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Cell Church의 批評的 分析을 통한 改革主義的 Cell 牧會 方案 = A Methods for Reformed Cell Ministry though Critical Analysis of Cell Chu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341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critical analysis and theological basis on Cell Church which is currently emerging to recover the community which the modern society requires and to overcome dismantlement and negligence of community, extreme individualism and bureaucracy of traditional church in the midst of rapidly changing 21st Century society. The application of reformed Cell ministry can be sought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first, to understand Cell Church through overall study on it. Secondly, consider benefits and shortfalls of Cell Church and theological issues through critical analysis and evaluation on Cell Church based on reformed ministry theory. Thirdly, search for ministry applicable foundation by providing theological groundwork of reformed Cell ministry. Fourthly, provide practical ways to apply and change to reformed cell ministry through such study.
      The study questions of this thesis are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ell Church ministry method? Second, what are the theoretical, practical challenges and theological issues of Cell Church? Third, what are the historical, theological basis of reformism for reformed Cell ministry? Fourth, what are the practical application measure for admirable reformed Cell ministry?
      The thesis consists of six Chapters, and the topics for each are as following: Chapter 1 is introduction; Chapter 2, the understanding of Cell Church and a need for study on Cell ministry; Chapter 3, critical analysis and evaluation of Cell Church; Chapter 4, theological and historical basic of reformed Cell ministry; Chapter 5, practical application of reformed Cell ministry; and Chapter 6, conclusion.
      The content of the study is first, preceding examination on Cell Church study and then closer look at Cell Church, ministry th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inistry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ecessity of Cell ministry. Secondly, problems of Cell Church and theological analysis, church historical analysis on Cell Group and case study of Cell ministry application principle on Ilsan Hansomang Church for analysis on Cell ministry application were studied. Thirdly, history of reformed Cell ministry and providing reformed Cell ministry theology were considered. Fourthly, role of the leader in Cell ministry, transformation method towards Cell ministry, Cell ministry's training method, and promotion method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Cell ministry were searched. The specific details are as follows.
      Chapter 1 is introduction that gives overall explanation on issues raised, purpose and meaning of the study, method and scope of the study, questions and term definitions, and assumptions of the study to provide direction of the study.
      Chapter 2 considers historical background and Cell Church development in Korea as part of preceding examination on Cell Church study. As part of theoretical examination, the history of Cell Church were studi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ell Church. The study was made on early church and Cell Group, Cell ministry model before religious reforms such as The Unity of the Brotherhood, Luther and Wesley's small group movement, George Whitefield's small group movement, small group movement of chinese churches under communism, modern day discipleship training movement and Cell ministry model presented in gift movement. Next, characteristics of Cell Church were examined to find out first, Cells were considered small church within a church; second, Cell Church considers Cell group and large group congregation as two wings; third, Cell Church theory emphasize importance of priesthood ministry for all congregation. That is, "all believers are ministers." Fourthly, Cell itself is considered church community.
      Regarding ministerial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Cell Church, first, the spirit of Cell Church regards ordinary believers as ministers, and second, in terms of christianity educational aspect, Cell has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a small group.
      Regarding ministry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 of Cell Church, its structure and ministry principles were examined. When classifying Cell structure into model types, first, there is Church school and Cell combination model; second, Cell Staff Model; third, G-12 Model; fourth, Band Model; and fifth, 5×5 Model. Finally, regarding the need for study on Cell ministry, aspects of social cultural paradigm, church growth, effectiveness, and future were discussed.
      In Chapter 3, theoretical and practical problems of Cell Church were pointed out as critical analysis and evaluation on Cell Church. Regarding theoretical issues, wrong understanding on the concept of Cell, contradiction on the concept of minister, situation-centered and biased bible education and sermon on evangelism, misuse of gifts of holy spirit and revelations were pointed out.
      Regarding practical problems, too much dependency on the leader, closed Cell group fellowship, deterioration of sermon and bible study, difficulty in forming consistent relationship, limitations of gathering places, and limits of special ministry were pointed out.
