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통업 종사자를 위한 기업형 소셜러닝 플랫폼의 만족감이 학습참여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s of distribution workers’ satisfaction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and achievement in social learning platfor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82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advance of smart devices and diversity of applications, social media and social network services are getting important in the current society. As a result, social media also have influenced on the way of workplace learning. However, in spite of their values regarding openness, participation, and sharing, it has been difficult to apply such widely accepted social media into the situation of vocational training in Korea due to the technical and administrative issues. In the present study, a newly developed social learning platform for enterprise was utilized to vocational training for 302 employees in an agriculture-related company during four weeks. The data from 112 survey participants, their log files left in the system, and the final evaluation score were analyzed to prove the effects of learners’ previous experiences of social media, their perceptions in regard to social learning on the satisfaction, participation, and their learning achievement in the social media-based vocational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revious experiences of social media did not impact directly to the satisfactory perceptions on social learning, their learn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performance; however, the satisfaction predicted the level of participation which also predicted learning achievement significantly. Such results implied that those who do not have enough proficiency in social media are also able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activity and social learning actively when given proper learning guide and tasks for the training program.
      번역하기

      With the advance of smart devices and diversity of applications, social media and social network services are getting important in the current society. As a result, social media also have influenced on the way of workplace learning. However, in spite ...

      With the advance of smart devices and diversity of applications, social media and social network services are getting important in the current society. As a result, social media also have influenced on the way of workplace learning. However, in spite of their values regarding openness, participation, and sharing, it has been difficult to apply such widely accepted social media into the situation of vocational training in Korea due to the technical and administrative issues. In the present study, a newly developed social learning platform for enterprise was utilized to vocational training for 302 employees in an agriculture-related company during four weeks. The data from 112 survey participants, their log files left in the system, and the final evaluation score were analyzed to prove the effects of learners’ previous experiences of social media, their perceptions in regard to social learning on the satisfaction, participation, and their learning achievement in the social media-based vocational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revious experiences of social media did not impact directly to the satisfactory perceptions on social learning, their learning participation, and learning performance; however, the satisfaction predicted the level of participation which also predicted learning achievement significantly. Such results implied that those who do not have enough proficiency in social media are also able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activity and social learning actively when given proper learning guide and tasks for the training progra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스마트 기기의 보급과 각종 소셜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확산으로 소셜미디어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점차 현대사회를 특징짓는 중요한 단면이자, 현대인의 일상을 변화시키고 있는 가장 영향력 있는 생활 도구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셜미디어가 교육현장에 활용되는 경우도 빈번해졌다. 그러나 알려진 소셜미디어들은 참여·개방·공유측면에서 교육적 활용가치가 높으나, 국내 기업의 직무교육현장에 활용될 경우 기술적·행정적 측면의 문제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기업형으로 개발된 소셜러닝 플랫폼을 배경으로 운영된 직무교육에서, 학습자의 사전 소셜미디어 경험과 소셜러닝에 대한 만족감이 참여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농․축․수산물의 판매와 유통을 맡고 있는 N社 임직원 302명을 대상으로 4주간 12차시로 직무교육을 실시하고, 설문조사결과와 교육기간 동안 학습자들이 시스템에 남긴 로그파일, 그리고 최종 학업성취도 결과를 통합하였다. 최종적으로 교육과정을 수료하고 설문조사에 충실히 참여한 112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셜미디어에 대한 사전경험(사전 SNS 활용 빈도)이 소셜러닝에 대한 만족도, 실제 학습참여도, 성취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소셜러닝에 대한 만족도는 학습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며, 이 참여도는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셜미디어에 대한 사전경험이 부족하더라도, 새로운 소셜러닝 환경에 얼마나 만족하였느냐가 실제 학습에 대한 참여도와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어, 소셜러닝을 위한 적절한 과제 및 학습 가이드 제공과 같은 학습 환경 설계와 운영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번역하기

      스마트 기기의 보급과 각종 소셜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확산으로 소셜미디어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점차 현대사회를 특징짓는 중요한 단면이자, 현대인의 일상을 변화시키고 있는 가장 ...

      스마트 기기의 보급과 각종 소셜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확산으로 소셜미디어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점차 현대사회를 특징짓는 중요한 단면이자, 현대인의 일상을 변화시키고 있는 가장 영향력 있는 생활 도구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셜미디어가 교육현장에 활용되는 경우도 빈번해졌다. 그러나 알려진 소셜미디어들은 참여·개방·공유측면에서 교육적 활용가치가 높으나, 국내 기업의 직무교육현장에 활용될 경우 기술적·행정적 측면의 문제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기업형으로 개발된 소셜러닝 플랫폼을 배경으로 운영된 직무교육에서, 학습자의 사전 소셜미디어 경험과 소셜러닝에 대한 만족감이 참여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농․축․수산물의 판매와 유통을 맡고 있는 N社 임직원 302명을 대상으로 4주간 12차시로 직무교육을 실시하고, 설문조사결과와 교육기간 동안 학습자들이 시스템에 남긴 로그파일, 그리고 최종 학업성취도 결과를 통합하였다. 최종적으로 교육과정을 수료하고 설문조사에 충실히 참여한 112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셜미디어에 대한 사전경험(사전 SNS 활용 빈도)이 소셜러닝에 대한 만족도, 실제 학습참여도, 성취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소셜러닝에 대한 만족도는 학습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며, 이 참여도는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셜미디어에 대한 사전경험이 부족하더라도, 새로운 소셜러닝 환경에 얼마나 만족하였느냐가 실제 학습에 대한 참여도와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어, 소셜러닝을 위한 적절한 과제 및 학습 가이드 제공과 같은 학습 환경 설계와 운영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영, "협동학습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한 성찰활동이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665-686, 2011

