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국제자유도시의 이주역사를 통해 제주인은 외지인에 대한 배타성과 선택적 차별성을 내재화하였다. 2000년대 들어오면서 급증하는 외국인 특히 다문화가족과 그 자녀들로 인하여 제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92111
2009
-
331.5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71-404(34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제주국제자유도시의 이주역사를 통해 제주인은 외지인에 대한 배타성과 선택적 차별성을 내재화하였다. 2000년대 들어오면서 급증하는 외국인 특히 다문화가족과 그 자녀들로 인하여 제주...
제주국제자유도시의 이주역사를 통해 제주인은 외지인에 대한 배타성과 선택적 차별성을 내재화하였다. 2000년대 들어오면서 급증하는 외국인 특히 다문화가족과 그 자녀들로 인하여 제주국제자유도시는 다문화정책과 프로그램을 진행하게 되었다. 다문화정책과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족이 제주에 적응하여 살아가도록 하는 지원정책사업으로 관주도 민간보조를 통해 진행되고 있다. 제주국제자유도시의 다문화가족 정책은 외국인근로자, 유학생, 산업연수생 등의 외국인을 배제하며, 온정주의에 근거하는 정책임에 틀림없다. 다문화정책과 사업에 있어 다양한 과제를 지니고 있는 제주국제자유도시는 세계화의 흐름 속에 새로운 다문화정책 및 사업과 시민의 의식개혁이 필요하다. 미래지향적 범문화사회는 주류문화집단과 소수문화집단들이 상생하고 융합하며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지역적 장기적인 프로젝트를 통해 형성되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공, 민간, 외국인들이 능동적인 네트워크 구성과 연구자들의 진지한 논의구조가 형성되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well known that Jejuian has a feeling on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against outoftowner. Starting from 2000, about 5,200 foreigners and women immigrants have begun to come on like gangbusters in jeju. Issues of multicultural policy and program...
It is well known that Jejuian has a feeling on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against outoftowner. Starting from 2000, about 5,200 foreigners and women immigrants have begun to come on like gangbusters in jeju. Issues of multicultural policy and program in jeju international free city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by administration and NGOs. Aber I can fortell that multicultural policy and program were formely supervised by administration. As s policy recommendation, I proposed `Transculturalism` to combine ideals of the spirit of coexistence and common solidarity. To the progress of these transcultural society, many policy and program implications are obtained: (1) Futuristic direction of jeju international free city (2) Certainty and practice of the transcultural ideal (3) Policy and program for the spirit of coexistence and commom solidarity (4) The extension of foreigners participation in the transcultural policy and program.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2 김희정, "한국의 관주도형 다문화주의 : 다문화주의 이론과 한국적 전망 in: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현실과 쟁점" 32-40, 2007
3 장태환, "한국대학생의 인종·민족 선호도에 관하여" 14 : 99-113, 2001
4 정유성, "토론문 : 독일의 이주가정 청소년 정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65-67, 2008
5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청 홈페이지"
6 신행철, "제주사회와 제주인" 제대출판사 2004
7 츠카사키 마사유키, "제주도에서의 본토결전 준비" 4 : 258-, 2004
8 이혜경, "이민정책과 다문화주의 : 정부의 다문화 정책 평가 in: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이론화" 한국사회학회 219-250, 2007
9 오경석, "어떤 다문화주의인가? : 다문화사회 논의에 관한 비판적 조망 in: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 현실과 쟁점" 한울아카데미 22-56, 2007
10 박수미,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 (2): 5-26, 2006
1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2 (42): 72-103, 2008
2 김희정, "한국의 관주도형 다문화주의 : 다문화주의 이론과 한국적 전망 in: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현실과 쟁점" 32-40, 2007
3 장태환, "한국대학생의 인종·민족 선호도에 관하여" 14 : 99-113, 2001
4 정유성, "토론문 : 독일의 이주가정 청소년 정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65-67, 2008
5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청 홈페이지"
6 신행철, "제주사회와 제주인" 제대출판사 2004
7 츠카사키 마사유키, "제주도에서의 본토결전 준비" 4 : 258-, 2004
8 이혜경, "이민정책과 다문화주의 : 정부의 다문화 정책 평가 in: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이론화" 한국사회학회 219-250, 2007
9 오경석, "어떤 다문화주의인가? : 다문화사회 논의에 관한 비판적 조망 in: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 현실과 쟁점" 한울아카데미 22-56, 2007
10 박수미,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 (2): 5-26, 2006
11 황석규, "도시내 상층이주민의 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원 1985
12 김이선,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I) : 한국사회의 수용 현실과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13 구견서,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체계"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7 (27): 29-53, 2003
14 박병섭, "다문화적 소수자 문제에서 한국의 특수성"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12 (12): 99-126, 2006
15 김현선, "국민, 半국민, 非국민: 한국 국민형성의 원리와 과정" 한국사회조사연구소 7 (7): 79-108, 2006
16 Banks, J. A., "Teaching Strategies for Ethnic Studies" Allyn & Bacon 1984
17 Sills, D. L., "Pluralism, In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 438-444, 1968
18 Gidron, Benjamin, "Goverment and the Third Sector in Compaprative Perspective: Allies or Adversaries? in: Goverment and the Third Sector" Jossey-Bass Publication 1992
19 Bennett, C. I.,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Allyn & Bacon 2007
20 제주특별자치도 자치행정과, "2009년 외국인주민 정착지원 업무계획" 제주특별자치도. 2009
21 제주특별자치도, "2007 제주특별자치도 결혼이민자 가족 실태조사와 정책과제" 제주특별자치도 2007
22 한건수, ""타자 만들기": 한국사회와 이주노동자의 재현" 비교문화연구소 9 (9): 157-193, 2004
제주도의 본풀이와 민담의 교섭양상 -삼두구미본을 중심으로
<지장본풀이>에 담긴 수수께끼와 연행방식 고찰 -지장과 새의 의미, 연행방식의 특징을 중심으로
난생신화와 "궤짝신화"의 상관성 고찰 -석탈해신화 화소의 복잡함에 던지는 의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9-05-1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AMLA CULTURAL INSTITUTE -> Research Institute for the Tamla Culture | ![]() |
2017-06-1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탐라문화연구소 -> 탐라문화연구원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5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4 | 0.62 | 0.913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