      Regarding church historical analysis and evaluation on Cell Group,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gainst traditional small groups were pointed out. The similarities are that both required small group gatherings per period and both claim for the recovery of church suggested in the new testament through harmonization between the small and large groups, and that these small group movements have continued on in the church history. The difference is that Cell is considered the essence of church, that is, Cell is considered the church and there are differences regarding interpretation of the role of the holy spirit.
      During theological analysis of Cell Church, difference in form between Cell Church and traditional church and theological difference between reformed church and Cell Church were examined through theological analysis on church theory of Cell Churc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critical analysis and theological basis on Cell Church which is currently emerging to recover the community which the modern society requires and to overcome dismantlement and negligence of community, extreme i...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critical analysis and theological basis on Cell Church which is currently emerging to recover the community which the modern society requires and to overcome dismantlement and negligence of community, extreme individualism and bureaucracy of traditional church in the midst of rapidly changing 21st Century society. The application of reformed Cell ministry can be sought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first, to understand Cell Church through overall study on it. Secondly, consider benefits and shortfalls of Cell Church and theological issues through critical analysis and evaluation on Cell Church based on reformed ministry theory. Thirdly, search for ministry applicable foundation by providing theological groundwork of reformed Cell ministry. Fourthly, provide practical ways to apply and change to reformed cell ministry through such study.
      The study questions of this thesis are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ell Church ministry method? Second, what are the theoretical, practical challenges and theological issues of Cell Church? Third, what are the historical, theological basis of reformism for reformed Cell ministry? Fourth, what are the practical application measure for admirable reformed Cell ministry?
      The thesis consists of six Chapters, and the topics for each are as following: Chapter 1 is introduction; Chapter 2, the understanding of Cell Church and a need for study on Cell ministry; Chapter 3, critical analysis and evaluation of Cell Church; Chapter 4, theological and historical basic of reformed Cell ministry; Chapter 5, practical application of reformed Cell ministry; and Chapter 6, conclusion.
      The content of the study is first, preceding examination on Cell Church study and then closer look at Cell Church, ministry th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inistry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ecessity of Cell ministry. Secondly, problems of Cell Church and theological analysis, church historical analysis on Cell Group and case study of Cell ministry application principle on Ilsan Hansomang Church for analysis on Cell ministry application were studied. Thirdly, history of reformed Cell ministry and providing reformed Cell ministry theology were considered. Fourthly, role of the leader in Cell ministry, transformation method towards Cell ministry, Cell ministry's training method, and promotion method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Cell ministry were searched. The specific details are as follows.
      Chapter 1 is introduction that gives overall explanation on issues raised, purpose and meaning of the study, method and scope of the study, questions and term definitions, and assumptions of the study to provide direction of the study.
      Chapter 2 considers historical background and Cell Church development in Korea as part of preceding examination on Cell Church study. As part of theoretical examination, the history of Cell Church were studi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ell Church. The study was made on early church and Cell Group, Cell ministry model before religious reforms such as The Unity of the Brotherhood, Luther and Wesley's small group movement, George Whitefield's small group movement, small group movement of chinese churches under communism, modern day discipleship training movement and Cell ministry model presented in gift movement. Next, characteristics of Cell Church were examined to find out first, Cells were considered small church within a church; second, Cell Church considers Cell group and large group congregation as two wings; third, Cell Church theory emphasize importance of priesthood ministry for all congregation. That is, "all believers are ministers." Fourthly, Cell itself is considered church community.
      Regarding ministerial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Cell Church, first, the spirit of Cell Church regards ordinary believers as ministers, and second, in terms of christianity educational aspect, Cell has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a small group.
      Regarding ministry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 of Cell Church, its structure and ministry principles were examined. When classifying Cell structure into model types, first, there is Church school and Cell combination model; second, Cell Staff Model; third, G-12 Model; fourth, Band Model; and fifth, 5×5 Model. Finally, regarding the need for study on Cell ministry, aspects of social cultural paradigm, church growth, effectiveness, and future were discussed.
