

      5 신용인, "초도감사 보수할인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학회 32 (32): 173-208, 2007

      6 노준화, "지정감사인이 더 높은 감사보수를 받는가?" 한국회계학회 28 (28): 177-202, 2003

      7 황인태, "지정감사인의 감사보수는 과연 적정한가?" 15 (15): 91-122, 2006

      8 오희장, "지정감사인의 감사보수는 과연 적정한가?" 15 (15): 91-122, 2003

      9 박종성, "재무제표 왜곡가능성이 감사투입시간 및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세무학회 9 (9): 223-247, 2008

      10 오희장, "이익조정이 신용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 20 (20): 79-103, 2005

      1 김문태, "회사채 신용등급의 이익조정 통제효과" 한국증권학회 35 (35): 45-74, 2006

      2 박현섭, "회사채 신용등급에 대한 차별적 시장반응" 30 (30): 277-305, 2005

      3 전규안,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와 발생액 정보가 감사시간과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38 (38): 319-350, 2009

      4 최관, "회계부정기업의 특성에 관한 연구: 감리지적기업을 중심으로" 한국회계학회 28 (28): 211-243, 2003

      5 신용인, "초도감사 보수할인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학회 32 (32): 173-208, 2007

      6 노준화, "지정감사인이 더 높은 감사보수를 받는가?" 한국회계학회 28 (28): 177-202, 2003

      7 황인태, "지정감사인의 감사보수는 과연 적정한가?" 15 (15): 91-122, 2006

      8 오희장, "지정감사인의 감사보수는 과연 적정한가?" 15 (15): 91-122, 2003

      9 박종성, "재무제표 왜곡가능성이 감사투입시간 및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세무학회 9 (9): 223-247, 2008

      10 오희장, "이익조정이 신용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 20 (20): 79-103, 2005

      11 주인기, "외부감사보수체계 개선방안" 한국공인회계사회 1997

      12 최관, "외부감사보수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피감사회사의 특성별분석과 외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7 (7): 61-86, 1998

      13 최국현, "신용등급평가가 경영자의 이익조정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회계정보학회 24 (24): 125-158, 2006

      14 지현미, "소송위험이 감사시간과 감사인의 보수주의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인회계사회 (43) : 311-336, 2006

      15 이경태, "소송위험이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학회 16 (16): 53-79, 2007

      16 조현우, "사외이사의 특성과 감사품질이 이익조정과 KIS 신용평점과의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정보학회 24 (24): 141-171, 2006

      17 박종일, "비정상적인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이 재량적 발생액에 미치는 영향" 한국세무학회 10 (10): 265-301, 2009

      18 박종일, "비정상 감사보수와 감사품질이 비정상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인회계사회 (45) : 119-159, 2007

      19 나영, "기업어음 신용평가모형의 개발에 따른 비재무정보의 유용성" 한국회계학회 11 (11): 12-64, 2002

      20 최준석, "기업어음 신용등급 변경의 정보효과" 16 (16): 339-365, 1994

      21 강내철, "기업실패위험이 감사보수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인회계사회 (41) : 219-239, 2005

      22 이기세, "경영자의 이익조정 행위와 보수주의 회계처리가 KIS신용평점에 미치는 영향" 2007

      23 최관, "감사인의 유형과 감사품질:감사보수와 감사시간을 중심으로" 23 (23): 49-75, 1998

      24 최관, "감사인의 유형과 감사품질:감사보수 자유화를 전후로 한 실증분석" 성균관대학교 2000

      25 노준화, "감사인 유지제도가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학회 29 (29): 207-230, 2004

      26 권수영, "감사시간과 감사품질이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학회 30 (30): 47-76, 2005

      27 권수영, "감사보수의 결정요인과 감사보수체계 변화로 인한 효과분석" 한국회계학회 26 (26): 115-143, 2001

      28 박종일, "감사보수와 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한국공인회계사회 (42) : 167-207, 2005

      29 이세용, "감사보수 자율화 이후 감사보수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비감사서비스와 기업지배구조의 영향을 중심으로" 30 (30): 239-271, 2005

      30 Palmrose, Z., "The Relation of Audit Contract Type to Audit Fees and Hour" 64 : 488-499, 1989

      31 Simunic, D., "The Pricing of Audit Service:Theory and Evidence" 18 : 161-190, 1980

      32 Simon, D., "The Effects of Auditor Changes on Audit Fees:Tests of Price Cutting and Price Recovery" 63 : 255-269, 1988

      33 Hand, J.R., "The Effect of Bond Rating Agency Announcements on Bond and Stock Prices" 47 (47): 733-752, 1992

      34 Francis, J., "The Effect of Audit Firm Size on Audit Prices:A Study of the Australian Market" 6 : 133-151, 1984

      35 Simon, D., "The Audit Services Market:Additional Empirical Evidence" 5 (5): 71-78, 1985

      36 Choi, J.H., "The Asymmetric Association between Audit Quality and Fees Paid to Audit Firms:Revisited" A Journal of Practice and Theory 2009

      37 Francis, J., "Test of Audit Pricing in the Small Client Segment of the U.S. Audit Market" 62 : 145-157, 1987

      38 Kaplan, R., "Statistical Models of Bond Ratings:A Methodical Inquiry" 52 (52): 231-261, 1979

      39 Chaney, P., "Self-Selection of Auditors and Audit Pricing in Private Firms" Vanderbilt University 2004

      40 Reynolds, J.L., "Professional Service Fees and Auditor Objectivity" 23 : 29-52, 2004

      41 Maher, M., "Pricing of Audit Services:Additional Evidence" 67 : 199-211, 1992

      42 Rubin, M.A., "Municipal Audit Fee Determinants" 63 : 219-236, 1988

      43 나영, "IMF이후 신용등급예측에 있어서 재무정보의 유용성" 한국회계정보학회 21 : 211-235, 2003

      44 Francis, J., "Audit Prices, Product Differentiation and Scale of Economies:Further Evidence from the Australian Market" 24 : 383-393, 1986

      45 Palmrose, Z., "Audit Fees and Auditor Size:Further Evidence" 24 : 97-110, 1986

      46 Palmrose, Z., "An Analysis of Auditor Litigation and Audit Service Quality" 63 : 55-73, 1988

      47 Firth, M., "An Analysis of Audit Fees and Their Determinants in New Zealand" 4 (4): 23-37,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 2.08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