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은영, "협동학습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한 성찰활동이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665-686, 2011
2 이인숙, "참여적 실시간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정서, 정서 조절전략이 학습참여 및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Facebook환경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0 (30): 413-442, 2014
3 임연욱, "이러닝 학습요소간 상관관계 연구" 2 (2): 118-121, 2008
4 임규연,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자기효능감과 위키에 대한 불안이 참여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 (15): 65-74, 2012
5 김정겸, "위키 기반 수업 환경에서 학습참여 활동과 학습효과와의 관계" 한국기술교육학회 9 (9): 181-198, 2009
6 임규연, "웹기반 협력학습에서 참여와 상호작용의 차이에 대한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 (17): 69-78, 2014
7 허희옥, "웹 2.0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블로그와 위키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 (13): 59-70, 2010
8 유평준, "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229-267, 2003
9 이수경, "스마트러닝 활성화 및 효과적 활용을 위한 시범 운영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고용노동부 2013
10 이수경, "스마트러닝 2차 시범운영 사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고용노동부 2014
1 김은영, "협동학습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한 성찰활동이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665-686, 2011
2 이인숙, "참여적 실시간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정서, 정서 조절전략이 학습참여 및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Facebook환경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0 (30): 413-442, 2014
3 임연욱, "이러닝 학습요소간 상관관계 연구" 2 (2): 118-121, 2008
4 임규연,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자기효능감과 위키에 대한 불안이 참여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 (15): 65-74, 2012
5 김정겸, "위키 기반 수업 환경에서 학습참여 활동과 학습효과와의 관계" 한국기술교육학회 9 (9): 181-198, 2009
6 임규연, "웹기반 협력학습에서 참여와 상호작용의 차이에 대한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 (17): 69-78, 2014
7 허희옥, "웹 2.0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블로그와 위키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 (13): 59-70, 2010
8 유평준, "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원격대학원 온라인 수업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학습자 관련 변인"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229-267, 2003
9 이수경, "스마트러닝 활성화 및 효과적 활용을 위한 시범 운영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고용노동부 2013
10 이수경, "스마트러닝 2차 시범운영 사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고용노동부 2014
11 이수경, "수행지원도구로서 모바일 기술의 적용: 해외 기업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업교육학회 16 (16): 187-215, 2014
12 박동선,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기업경영 성과와 사례" 2014 (2014): 202-215, 2014
13 김소영, "소셜미디어 활용 학습에서 대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참여행동, 학습성과 간의 관계 분석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26 (26): 91-114, 2014
14 전숙경, "소셜미디어 의사소통에 대한 교육철학적 접근" 한국교육철학학회 36 (36): 85-105, 2014
15 KPR소셜미디어 연구소, "소셜미디어 운영 현황 및 트렌드 조사: 국내 기업 및 공공기관 소셜미디어 실무자 대상. 출처"
16 정승화, "소셜미디어 연구동향 분석: 사회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학회 21 (21): 87-124, 2014
17 이수경, "소셜러닝을 적용한 직업교육 성과분석 사례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6 (16): 523-534, 2015
18 이지연, "사이버강좌에서의 학습자 참여도 및 만족도에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9 (9): 27-61, 2006
19 서주연, "대학 강의에서 페이스북 기반 성찰활동의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 (17): 107-114, 2014
20 Hart, J., "The Social Learning Handbook" Centre for Learning & Performance Technologies 2011
21 Hong, S.,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63 (63): 636-654, 2003
22 Xu, B., "Teaching analytics: A clustering and triangulation study of digital library user data" 15 (15): 2012
23 Boyd, D. M.,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13 (13): 210-230, 2008
24 Bandura, A., "Social learning theory" General Learning Press 1977
25 Lave, J.,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26 송지준, "SPSS 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08
27 Vygotsky, L. 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28 Engestrom, Y., "Learning by expanding" Orienta-Konsultit 1987
29 Park, Y., "Instructional Design Implications for Non-native English Speaking Graduate Students:Perceptions on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s and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for Socially Engaged Learning" Virginia Tech University 2010
30 Leont’ev, A. N., "Activity, consciousness, and personality" Prentice-Hall, Inc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