      In Chapter 3, theoretical and practical problems of Cell Church were pointed out as critical analysis and evaluation on Cell Church. Regarding theoretical issues, wrong understanding on the concept of Cell, contradiction on the concept of minister, situation-centered and biased bible education and sermon on evangelism, misuse of gifts of holy spirit and revelations were pointed out.
      Regarding practical problems, too much dependency on the leader, closed Cell group fellowship, deterioration of sermon and bible study, difficulty in forming consistent relationship, limitations of gathering places, and limits of special ministry were pointed out.
      Regarding church historical analysis and evaluation on Cell Group,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gainst traditional small groups were pointed out. The similarities are that both required small group gatherings per period and both claim for the recovery of church suggested in the new testament through harmonization between the small and large groups, and that these small group movements have continued on in the church history. The difference is that Cell is considered the essence of church, that is, Cell is considered the church and there are differences regarding interpretation of the role of the holy spirit.
      During theological analysis of Cell Church, difference in form between Cell Church and traditional church and theological difference between reformed church and Cell Church were examined through theological analysis on church theory of Cell Chur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연구동기와 목적은 21세기 급변하는 사회변화 속에서 전통적인 교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공동체성의 해체와 소외현상, 지나친 개인주의와 관료화 현상을 극복하고 공동체성 회복을 위해 대두되고 있는 Cell Church에 대한 비평적 분석을 통해,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신학적 기초를 제시하고, 개혁주의적 Cell 목회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논문의 연구 의의는 첫째, Cell Church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통해 Cell Church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게 하는 점이다. 둘째, 개혁주의 목회론을 토대로 Cell Church에 대하여 비평적 분석과 평가를 통해 Cell Church의 장, 단점과 신학적 문제점을 고찰한 점이다. 셋째,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신학적 기초를 제시함으로 목회적용의 근거를 모색한 점이다. 넷째,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개혁주의적 Cell 목회로의 전환과 적용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의 연구 질문은 첫째, Cell Church의 이해로서 Cell Church의 목회 방법론적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Cell Church의 이론적, 실천적 문제점과 신학적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개혁주의적 Cell 목회를 위한 개혁주의의 역사적, 신학적 기초는 무엇인가? 넷째, 바람직한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실제적인 적용방안은 무엇인가? 이다.
      본 논문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별 주제는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 제2장 Cell Church의 일반적 이해, 제3장 Cell Church의 비평적 분석과 평가, 제4장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역사와 신학적 기초, 제5장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실제적 적용방안, 제6장 결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은 첫째, Cell Church 연구에 대한 선행적 고찰과 Cell Church에 대한 연구, 목회 신학적 특징과 목회 방법론적 특징으로 이루어져 있다. 둘째, Cell Church의 문제점과 신학적 분석, Cell Group에 대한 교회사적 분석과 Cell 목회 적용사례에 대한 분석으로 일산 한소망 교회의 Cell 목회 적용원리에 대한 사례연구로 이루어졌다. 셋째,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역사와 신학적 고찰에서 개혁주의 Cell Group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개혁주의적 Cell 목회 신학을 제시하였다. 넷째,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실제적 적용방안으로 Cell 목회에서의 목회자의 역할, Cell 목회로의 전환 방안, Cell 목회의 양육방안,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였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서론적 연구로써 본 연구를 위한 문제제기, 연구의 의의와 목적, 연구의 방법과 범위, 연구 질문과 용어 정의, 연구의 가정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함으로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먼저 Cell Church 연구에 대한 선행적 고찰로서 Cell Church 연구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한국 내 Cell Church 발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고찰로써 Cell Church에 대한 이해를 위해 먼저 Cell Church의 교회사적 고찰이 이루어졌다. 그 내용은 초대교회와 Cell Group, 종교개혁 이전의 Cell 사역 Model로서 Bohemia 형제단, Luther와 John Wesley의 소그룹 운동, George Whitefield의 소그룹 운동, 현대 제자훈련 운동과 은사운동에 나타난 Cell 사역 Model 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다음으로 Cell Church가 가지는 교회론의 특징을 살펴 첫째, Cell을 교회속의 작은 교회로 여긴다는 점. 둘째, Cell Church는 Cell Group과 대그룹 회중 모임을 두 날개로 여긴다는 점. 셋째, Cell Church 교회론의 특징은 전 신자 제사장직을 사역적인 측면에서까지 실천을 강조한다는 점. 즉 ‘모든 성도는 목회자’라고 본다는 점. 넷째, Cell 자체를 공동체적 교회로 본다는 점 등을 알 수 있었다.