      2 이인숙, "참여적 실시간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정서, 정서 조절전략이 학습참여 및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Facebook환경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0 (30): 413-442, 2014

      3 임연욱, "이러닝 학습요소간 상관관계 연구" 2 (2): 118-121, 2008

      4 임규연,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자기효능감과 위키에 대한 불안이 참여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 (15): 65-74, 2012

      5 김정겸, "위키 기반 수업 환경에서 학습참여 활동과 학습효과와의 관계" 한국기술교육학회 9 (9): 181-198, 2009

      6 임규연, "웹기반 협력학습에서 참여와 상호작용의 차이에 대한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 (17): 69-78, 2014

      7 허희옥, "웹 2.0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블로그와 위키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 (13): 59-70, 2010

      8 유평준, "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229-267, 2003

      9 이수경, "스마트러닝 활성화 및 효과적 활용을 위한 시범 운영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고용노동부 2013

      10 이수경, "스마트러닝 2차 시범운영 사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고용노동부 2014

      1 김은영, "협동학습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한 성찰활동이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665-686, 2011

      2 이인숙, "참여적 실시간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정서, 정서 조절전략이 학습참여 및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Facebook환경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0 (30): 413-442, 2014

      3 임연욱, "이러닝 학습요소간 상관관계 연구" 2 (2): 118-121, 2008

      4 임규연,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자기효능감과 위키에 대한 불안이 참여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 (15): 65-74, 2012

      5 김정겸, "위키 기반 수업 환경에서 학습참여 활동과 학습효과와의 관계" 한국기술교육학회 9 (9): 181-198, 2009

      6 임규연, "웹기반 협력학습에서 참여와 상호작용의 차이에 대한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 (17): 69-78, 2014

      7 허희옥, "웹 2.0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블로그와 위키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 (13): 59-70, 2010

      8 유평준, "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229-267, 2003

      9 이수경, "스마트러닝 활성화 및 효과적 활용을 위한 시범 운영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고용노동부 2013

      10 이수경, "스마트러닝 2차 시범운영 사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고용노동부 2014

      11 이수경, "수행지원도구로서 모바일 기술의 적용: 해외 기업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업교육학회 16 (16): 187-215, 2014

      12 박동선,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기업경영 성과와 사례" 2014 (2014): 202-215, 2014

      13 김소영, "소셜미디어 활용 학습에서 대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참여행동, 학습성과 간의 관계 분석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26 (26): 91-114, 2014

      14 전숙경, "소셜미디어 의사소통에 대한 교육철학적 접근" 한국교육철학학회 36 (36): 85-105, 2014

      15 KPR소셜미디어 연구소, "소셜미디어 운영 현황 및 트렌드 조사: 국내 기업 및 공공기관 소셜미디어 실무자 대상. 출처"

      16 정승화, "소셜미디어 연구동향 분석: 사회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학회 21 (21): 87-124, 2014

      17 이수경, "소셜러닝을 적용한 직업교육 성과분석 사례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6 (16): 523-534, 2015

      18 이지연, "사이버강좌에서의 학습자 참여도 및 만족도에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9 (9): 27-61, 2006

      19 서주연, "대학 강의에서 페이스북 기반 성찰활동의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 (17): 107-114, 2014

      20 Hart, J., "The Social Learning Handbook" Centre for Learning & Performance Technologies 2011

      21 Hong, S.,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63 (63): 636-654, 2003

      22 Xu, B., "Teaching analytics: A clustering and triangulation study of digital library user data" 15 (15): 2012

      23 Boyd, D. M.,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13 (13): 210-230, 2008

      24 Bandura, A., "Social learning theory" General Learning Press 1977

      25 Lave, J.,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26 송지준, "SPSS 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08

      27 Vygotsky, L. 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28 Engestrom, Y., "Learning by expanding" Orienta-Konsultit 1987

      29 Park, Y., "Instructional Design Implications for Non-native English Speaking Graduate Students:Perceptions on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s and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for Socially Engaged Learning" Virginia Tech University 2010

      30 Leont’ev, A. N., "Activity, consciousness, and personality" Prentice-Hall, Inc 19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8-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기업교육연구 -> 기업교육과인재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and Talent Research
      KCI등재후보
      2009-07-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orporate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8 1.58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6 2.16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