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전 시기를 통해 우리나라의 문학 창작 경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나라는 중국이었다. 그 가운데에서도 명(明)나라와 청(淸)나라의 문학 경향은 조선 후기 우리나라의 시문단에 가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27843
2013
Korean
810
학술저널
181-214(3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전 시기를 통해 우리나라의 문학 창작 경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나라는 중국이었다. 그 가운데에서도 명(明)나라와 청(淸)나라의 문학 경향은 조선 후기 우리나라의 시문단에 가장...
조선 전 시기를 통해 우리나라의 문학 창작 경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나라는 중국이었다. 그 가운데에서도 명(明)나라와 청(淸)나라의 문학 경향은 조선 후기 우리나라의 시문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외래 문학 사조였다. 물 론 조선 사회는 그 내부에서 이미 변화와 발전을 위한 의식이 배태되고 있었 고, 그에 따라 문학 창작 경향도 조금씩 변해가고 있었다. 사회의 변화에 발맞 추어 이전 시기 문학의 모순과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내재적인 변화의 기운 이 그 스스로 움직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내재적인 변화의 기 운에 가속도를 더해 준 외적 요인으로 중국의 문학 창작 경향, 특히 명․청나 라 문단의 문학 창작 경향의 수용을 들 수 있다. 이 글은 전통 시기 우리 문학계의 주류 문학 양식이었던 한시 양식을 중심으 로, 우리나라 한시 문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중국의 시문학 경향이 우리 문단에 어떻게 수 용되었고, 수용된 문학 경향은 어떤 작용을 하였으며, 그 외래 문학 경향에 조선 후기 우리 문단의 문인들은 어떻게 반응하였는가를 정리해보 고자 한 것이다. 검토의 결과는 조선조에 유입된 명․청 문학 경향이 한 시대의 새로운 문풍 을 만들어 내는 중요한 자극의 기제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이들에 대한 존숭과 추종, 그리고 극복의 의지가 새로운 문학 경향을 형성하는 매체가 되었고, 이들의 문학 경향을 모의하고 답습하면서 조선의 문인들은 조선 후기 문학의 내질을 높여 나갈 수 있었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존숭과 추종을 일방 적인 모방이라고 본다면 조선 후기의 문학 경향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변화의 양상을 설명할 수 없다. 그보다는 조선조 문인들의 주체적 자각과 성숙한 내적 역량이 명․청의 문학 경향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이를 조 선의 풍토 아래 개변하여 자신들만의 새로운 문학을 만들어 내도록 하였다고 보아야 한다. 즉, 성숙한 문학적 역량 아래 수용된 명․청의 문학 경향을 조선 조 당대의 시대 상황에 맞추어 새롭게 창조해 낸 것이 바로 조선조 한시 문학 의 실체라 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