      Cell Church의 목회 신학적 특징에 대해서는 첫째, Cell Church의 정신인 평신도 신학적인 측면에서는 평신도 신학으로 지칭되는 평신도에 대한 재발견과 평신도를 사역자로 인정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고, 둘째, 기독교 교육학적 측면으로는 Cell은 소그룹이 가지는 특성과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ell Church 목회 방법론적 특징으로는 Cell Church 구조와 사역원리를 고찰하였는데, Cell의 구조는 Model 유형에 따라 분류하면 첫째, 교회학교와 Cell 혼합 Model, 둘째 Cell Staff Model, 셋째 G-12 Model, 넷째 Band Model, 다섯째 5×5 Model들로 구분함을 알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Cell Church의 비평적 분석과 평가로서 먼저 Cell Church의 이론적, 실천적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Cell Church의 이론적 문제점으로는 Cell 개념에 대한 잘못된 인식, 사역자 개념의 모순, 전도와 상황 중심의 편향된 성경 교육과 설교, 성령의 은사와 계시의 오용을 문제점으로 제시하였다. Cell Church의 실천적 문제점으로는 Leader에 대한 지나친 의존성, Cell Group 교제의 폐쇄성, 설교와 성경공부의 약화, 지속적인 관계 형성의 어려움, 모임 장소의 한계성, 특수 사역의 제한성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Cell Group에 대한 교회사적 분석과 평가에서는 Cell Group이 전통적 Small Group과의 공통점은 시대마다 소그룹 모임의 필요를 요구하였다는 점과 소그룹과 대그룹의 원만한 조화를 통한 신약성경이 제시하는 교회로서의 회복을 주장한다는 점이고, 이러한 소그룹 운동의 형태는 교회사에서 계속되어 왔다는 점이다. 그 차이점은 전통적인 소
      번역하기

      본 논문의 연구동기와 목적은 21세기 급변하는 사회변화 속에서 전통적인 교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공동체성의 해체와 소외현상, 지나친 개인주의와 관료화 현상을 극복하고 공동체성 회복...

      본 논문의 연구동기와 목적은 21세기 급변하는 사회변화 속에서 전통적인 교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공동체성의 해체와 소외현상, 지나친 개인주의와 관료화 현상을 극복하고 공동체성 회복을 위해 대두되고 있는 Cell Church에 대한 비평적 분석을 통해,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신학적 기초를 제시하고, 개혁주의적 Cell 목회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논문의 연구 의의는 첫째, Cell Church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통해 Cell Church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게 하는 점이다. 둘째, 개혁주의 목회론을 토대로 Cell Church에 대하여 비평적 분석과 평가를 통해 Cell Church의 장, 단점과 신학적 문제점을 고찰한 점이다. 셋째,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신학적 기초를 제시함으로 목회적용의 근거를 모색한 점이다. 넷째,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개혁주의적 Cell 목회로의 전환과 적용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의 연구 질문은 첫째, Cell Church의 이해로서 Cell Church의 목회 방법론적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Cell Church의 이론적, 실천적 문제점과 신학적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개혁주의적 Cell 목회를 위한 개혁주의의 역사적, 신학적 기초는 무엇인가? 넷째, 바람직한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실제적인 적용방안은 무엇인가? 이다.
      본 논문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별 주제는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 제2장 Cell Church의 일반적 이해, 제3장 Cell Church의 비평적 분석과 평가, 제4장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역사와 신학적 기초, 제5장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실제적 적용방안, 제6장 결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은 첫째, Cell Church 연구에 대한 선행적 고찰과 Cell Church에 대한 연구, 목회 신학적 특징과 목회 방법론적 특징으로 이루어져 있다. 둘째, Cell Church의 문제점과 신학적 분석, Cell Group에 대한 교회사적 분석과 Cell 목회 적용사례에 대한 분석으로 일산 한소망 교회의 Cell 목회 적용원리에 대한 사례연구로 이루어졌다. 셋째,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역사와 신학적 고찰에서 개혁주의 Cell Group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개혁주의적 Cell 목회 신학을 제시하였다. 넷째,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실제적 적용방안으로 Cell 목회에서의 목회자의 역할, Cell 목회로의 전환 방안, Cell 목회의 양육방안,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였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서론적 연구로써 본 연구를 위한 문제제기, 연구의 의의와 목적, 연구의 방법과 범위, 연구 질문과 용어 정의, 연구의 가정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함으로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먼저 Cell Church 연구에 대한 선행적 고찰로서 Cell Church 연구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한국 내 Cell Church 발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고찰로써 Cell Church에 대한 이해를 위해 먼저 Cell Church의 교회사적 고찰이 이루어졌다. 그 내용은 초대교회와 Cell Group, 종교개혁 이전의 Cell 사역 Model로서 Bohemia 형제단, Luther와 John Wesley의 소그룹 운동, George Whitefield의 소그룹 운동, 현대 제자훈련 운동과 은사운동에 나타난 Cell 사역 Model 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다음으로 Cell Church가 가지는 교회론의 특징을 살펴 첫째, Cell을 교회속의 작은 교회로 여긴다는 점. 둘째, Cell Church는 Cell Group과 대그룹 회중 모임을 두 날개로 여긴다는 점. 셋째, Cell Church 교회론의 특징은 전 신자 제사장직을 사역적인 측면에서까지 실천을 강조한다는 점. 즉 ‘모든 성도는 목회자’라고 본다는 점. 넷째, Cell 자체를 공동체적 교회로 본다는 점 등을 알 수 있었다.
      Cell Church의 목회 신학적 특징에 대해서는 첫째, Cell Church의 정신인 평신도 신학적인 측면에서는 평신도 신학으로 지칭되는 평신도에 대한 재발견과 평신도를 사역자로 인정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고, 둘째, 기독교 교육학적 측면으로는 Cell은 소그룹이 가지는 특성과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ell Church 목회 방법론적 특징으로는 Cell Church 구조와 사역원리를 고찰하였는데, Cell의 구조는 Model 유형에 따라 분류하면 첫째, 교회학교와 Cell 혼합 Model, 둘째 Cell Staff Model, 셋째 G-12 Model, 넷째 Band Model, 다섯째 5×5 Model들로 구분함을 알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Cell Church의 비평적 분석과 평가로서 먼저 Cell Church의 이론적, 실천적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Cell Church의 이론적 문제점으로는 Cell 개념에 대한 잘못된 인식, 사역자 개념의 모순, 전도와 상황 중심의 편향된 성경 교육과 설교, 성령의 은사와 계시의 오용을 문제점으로 제시하였다. Cell Church의 실천적 문제점으로는 Leader에 대한 지나친 의존성, Cell Group 교제의 폐쇄성, 설교와 성경공부의 약화, 지속적인 관계 형성의 어려움, 모임 장소의 한계성, 특수 사역의 제한성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Cell Group에 대한 교회사적 분석과 평가에서는 Cell Group이 전통적 Small Group과의 공통점은 시대마다 소그룹 모임의 필요를 요구하였다는 점과 소그룹과 대그룹의 원만한 조화를 통한 신약성경이 제시하는 교회로서의 회복을 주장한다는 점이고, 이러한 소그룹 운동의 형태는 교회사에서 계속되어 왔다는 점이다. 그 차이점은 전통적인 소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Introduction) = 1
      • 제1절 문제제기 = 1
      • 제2절 연구의 목적과 의의 = 4
      • 제3절 연구 방법과 내용 = 6
      • 제4절 연구 질문과 유용성 = 7
      • 제1장 서론(Introduction) = 1
      • 제1절 문제제기 = 1
      • 제2절 연구의 목적과 의의 = 4
      • 제3절 연구 방법과 내용 = 6
      • 제4절 연구 질문과 유용성 = 7
      • 제2장 Cell Church의 일반적 이해 = 10
      • 제1절 Cell Church 연구에 대한 선행적 고찰 = 10
      • 1. Cell Church 연구에 대한 역사적 배경 = 10
      • 2. 한국 내 Cell Church 발전에 대한 고찰 = 11
      • 제2절 Cell Church에 대한 이해 = 13
      • 1. Cell Church의 교회사적 고찰 = 13
      • (1) 예수님과 초대교회의 Cell Group = 13
      • (2) Milan 칙령 이후의 시대 = 15
      • (3) 종교개혁 이전의 Cell Group Model = 16
      • (4) Wesley의 Class와 Whitfield의 Cell Group = 19
      • (5) 현대교회시대의 Cell Church = 20
      • 2. Cell Church 교회론 = 22
      • (1) 교회속의 작은 교회로서의 Cell = 22
      • (2) Cell Group과 대그룹의 두 날개 원리 = 23
      • (3) 전 신자 제사장직(every believer's priesthood) 교리 = 24
      • (4) 공동체적 교회 = 31
      • 제3절 Cell Church의 목회 신학적 특징 = 33
      • 1. 평신도 신학적 특징 = 33
      • 2. 기독교 교육학적 의미 = 34
      • 제4절 Cell Church의 목회 방법론적 특징 = 35
      • 1. Cell Church 목회구조 = 35
      • 2. 사역원리 = 38
      • 3. Cell Model Type = 40
      • (1) 교회학교와 Cell의 혼합 Model = 40
      • (2) Cell Staff Model = 41
      • (3) G-12 Model = 42
      • (4) Band Model = 43
      • (5) 5×5 Model = 43
      • 제3장 Cell Church 목회사례의 비평적 분석 = 46
      • 제1절 Cell Church의 문제점 = 46
      • 1. 이론적 문제점 = 46
      • 2. 실천적 문제점 = 52
      • 제2절 Cell Group에 대한 교회사적 분석 = 57
      • 1. 전통적 Small Group과의 공통점 = 57
      • (1) 시대적 요청 = 57
      • (2) 성경적 가르침의 회복 = 59
      • (3) Cell Group의 역사성 = 59
      • 2. 교회사에 등장한 Small Group과의 차이점 = 60
      • (1) 교회 본질 해석의 차이 = 61
      • (2) 성령 체험 해석의 문제 = 62
      • 3. 교회사에 등장한 Cell Group에 대한 평가 = 64
      • 제3절 Cell Church의 신학적 분석 = 68
      • 1. Cell Church 교회론에 대한 분석 = 68
      • (1) 전통교회와 Cell Church의 구조적 특징 = 68
      • (2) 개혁주의 교회와 Cell Church의 신학적 차이 = 70
      • 2. 성찬과 성찬 집례자에 대한 분석 = 72
      • (1) 성찬에 대한 견해 = 72
      • (2) 성찬 집례자의 역할 = 76
      • 3. Cell Church 성령론 이해에 대한 분석 = 79
      • (1) Cell Church 성령론 이해에 대한 역사적 배경 = 79
      • (2) 전통적 Cell Church에서의 성령의 역할 = 80
      • (3) 성령론 이해의 견해에 대한 분석 = 83
      • 제4절 Cell 목회 적용사례에 대한 분석- 일산 한소망 교회 = 87
      • 1. 한소망 교회 Cell Church 목회신학 = 87
      • (1) 교회의 기초로서의 Cell = 87
      • (2) 교회론에 대한 이해 = 89
      • (3) 구원론에 대한 이해 = 90
      • (4) 두 날개로 비상하는 교회 = 91
      • 2. 한소망 교회 Cell 목회 적용에 대한 평가 = 91
      • 제4장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역사와 신학 = 94
      • 제1절 Cell Group에 대한 역사적 고찰 = 94
      • 1. Calvin의 Cell Group = 94
      • 2. 청교도 운동에 나타난 Cell Group = 95
      • 3. 경건주의 운동의 Cell Group = 96
      • 제2절 Cell 목회의 신학적 기초 = 97
      • 1. 공동체 신학 = 97
      • (1) 삼위일체 신학 = 98
      • (2) 공동체 신학 = 99
      • 2. κοι'νωνι'α 신학 = 105
      • (1) 생명의 본질로서의 κοι'νωνι'α = 105
      • (2) κοι'νωνι'α의 회복 = 106
      • (3) εκκλησι'α와 κοι'νωνι'α = 108
      • 3. 개혁주의적 Cell 목회를 위한 평신도 신학 = 110
      • (1) 평신도의 개념 = 110
      • (2) 평신도의 사역의 역사적 고찰 = 112
      • (3) 평신도의 위치와 역할 = 116
      • 제3절 개혁주의적 Cell 목회신학 = 121
      • 1. Cell 목회의 교회론 = 122
      • 2. Cell 목회의 성례론 = 144
      • 3.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성령론 = 149
      • (1) 성령의 사역 이해 = 149
      • (2) 성령의 사역적 특징 = 151
      • (3) Calvin의 성화 교리 = 153
      • 제4절 Cell 목회의 필요성 = 154
      • 1. 사회문화적 Paradigm의 측면 = 154
      • 2. 교회성장적 측면 = 158
      • 3. 효율적 측면 = 159
      • 4. 미래적 측면 = 162
      • 제5장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적용 방안 = 168
      • 제1절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적용 방안 = 168
      • 1. Cell 목회를 위한 목회자의 역할 = 168
      • 2. Transformational Leadership과 Servant Leadership = 171
      • 3. Cell 목회로의 전환 방안 = 174
      • (1) 전환의 중요성 = 175
      • (2) Cell 목회로의 전환방법 = 178
      • (3) 전환의 과정 = 180
      • 제2절 개혁주의적 Cell 목회 방안 = 183
      • 1. Cell Leader 훈련의 4대 요소 = 184
      • 2. Cell 목회를 위한 양육 Curriculum = 188
      • (1) 제자훈련 과정 = 188
      • (2) 사역자 양성 과정 = 191
      • 제3절 Cell 목회 활성화 방안 = 193
      • 1. FLOCKS 이론을 통한 방안 = 193
      • 2. Cell Staff형 Model을 통한 Cell 활성화 방안 = 200
      • (1) Open Cell의 활용 = 200
      • (2) Closed Cell의 적용 = 201
      • (3) Cell Staff Model의 활성화 = 202
      • 3. 소그룹과 대그룹의 균형적 활성화 방안 = 204
      • 제4절 개혁주의적 Cell 목회의 전도와 선교 방안 = 208
      • 1. Oikos를 통한 전도 = 208
      • 2. 공동체를 통한 전도 = 213
      • 3. Cell Group 적용을 통한 선교 = 214
      • 제6장 결론(Conclusion) = 217
      • 제1절 연구 요약 = 218
      • 제2절 연구 결론과 제언 = 222
      • 참고문헌 = 224
      • 국문 초록 = 249
      • Abstract = 2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